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업계는 코로나 상황에도 비교적 성과 유지를 잘한 오프라인 유통 채널로 꼽힙니다. 이는 대표적인 편의점 브랜드 중 하나인 CU의 지난해 성과로도 알 수 있습니다. CU 운영사인 BGF리테일의 2021년 매출은 6조 7,812억 원으로 전년 대비 9.7% 성장했고, 영업이익 또한 1,994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나 큰 폭으로 성장했습니다.
GS25 성과는 아주 긍정적이진 않습니다. GS25 운영사 GS리테일의 2021년 매출은 7조 2,113억 원으로 전년 대비 3.4%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2,140억 원으로 6.6%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에는 GS25가 새롭게 떠오르는 퀵커머스 경쟁력 확보 차 공격적인 투자를 한 것이 요인일 수 있으며, 추후 퀵커머스 사업이 활성화되면 다시금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편의점 트렌드 리포트 2022를 토대로 올해 편의점 업계에서 주목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먼저 각 편의점 브랜드의 주 이용률 순위를 살펴보겠습니다. GS25와 CU가 타 브랜드와 압도적인 격차로 주 이용률 1~2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각 53.8%, 36.4%). 그중 GS25는 전년 대비 주 이용률이 소폭 상승하며 CU와의 격차가 20% 가까운 수준으로 벌어졌습니다. 이러한 GS25는 유일하게 전년 대비 주 이용률이 상승한 편의점 브랜드이기도 합니다.
그럼 다른 편의점 브랜드는 어떨까요? 세븐일레븐·이마트24의 경우 이용 경험률은 높은 편이지만 주 이용률은 GS25나 CU 대비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납니다(각 5.3%, 2.9%). 올해 초 세븐일레븐에 인수된 미니스톱의 경우 이용 경험률과 주 이용률 모두 세븐일레븐·이마트24 대비 낮게 나타납니다(각 68.8%, 1.5%). 각 편의점 브랜드의 주 이용률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큰데, 성별·연령·가구 구성·이용 빈도 등에서는 브랜드별 주 이용자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 또한 흥미롭습니다.
이번에는 주요 편의점 브랜드의 주 이용 이유를 살펴봅니다. 네 브랜드 모두 가장 응답률이 높은 이유는 역시나 ‘매장이 가까워서’입니다(평균 84.4%). 그래서인지 주 이용 편의점의 위치 또한 집 주변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습니다(평균 76.8%). 이외 GS25는 프로모션 행사를 자주 해서 주로 이용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39.2%). 반면, 세븐일레븐은 프로모션 행사를 자주 해서, 여기서만 파는 제품이 있어서, 브랜드 이미지가 좋아서 등을 꼽은 비율이 타 브랜드 대비 적은 편입니다(각 15.1%, 7.5%, 3.8%).
각 편의점 브랜드는 자체 모바일 앱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배달·예약 구매·재고 조회 등 각종 편의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 앱을 대대적으로 리뉴얼하거나 관련 마케팅 또한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모바일 앱을 통해 단순히 오프라인 유통 채널에 국한되지 않고, 최근 배민 B마트 등 편의점 대체재로 떠오르는 퀵커머스를 견제하면서 브랜드 충성 고객을 확보하려는 전략이죠. 그럼 지금까지 모바일 앱 분야에서 가장 앞서고 있는 편의점 브랜드는 어디일까요?
모바일 앱 분야에서 가장 앞서고 있는 브랜드 역시 GS25입니다. GS25의 나만의냉장고 앱 인지율·설치율이 타 브랜드 대비 가장 높게 나타났기 때문입니다(각 70.5%, 33.7%). 한편, CU의 포켓CU는 인지율·설치율 면에서 나만의냉장고에 이은 2위에 이름을 올렸으며(각 66.0%, 28.7%), 올해 설치율이 특히 큰 폭으로 성장했습니다(+7.9%p). 이에 편의점 주 이용률은 GS25와 20% 가까운 차이가 난 반면, 앱 설치율은 5%의 근소한 차이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GS25와 CU뿐만 아니라 다른 편의점 브랜드의 모바일 앱 또한 인지율·설치율이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세븐일레븐 모바일 앱은 특히 인지율이 전년 대비 눈에 띄게 성장했으며(각 41.5%, +5.1%p), 이마트24 또한 소폭이지만 인지율·설치율이 전년 대비 성장했습니다(각 +1.8%p, +0.9%p). 덕분에 편의점 모바일 앱의 미설치자 비율은 전년 대비 감소했습니다(각 52.8%, -6.3%p). 올해 각 브랜드가 모바일 앱 강화에 더욱 총력을 가해서 앱 설치율을 더욱 끌어올릴지 지켜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그럼 사람들은 편의점 앱에서 주로 어떤 기능을 이용할까요? 바로 이벤트/프로모션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1순위 기준 33.9%). 이외 택배 서비스 예약, 단골 매장/점포 등록, 재고 조회 등의 용도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1순위 기준 각 12.7%, 10.6%, 8.1%). 한편,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배송/배달 등 퀵커머스 용도로 편의점 앱을 주로 활용하는 소비자는 아직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1순위 기준 3.8%).
또한, 소비자들은 편의점 앱에서 제공하는 기능 및 서비스에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편입니다(평균 3.67점). 하지만 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을 한 비율은 낮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9.3%). 이에 추가 도입 희망 기능을 주관식으로 물어봤는데요. 소비자들은 세일 상품에 대한 입고 알림, 재고 조회 기능 강화, 출석 체크 이벤트, 배달 서비스 활성화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에는 편의점 대체재 관련 인식을 살펴봤습니다. 편의점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할 때 대체재를 생각해두고 있는지를 물어보니, 4명 중 1명만이 매우 아쉽고 대체 채널이 없을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25.0%). 연령대가 낮을수록, 편의점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대체 채널이 없을 것 같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대다수 사람들은 조금 아쉽지만 대체 채널이 있을 것 같다고 답했으며(56.1%), 전혀 아쉽지 않고 대체 채널이 확실히 있다는 응답 또한 있었습니다(5.6%).
이에 편의점 이용이 불가능할 때 대체 채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물어봤는데요. 오프라인에서는 편의점과 같은 근린 상권인 동네 슈퍼/식자재마트, 브랜드 슈퍼마켓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이 많습니다(1순위 기준 각 17.9%, 12.1%). 이외에도 온라인에선 새벽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쿠팡의 응답률이 높았고(1순위 기준 13.5%), 쿠팡이츠마트·배민B마트로 대표되는 퀵커머스는 네이버쇼핑 등 온라인 쇼핑몰과 비견해도 적지 않은 응답률을 기록했습니다(1순위 기준 각 5.7%, 4.5%).
위 데이터를 더욱 자세히 보고 싶다면 웹 결과 분석 페이지에 접속해 보세요. (클릭)
이에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퀵커머스 인지 및 이용 경험과 관련한 질문을 한 차례 더 했습니다. 쿠팡이츠마트·배민B마트 등 퀵커머스 이용 경험이 있는지 물어본 건데요. 전체 응답자의 36.1%가 퀵커머스 이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편의점에 주 4회 이상 방문하는 헤비유저의 퀵커머스 이용 경험률이 전체 평균 대비 좀 더 높다는 데 있습니다. 혹 앞으로 편의점이 타 퀵커머스 서비스만큼 편리한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면, 편의점 헤비유저 먼저 편의점을 떠나게 되는 건 아닐까요?
기사에 따르면 GS25·CU 등 주요 편의점 브랜드를 중심으로 모바일 커머스 기능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모바일 앱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 수를 늘리고 관련 서비스를 강화하는 전략입니다. 덕분인지 GS25 나만의냉장고의 2021년 매출은 전년 대비 1300% 가까이 성장했고, CU·세븐일레븐의 모바일 앱 매출 또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오프라인 점포 수 경쟁을 넘어 모바일 경쟁 체제에 접어든 편의점 업계의 내일을 더욱 기대해봐도 좋겠습니다.
이외에도 <편의점 트렌드 리포트 2022>은 전반적인 편의점 이용 행태부터 브랜드별 주 이용률 및 이용 이유, 편의점 헤비유저의 성·연령 프로파일 및 주 구매 품목, 콜라보 상품 및 코로나19 자가검진키트 관련 인식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전체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버튼을 눌러 리포트 전문을 살펴보세요.
또한, 편의점 이용 불가능한 상황일 때 대체재와 관련된 인식과 대체 채널에 대한 조사 결과를 더욱 자세히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 웹 결과 분석 페이지에 접속해보세요.
해당 글은 오픈서베이와 모비인사이드의 파트너쉽으로 제공되는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