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머니앤이코노미 Sep 03. 2020

증시만큼 발 빠른 환율 이해하기

환율의 정의는 ‘양국의 통화를 서로 맞바꿀 수 있는 비율’이다. 쉽게 말하면, ‘외화(달러, 엔화, 위안 등)를 갖기 위해 원화를 얼마나 지불해야 하는지’를 나타낸 값이다. 포털 사이트에 ‘환율’을 검색하면 현재 환율이 얼마인지(1달러를 갖기 위해 우리나라 돈으로 얼마를 지불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환율의 정의를 이해하는 것보다도 환율이 오르내린다는 게 무슨 뜻인지를 알아야 한다. 환율(통상적으로 ‘원/달러 환율’)도 시장 원리에 따라 국내에 달러가 부족하면 값이 오르고, 풍부하면 값이 내려간다. 환율이 올랐다는 건 1달러를 갖기 위해 우리나라 돈을 더 많이 내야 한다는 뜻이다. 달러가 귀해졌으니 달러 가치가 상승한 것이고 뉴스에선 ‘달러 상승’, ‘달러 강세’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원화를 기준으로 말하면 ‘원화 약세’라고 표현할 수 있다.





‘원화 약세’, 왠지 부정적일 것 같지만

원화 가치가 떨어졌다고 하니, (이럴 때만 애국심이 차올라) 부정적인 상황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았다. 환율이 오르내릴 때의 장단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환율이 상승하면(= 달러 가치 상승, 달러 강세, 원화 약세)


※장점

기업 :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이 향상돼 수출 업체 이익 증대 ▶ 달러 국내 유입

국가 : 국내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진입한다 ▶ 달러 국내 유입

※단점

개인 : 생활비(수입 식료품, 자가용 기름값, 냉난방비 등)가 오르고, 해외여행 시 더 비싸게 환전해야 한다

기업 : 원자재를 수입하는 국내 기업은 원가 상승으로 이익 감소





-환율이 하락하면(= 달러 가치 하락, 달러 약세, 원화 강세)


※장점

개인 : 생활비(수입 식료품, 자가용 기름값, 냉난방비 등)가 낮아지고, 저렴하게 환전할 수 있어 해외 여행자가 늘어난다 ▶ 달러 해외 반출

기업 : 원자재를 수입하는 국내 기업은 원가 하락으로 이익 증대

※단점

회사 :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이 줄어든다

기업 : 해외 투자 비율이 높아진다 ▶ 달러 해외 반출





그렇다고 환율이 무한히 오르기만 하거나 내리기만 하는 건 아니다. 환율이 오르면 국내 수출업 호황, 외국인 투자자 유입 등으로 인해 다시 달러가 유입되고, 이와 같은 요소가 환율 하락 압력으로 작용한다. 





환율이 내려가면 수출업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해외 투자 비율이 높아지면서 달러가 반출되고, 이와 같은 요소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금융/경제 관련 도움되는 사이트가 있어 공유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환율과 코스피 지수는 반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