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라문숙 Sep 17. 2024

트리에스테의 언덕길

스가 아쓰코

  어떤 책은 읽고 나면 말이 없어진다. 여름에서 가을로 건너가는 아침에 종종 내려앉는 안개에 갇힌 것처럼 사방이 뿌옇게 흐려져서 아무것도 지각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으니 한참 동안 제 자리에서 그 적막을 견뎌내야 한다. 그러다가 외출을 하거나 식사준비를 해야 하거나 해서 어쩔 수없이 자리에서 일어난다 해도 몸만 움직일 뿐이다. 정신은 여전히 무엇엔가 붙들려 있는 것이다.


  스가 아쓰코의 [트리에스테의 언덕길]도 그렇다.  그의 다른 책들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말문이 막히고 귀가 먹고 몸이 굳었다. 스가 아쓰코가 어떤 인물을 이야기할 때는 한 세계가 불려 나온다. 그가 다루는 인물들은 각자 자신의 세계에서 주인공이다. 그의 책에서 인물들은 한없이 유연하고 강하다. 스틸로 만든 스프링 같달까. 단단한 땅 위를 흔들림 없이 걷는 인물들은 아무것도 의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어떻게 가지게 되었는지 나 같은 사람은 결코 알 수 없을 어떤 기준, 명확하고 굳건한 자신만의 그것을 가지고 살아가므로 누구든 그들을 판단할 수 없다. 설사 그 세계를 직접 만들어낸 작가라 할지라도 말이다. 스가 아쓰코의 글이 가진 힘이다.


  그의 다른 산문집들과 마찬가지로 [트리에스테의 언덕길] 역시 사람들이 중심에 놓여있다. 철도원이었던 시아버지, 그를 신뢰했던 창부들, 미혼모 마리아, 수다쟁이 수도사, 머리가 나쁘고 품행이 좋지 못하지만 꽃과 새를 사랑하는 꽃장수, 거친 산 사나이 같은, 몸속 깊이 가난이 배어든, 팍팍한 삶으로 지칠 만도 한 사람들에게서 품위가 느껴진다. 스가 아쓰코가 그들 각자의 세계를 온전한 것으로 만들어놓고 스스로 그것을 존중하기 때문일 것이다.

 

  작가의 새 책을 읽을 때마다 이미 읽은 그의 책들을 다시 읽는다. 글이 다시 살아나는 느낌을 잡아채고 싶어서다. 흉내라도 내고 싶기 때문이다. 언젠가 그의 글을 읽고 나서도 더 이상 말문이 막히지 않고 멍해지지도 않는 때가 올까? 온화함과 품위의 세계, 뼈만 남았을지라도 숨길 수 없는 아름다움, 좀처럼 꺾이지 않는 부드러운 용기를 나도 가질 수 있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처럼 산다면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