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obiinside Oct 18. 2022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에는 치명적인 약점이 하나 있다

스타트업 정글에서 살아남기




일정 이상 성장한 기업이 모멘텀을 잃는 이유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에는 치명적인 약점이 하나 있다.


바로 회사가 성장하는 속도는 빠른데 비해, 그에 걸맞은 좋은 리더의 수급은 그 정도 속도로 이루어지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전에 근무하던 한 스타트업에서 있었던 일이다. 그 회사는 Product – Market Fit을 찾은 이후 정말 폭발적인 속도로 성장하고 있었다. 내가 합류하기 바로 얼마 전 40-50명이 근무하던 회사가 내가 합류하는 시점에는 벌써 갑자기 100명이 되어 있었고, 내가 입사하고 난 뒤에는 매년 200명씩 인원이 늘어 입사 후 2년이 조금 지나자 회사 인원이 500명에 다다르는 수준이 되었다.


회사가 사업을 영위하는 영역도 빠르게 넓어졌다. 인접 시장 확장부터 밸류체인 확장, 글로벌 확장까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면서 중요한 새 프로젝트들을 하나하나 따지다 보면 열 손가락이 모자라는 경우도 있었다.


사람도 많이 늘고, 모든 사세가 빠르게 불어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그것이 과연 긍정적이기만 한 현상이었을까?




모든 사세가 빠르게 불어나는 것처럼 보였지만,
그 회사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하나 있었다





인원이 일정 이상 늘어나면서 회사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하나 생겼다. 바로 사업 범위도 많아지고, 이끌어야 할 구성원도 많아지는데 각 사업을 제대로 이끌어줄 수 있는 ‘역량 있는 리더’가 극도로 부족했다는 점이다.


리크루팅이나 인터뷰를 허투루 했던 것도 아니었다. 사실 그 회사의 개개인을 보면 참 좋은 사람들이 많았다. 좋은 개발자, 좋은 마케터, 좋은 디자이너… 그런데 무엇이 문제였을까?


개발, 마케팅, 디자인 등 특정 기능을 잘 수행하는 사람도 중요하다. 하지만 사람을 이끄는 리더십, 전략적 감각, 제품과 고객에 대한 집착, 종합적 비판적 사고 등을 고루 갖추고 사업 하나를 완성도 있게 이끌 수 있는 ‘진짜 리더’는 더 중요하고, 더 희소하다. 특히 IT 스타트업 시대에 IT와 비즈니스를 고루 아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이 문제는 당시 그 회사에 정말로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했다. 사업 영역은 계속 넓어지는데 각 사업을 완성도 있게 이끌어 줄 인재가 너무도 부족했던 것이다. 외연은 커지는데 내부는 부실했다. 새로 시작했던 프로젝트나 사업들이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한 채 실패했고 결국 거품처럼 쌓여 있던 것들이 와르르 무너지는 징조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좋은 리더를 제때 수급하지 못한 채
마구잡이로 일을 벌인 대가를 치르게 됐던 것이다







초기 스타트업은 창업자라는 좋은 리더의 힘으로 성장한다. 어느 이상 성장하면 창업자가 모든 사업과 지표를 다 직접 보고 챙기기 어려워진다. 창업자가 직접 들어갈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순간, 모든 회사가 앞서 말한 것과 같은 진통을 겪게 된다.


선택은 둘 중 하나다. 첫째는 창업자가 챙길 수 있는 것 그 이상으로는 무리하게 성장하지 않는 것이다. 둘째는 좋은 리더를 좋은 조건에 잘 수급하여 그들이 이 회사를 더 크게 만들도록 좋은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훌륭한 경영자들은 후자를 통해 위대한 기업을 만든다.


회사가 성장하는 속도에 맞게 인재를 영입하고, 그들이 성공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주고, 좋은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독려할 수 있는 그릇을 가진 기업만이 창업자의 역량을 넘어 더 큰 기업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앞서도 말했지만 좋은 리더는 극히 드물다. 사실 이 정도 역량이 되는 사람은 본인이 회사를 나가서 직접 사업을 해도 일정 수준 이상 해낼 수 있는 사람들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을 회사를 품고 같은 비전을 보고 나가게 하려면 그만큼 좋은 보상과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좋은 리더를 잘 영입하고
그가 잘 성공하도록 독려하는 기업은 위대한 기업이 된다




Zero-to-one, 스타트업의 초기 성공은 창업가의 역량과 시장에 달린 일이다. 하지만 One-to-ten, ten-to-hundred는 좋은 Entrepreneurship을 가진 사람을 얼마나 잘 영입하고 그들이 성과를 내게 하는지에 달렸다.


회사가 커질수록 그에 걸맞은 리더십과 오너십을 가진 사람은 정말 부족해진다. 빠르게 크는 회사일 수록 더 그러하다.





해당 콘텐츠는 Man on the Grid님과 모비인사이드의 파트너쉽으로 제공되는 기사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라이브커머스가 안 팔리는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