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무균 Oct 08. 2021

백수지도白手之道Ⅰ, 백수의 인의예지신

   가 언젠가 나뭇잎사귀 하나가 창날처럼 뾰족하게 그려진 알콜도수 16도짜리 ‘알라야 티에라(스페인, 카르나차 틴토레라 100%, 훅 하고 금새 달아오르는게 정말 후끈합니다.)’라는 와인을 한 잔 마시고, 같이 한 형님들이 집에가 사랑하는(?) 와이프와 함께 마시라며 사준 알라야 한 병을 또 신주단지처럼 안아들고, 하늘이 돈짝 만하게 보이지는 않아 그냥 지하철을 타고 집으로 가다가 지하철을 내릴 곳에서 내리지 못한 관계로 중간에 내려 다시 버스를 갈아타고 집에 와서는 그대로 엎어져 깊은 숙면을 취했는데, 아침에 속이 좋지 않고 컨디션이 난망하여 힘들었으나, 어디 똑 부러지게 갈 곳이 없는 백수인지라 침대에 다시 누워 다리를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 보살처럼 꼬고, 눈을 게슴츠레하게 내려 깔고, 지난밤의 기억을 반추하다가 백수의 삶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리하여 한참을 창작의 고통에 빠진 결과 앞집 닭이 달걀을 낳듯, 뒷집 개가 강아지를 낳듯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이라는 다섯 가지 ‘백수지도白手之道’의 깨달음을 문득 얻었사온데, 그렇다고 그것이 뭐 경천驚天하고 동지動地할 정도로 대단하거나, 도척(盜跖, 중국 춘추시대 때 공자와 거의 같은 시대에 살았다고 하는 도둑의 두목. 무리 9천여 명을 거느리고 전국을 휩쓸었으며, 때로는 공자를 위선자라고 비판 했다고 한다. ‘도척의 다섯 가지 도둑의 도’에 대한 명언名言으로 장삼이사들에게 더 유명한데, 그가 진짜 이 말을 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 다섯 가지 도는 이렇다. 방 속에 감추어진 것을 헤아려 짐작하는 것을 성聖이라하고, 먼저 들어가는 것을 용勇이라하며, 훔친 후 뒤에 나오는 것을 의義라하고, 훔쳐도 되는지 여부를 아는 것을 지知라하며, 훔친 것을 고루 나누는 것을 인仁이라 한다. 이 다섯 가지를 갖추지 않고 큰 도둑이 된 자는 천하에 아직 없다. 장자莊子 거협편-胠篋編, 유가儒家를 공격하고 노자의 도道를 밝히는 편이다.-에 나오는 말이다.)이 와서 놀랄 정도로 새로울 만한 것은 아니옵고, 그냥 술이 덜 깨어 비취사취非醉似醉 중에 거미가 제 꽁무니로 거미줄을 뽑듯, 가마우지가 제 입으로 먹이를 토해내듯 토해낸 것이오니 괘념치는 마시옵소서.


   하여튼 그 다섯 가지를 말하자면 이렇사옵니다. 첫째, 다른 이의 지갑에서 돈이 빠져 나가는 것을 가슴아파하니 이를 인仁이라 한다. 둘째, 좋은 것을 즐길 땐 같은 처지의 친구를 불러내 함께 하고자 하니 이를 의義라 한다. 셋째, 집에서나 바깥에서나 늘 용모를 단정히 하고 바르게 차려 입으니 이를 예禮라 한다. 넷째, 아무나 부른다고 가볍게 나가지 않으니 이를 지知라 한다. 다섯째, 언젠가 나 또한 제대로 한 턱 쏠 날이 있을 것이라 굳게 믿으니 이를 신信이라 한다. 어떻사옵니까? 취기醉氣 미성未醒 중의 창작이라 하기에는 실로 놀랍지 않사옵니까.

keyword
작가의 이전글 굳이 스탠드가 필요한 것은 아니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