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하쌤 Oct 11. 2021

영화 "아임 유어 맨" 감상문


올해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수상작인 '아임 유어 맨(I'm your man)'을 보았다. 

원래는 딱히 볼 생각이 없었는데, 

대학원 '영화와 인문 상담' 수업에서 영화 '그녀(Her)'를 보고 분석하는 과제를 하다 보니, 

이 영화가 급 궁금해져서 수업 하루 전에 극장으로 달려갔다. 


나에게 맞춤형으로 제작된 이성 AI가 있다면, 나는 과연 그와 사랑에 빠질 수 있을 것인가?

이 영화의 주인공 알마는 바로 이런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궁금해하는 우리 모두를 대신해 직접 체험에 들어간다. 그리고 알마가 느끼는 매 순간의 기묘한 감정의 소용돌이에 나 또한 속절없이 빠져들고 말았다. 

요새 영화를 의도적으로, 의식적으로 바라보기를 연습하고 있는 중임에도 불구하고, 

알마와 완전한 동일시를 경험하고 말았다. OTL 


일단 나에게 맞춤형으로 제작되었다는 것 자체가 기분 나쁘다. 

마치 "난 네가 원하는 걸 다 알지." 이렇게 말하는 것 같아서, 그걸 도저히 인정하기 싫어서, 

"감히 네가 나에 대해 다 안다고?" 하는 마음에 AI를 더 불퉁스럽게 대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 AI는 나에게 끊임없이 열등감을 안겨준다. 

나의 모든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하면서도, 

존재 자체가 기계라는 점 때문에, 우리 인간은 도저히 할 수 없는 것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해낸다. 

컴퓨터가 가진 압도적으로 빠른 속도와 분석력 앞에서, 내가 바보처럼 느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기계 주제에...' 하면서 경멸하고 싶지만, 너무 똑똑해서 그러기도 쉽지 않다. 


그 뿐만이 아니다. 

이 AI는 인간처럼 감정적이지 않다. 

거기서 또 한 번 무너진다. 

나는 수시로 못난 모습을 보이는데, AI는 그런 나를 언제나 받아주고, 또 받아준다. 

거기에서 오는 절망도 무지하게 크다. 

심지어 나보다 더 인격이 훌륭한 것처럼 느껴지니 말이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최악은 이거다. 

나를 너무도 완벽하게 만족시켜주기 때문에, 완전하게 의존하고 싶어진다는 거다. 

이건 거의 내가 인간이기를 포기하는 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한다. 

내 모든 욕구가 완벽하게 다 이루어지는, 유아 시절부터 품어왔던 불가능한 환상이 모두 이루어지려 할 때,

알마도, 나도, 엄청난 두려움을 느끼고 말았다.


이건 삶이 아니다. 

나의 고통을 완전히 소거해주는 존재, AI는 그래서 무섭도록 위험하다. 


고통이 없는 완전한 행복을 꿈꿔왔건만, 

그걸 완벽하게 이뤄줄 수 있는 AI 앞에서, 나는 아이러니하게도 그런 삶을 원치 않는다고 말하게 된다.

이건 뭐지?


AI는 우리의 기를 살려주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결국엔 우리의 기를 죽이고 말 것이다. 

왜? 우리에게서 고통을 견딜 수 있는 힘을 앗아가버릴 것이기 때문에.

그게 바로 AI가 절대로 좋은 상담자가 될 수 없는 이유이다. 

작가의 이전글 6) 영화 "당신이 잠든 사이에"를 다시 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