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종섶 Oct 03. 2021

발효되는 그늘(김휼 시), 나의 사람아(클라리넷)

김휼 시인의 첫 시집 '그곳엔 두 개의 달이 있었다'에 실려 있는 시 한 편으로 시 동영상을 만들었습니다. 배경음악이라기보다는 콜라보레이션에 가까운 클라리넷 연주는 김호중의 '나의 사람아'입니다.      

    

발효되는 그늘     

김휼          


떫고 단단한 불화를 그늘에 들여놓네

말랑말랑 분이 생겨 단맛을 더할 무렵

그늘을 즐겨 먹던 어머니는 그늘이 되었네

말이 없는 자리에서 나오는 숨 같은 그늘로

한없이 어루만져주고 싶은

보드라운 것들이 몸을 맡겼네

다툼 없이 이룩해 놓은 살가운 영역으로

정처가 없는 구름도 제 몸을 부려왔네

그런 날은 괴이한 슬픔이 안쪽으로 고였네

잎이 넓어질수록 깊어지는 그늘에

어머니는 젖어 있던 웃음을 내어 말렸네

젖무덤 같기도 하였던 당신의 그늘

눈을 뜨니 그늘 밖에 내가 있네         

 

김휼 : 2007년 기독공보 신춘문예, 2017년 열린시학으로 등단하였다. 백교문학상, 여수해양문학상, 목포문학상 본상을 수상했다. 2021년 광주문화재단 창작지원금을 수혜했다.      

    


‘떫고 단단한 불화’를 ‘말랑말랑 분이 생겨 단맛’을 더해주는 것으로 발효시켜주는 그늘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놀랍고 부끄럽다. 그런데 그런 ‘그늘을 즐겨 먹던’ 분이 바로 ‘어머니’라는 사실에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그 그늘은 ‘말이 없는 자리에서 나오는 숨 같은’ 것이었고 그 그늘에는 ‘한없이 어루만져주고 싶은 보드라운 것들이 몸을 맡겼’다. ‘정처가 없는 구름도 제 몸을 부려’오는 그늘은 어머니가 ‘다툼 없이 이룩해 놓은 살가운 영역’이었다. 돌이켜보면 어머니는 늘 웃으셨지만 그 웃음에 물기가 가실 날이 없어 어머니의 웃음은 늘 젖어 있었다. 그러면서도 그 ‘웃음을 내어 말’리면서 ‘당신의 그늘’로 식구들을 품으셨다. 그런데 걱정이 앞선다. ‘눈을 뜨니 그늘 밖에 내가 있’는 것이 보였기 때문이다. 이제 어쩌랴. 나의 그늘은 ‘떫고 단단한 불화’를 발효시키기에는 어머니의 넓고 깊은 그늘에 비해 아직도 턱없이 좁고 얕기 때문이다. 뜬 눈을 다시 감을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손바닥만 한 나의 그늘을 물끄러미 바라만 보면서 몹시 부끄러워한다.(이종섶 시인)


https://youtu.be/Ql8hPt8W7LQ

작가의 이전글 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 - 클라리넷 듀엣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