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미최 Jun 23. 2023

위기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코로나만 위기는 아니겠지요.

     동업을 말리는 어떤 글에 이런 말이 있었습니다. 


     '동업은 사업이 잘 되면 잘 되는 대로 문제지만 잘 안될 때가 진짜 문제다.' 


     사업이 잘 되면 '나만 열심히 하고 쟤는 프리라이딩하는 거 아냐?' 하는 생각이 들어 억울해서 싸우게 되고, 잘 안될 때는 위기를 느끼면서도 서로 돈이 묶여 있기 때문에 관둘 수도 없어서 끝끝내 서로의 바닥을 본다는 겁니다. 


     부부가 사업을 할 때 좋은 점은 이미 우리는 경제 공동체라는 겁니다. 돈을 벌면 니 거 내 거가 없고 '우리 거'로 귀속된다는 뜻이지요. 우리가 잘 되면 지분다툼을 하는 대신 같이 멋진 노후를 그리면 그만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왜 나만 열심히 하는 것 같지'라는 생각이 아주 안 드는 건 아닙니다. 이것이 함정이다!


     부부가 사업을 할 때 나쁜 점 역시 이미 우리는 경제 공동체라는 겁니다. 따로 일할 때는 하나가 망해도 다른 하나가 살아남을 확률이 높았는데 우리는 이미 공을 한주머니에 담아버린 셈이니까요. 사업을 그만두어도 부부는 그만둘 수 없기에 일이 잘 안 풀릴 때 우리는 서로 더 조심해야 했습니다. 늘 마음처럼 되는 건 아니었지만요.




     개원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코로나가 터졌습니다. 


     한창 의욕적으로 운영하던 시기였습니다. 개원하자마자 상표권부터 등록하고 버는 돈은 족족 재투자해 공간과 직원을 늘렸거든요. 남편은 따로 사무실까지 내며 브랜드와 사업화를 꿈꿨습니다. 옆 점포를 하나 더 계약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대구에서 대규모 코로나 환자가 발생하면서 이윽고 팬데믹이 본격화되었습니다. 느닷없이 찾아온 위기는 해를 거듭할수록 재앙이었습니다. 끝나려나 끝나려나 하며 꼬박 3년을 이어졌지요.


     아직 철들지 못한 자영업의 맛은 일희일비라서 오늘 잘 되면 웃었다가 내일 또 잘 안되면 금세 불안해하곤 했습니다. 남편은 나름대로 엑셀까지 만들어 재정 상태와 계획을 설명해 주었지만 숫자라면 듣고도 매번 까먹는 저를 보고 관심이 없다며 폭발하곤 했습니다. 저는 저대로 진료에 처방에 복약안내서에 직원 교육에 야근까지 해 가며 최선을 다하고 있는데도 욕을 먹으면 세상 억울한 생각이 들어 화병이 날 것만 같았습니다. 


     그럴 때면 온갖 편협한 생각들이 머리에 떠올랐지요. 뭐야, 내가 왜 이런 욕을 먹고 있어? 사업은 자기가 다 벌여놓고!! (사실 의논해서 같이 결정해 놓고) 일을 상황에 맞춰서 벌여야지, 왜 자기 능력을 과신해?? (제가 응원해 놓고) 핵심적인 일은 내가 다 하는데 왜 맨날 나한테 뭐라그래? (저도 엄청 뭐라고 했으면서) 나 없이 이 사업 시작도 못했을 거면서! (평소에는 혼자서는 절대 이렇게 못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진심으로)


     잘 될 때는 상관없지만 위기가 닥쳐올 때 서로 물어뜯기 시작하면 끝입니다. 일단 나를 너무 잘 아는 상대에게 당하면 내상이 심하거든요. 그러고 나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것 자체가 싫어집니다. 더 큰 문제는 이렇게 작은 자영업은 대표가 기죽어 있으면 그게 업장 전체에 묘하게 티가 나더라는 겁니다. 지난 3년은 우리가 그걸 조금씩 깨달아 간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얼마 전 동기 결혼식에 갔다가 함께 졸업한 남자 동기 중 하나가 몇 년 사이 돈을 많이 벌어 서울에 재개발이 확정된 수십억짜리 비싼 아파트를 샀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원래 감각도 실력도 체력도 뛰어난 동기였지만 아무리 경기가 안 좋다 안 좋다 해도 역시 어딘가에서 누군가는 잘하고 있구나, 싶더라고요.


     집으로 돌아와 이 소식을 남편에게 전할까 말까 하다가 무심한 척 '걔가 그랬다더라' 하고 말했습니다. 그 동기를 알고 있었던 남편은 역시 크게 동요하더군요. 그 얘기를 들은 후로 며칠은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서 우리의 문제점에 대해 얘기하고 출근하려는 나를 붙들고 그 동기가 어떻게 잘될 수 있었는지 밤새 분석한 내용을 들려주기도 했습니다. 


     남편의 스트레스는 아마 스스로에 대한 믿음과 그럼에도 우리는 왜 아직 그렇게 하고 있지 못한가에 대한 자기반성이 뒤섞인 결과라는 것을 지금은 압니다. 그의 예민한 반응이 내 친구에 대한 질투나 나만을 향한 질책이 아니라는 것을 짐작하면서도 예전 같았으면 날카로운 말에 다치거나 짜증이 났을 겁니다. 그러나 우리는 소모적인 말다툼을 많이 생략하고 어떻게 하면 더 잘 될 수 있을까에 대한 이야기를 더 많이 나누었습니다.


     함께 일하고 있지만 서로가 꿈꾸는 목표는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어도, 우리 둘 다 지금 여기가 목표가 아닌 이상 앞으로 나아가는 길에 위기는 언제든지 또 오겠지요. 다시 다가올 위기는 좀 더 잘 견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향후 10년 정도는 부디 코로나 같은 거대한 위기는 아니 오기를 비나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