brunch

매거진 지식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낭만민네이션 Mar 05. 2019

혁신과 비지니스

리더를 위한 사회적 경제 3장_사회적 기업 생태계와 성장자본


리더를 위한 사회경제적 강의

3장_사회적기업 생태계와 성장자본


사회혁신, 정의


1. 사회문제 해결 : 사회혁신이란 기존의 시장, 정부, 비영리 조직이 해결하지 못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사회적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2. 창조적 파괴 : 기존의 기술과 역량을 새롭게 조합하여 이전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획기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다. DC센트럴 같은 경우 창립자인 로버트 예거는 노숙자를 위한 급식봉사, 직업훈련, 푸드뱅크, 급식사업을 연계하여 사회적 기업으로 성장시켰고 연간 매출액이 지금은 1,300만 달러에 달한다.


3. 복제와 규모 확대 : 복제 가능한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의 규모와 범위를 정하는 것이다. 검증된 모델을 다른 지역에 복제하는 것을 말하며 그 대표적인 예는 그라민뱅크’ 이다. 사회적 경제 모델에서 '복제 가능성'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TFA(Teach For All America)와 같은 경우 TFA 복제율이 매우 높으며 참여하는 이들에게 동문회 네트워크라는 인센티브도 제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기업의 목표는 사회혁신이 되어야 한다. 그 가운데 사회의 변화에 대해서 자극을 받고 문제를 해결하면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인정받는 것이다.


사회적 기업, 지속 가능성

사회적 기업은 시장 원리를 활용하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한다.

원래 사회 문제는 정부와 비영리 조직의 몫이다.

정상적인 국가에서 사회적 수요는 먼저 시장에서 해결한다. 시장실패 요인 때문에 시장이 못하는 것은 정부와 비영리조식이 해결한다.

그러나 형용모순인 것이 시장실패가 사회적 문제이기도 한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적 기업은 다시 '시장'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오는 문제는 '정부의 보조금'이 지속되지 않을 경우 사회적 기업이 과연 지속 가능할 수 있을까’의 문제이다.

사회적 기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시장과 정부가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잔여적 성격'의 사회문제가 해결과제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 기업에서 '수익'을 중요시 하는 것은 말이 안되고 오히려 운영의 '효율성'을 중심으로 지속가능성을 생각해야 한다.

사회적 기업은 주제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도 '사회적 서비스'에 집중해야 한다. 사회 서비스를 고도화하여 시장실패, 정부실패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해야 하는 것 이다.


사회적 기업 생태계, 시장원리


사회적 기업이 시장원리(자유시장 원리, 보이지 않는 손)를 사용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변이, 선택, 복제라는 알고리즘에 따라 상품세계와 비즈니스 생태계를 창조해야 한다.

사회적 기업 생태계도 하나의 비즈니스 생태계라고 볼 수 있다.

변이 : 지속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 기업가, 사업모델, 실험이 출현하여 사회적 기업 생태계의 다양성과 혁신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선택 : 좋고 나쁜 것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기업 생태계에서 우수한 기업은 살아 남고 아닌 곳은 사라진다.

복제 : 선택되고 성공한 사회적 기업은 복제되어 다른 지역과 다른 공동체에서도 사용이 된다.

공진화 : 종과 종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진화하는 것을 말하며, 경쟁적 공진화, 상호부조적 공진화, 지배적 공진화가 있다.

사회적 기업의 역동성을 만들기 위해서는 현재 추구하는 사회부조적 공진화만이 아니라 경쟁적 그리고 지배적 공진화도 추구해야 한다.



사회적 기업 생태계, 구성요소와 진화 원리


기술 혁신 생태계 :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높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사회적 기업은 이러한 생태계와 단절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혁신 생태계와의 연결이 가능한 중간조직 생성이 시급하다.

사회 혁신 생태계 : 사회혁신 생태계는 새로운 혁신 아이디어를 지속해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아이디어 실현에 있어서 실패한 아이디어가 복제되는 경우가 많다. 아이디어의 혁신을 위해서 사회혁신 전문 연구소가 필요하다.

상품 시장 생태계 : 사회적 기업의 경쟁력 보호를 위해서 사회적 기업에 보호되는 공공시장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공공시장 전문 커미셔너 조직을 만들어서 공공시장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를 사회적 기업과 연계하여 상품을 미리 기획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자본, 성장자본


복제와 성장을 통한 사회혁신이 가장 필요한 부분이 사회적 자본시장의 활성화이다.

사회적 자본 시장은 벤처형자선venture philanthropy와 사회영향투자impact investing이 있다.

벤처형 자선 : 벤처 투자를 하는 것처럼 기부금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투입이나 과정보다 실제 만들어내는 사회적 영향력을 중시한다. 전문적인 경영지원서비스를 결합하여 투자하며 지원금, 대출, 지분투자 등 다양한 방식이다.  뉴프로핏New Profit, 어큐먼펀드Acumen Fund, NFF(Nonprofit Finance Fund)가 대표적이다.

사회영향 투자 : 흔히 임팩트 투자라고 불리는데, 사회적 영향과 제무적 성과를 동시에 고려하는 투자이다. 투자방식은 대출, 전환사채, 지분투자 등 다양하며 기대 수익률에 따라 시장평균수익률보다 낮고 투자 기간이 긴 인내자본도 있고, 시장수익률 이상을 추구하는 상업자본도 있다. 브릿지스벤처스Bridges Ventures, 인베스터서클Investor's Circle, 굿캐피탈Good Capital등이 있다.


사회적기업, 유형


혁신형 : 사회적 영향과 재무성과가 모두 뛰어난 기업이다. (그라민 뱅크)

상업형 : 사회적 영향력은 중간 정도이지만 재무적 성과가 큰 기업이다. (딜라이트)

지속가능형 : 사회적 영향이 크지만 회계적 이익만 가능한 기업이다. 자본비용을 회수하고도 남을 만큼의 충분한 수익을 올리지 못한다. 일반 자본시장의 투자를 받아야 하다.

위탁사업형 : 사회적 영향은 중간 이상이고 운영비는 자체 충당하지만 외부에서 고정비 지원을 받아야 하는 기업이다. 정부의 위탁형 사회서비스 기업들이 대부분 여기에 속한다.

복지형 : 사회적 영향은 굉장히 크지만 재무구조가 매우 취야하다. 지체 장애인이나 정신장애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이 대표적인 예이다.


투자방식, 투자규모


촉매 자본catalytic capital : 초기 손실을 감내하거나 위험을 해소해서 다른 자본을 유인하는 자본을 말한다. 우리나라도 소모성 자본이 예산이 아니라 촉매자본의 형태를 늘려야 한다.

GMI(Grand-matched Impact Investing) : 민간자본과 정부 자본을 연계하여 지렛대처럼 투자를 이끌어내는 것을 말한다. 이자 전체 또는 일부만을 지원금으로 보장하거나, 원금과 이자까지 지원금으로 갚는 방법도 있다. 투자 받은 사회적 기업은 원금의 일부만 갚으면 되는 구조이다.

보조금 연계형  다층펀드(Grant-Matched Multi-layered Fund) : 지원금과 인내자본 그리고 시장 자본을 모두 활용하여 위험선호도에 따라 수익률과 우선순위를 달리하는 것을 말한다. 펀드의 맨 아래층은 투자자의 수익을 보장하는 보조금과 손실을 보전하는 보증금으로 구성한다. 보증금도 여러 참여자가 있을 경우 우선순위를 정해서 선순위 보증금과 후순위 보증금으로 나눌 수 있다.




민네이션, 생각 

사회혁신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사회+혁신이라고 했을 때 생각하는게 각각 다를 수 있다. 로버트오언의 저서에서 인류의 3가지 발견 중에 하나는 '사회'라고 했는데, 나는 사회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또한 '혁신'은 '혁명'와 어떻게 다른가? (저자는 '사회진화설'의 입장 가운데서 사회적 기업도 살아있는 하나의 개체로 전체 생태계에 이바지하면서 존재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또한 그러한 전제에 더하여 '자유시장경제 원리'를 바꾸지 않는 선에서 사회적 기업을 논의하고 있다.)

제 3세계의 경우 '자본주의 원리, 자유시장의 원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아직 자본주의 발달단계가 높이 않은 경우가 있다. 보통 농촌 마을이 많은 국가인 경우에 '사회적기업'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가 가능할까? 혹은 사회적 기업이 아니라 사회적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는 다른 대안이 필요한 것인가?

'사회적 기업' 모델이 칼폴라니’나 북유럽에서 말하는 '조정시장경제'에서는 활성화 될 수 없는 것인가?

기아대책에서 해외법인이나 사회적 기업을 만들 경우 보조금 연계형 다층 펀드 구조를 활용하여 후원자(일반후원자, cdp후원자, 필란트로피, 기업)를 모집할 수 있을까?(p84)

사회적 혁신, 성과,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어떤 것이 있을까? 우리가 만든다면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보아야 하는가?



매거진의 이전글 플랫폼과 제국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