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휴야 Nov 25. 2022

자기 확신과 아집

스스로를 굳게 믿는다는 '자기 확신'과 자기중심의 좁은 생각에 집착하여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입장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자기만을 내세운다는 뜻을 가진 '아집'이란 단어를 나란히 적다.


한 단어는 긍정적인 기분이 들게 하고, 다른 한 단어는 부정적인 글에 어울려 보인다. 자기 확신은 가지라 하고, 아집버리라고 책들에게서 배운 적도 있었다.


살아가면서 100% 이거다 싶 확신을 가지고 선택할 수 있는 경우가 얼마나 있을까


한 사람이 나에게 짜증을 던졌다. 자기 일이 생각처럼 풀리지 않는지 가만히 앉아있는 나에게 툭 말 던진다.


"듣고 있죠?"


한 사람과 옆에 있던 한 사람이 실컷 대화를 해놓고, 맞은편에 앉아있던 나에게 듣고 있냐니 이게 무슨 말인가. 심지어 반 정도를 가린 파티션 너머로.


듣긴 들었다. 그들은 소리를 내었고 나의 귀는 열려있으니 소리가 담기었겠지. 그렇지만 귀담아듣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난 난처한 표정 을지 었고, 당황스러웠다. 


상대의 물음이 이치에 맞나. 나의 멍청이 같은 대응은 뭘까. 오히려 가까이 존재하는 사람들의 언행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너무나 당연한 듯 물으니 내가 조금 더 신경 썼어야 했나 싶기도 했다. 이로써 난 확신과 한 발자국 멀어진다. 멍청이 같은 생각이었다.  


고작 이 한마디에 생각은 참 많은 꼬리를 물었다. 결국 자기 확신과 아집까지 와버렸다. 이왕 온 거 짚고 넘어가 본다.


나의 아집은 무엇인가. 짜증을 던졌다고 여긴 것이 첫 번째 아집 일지 모르겠다. 상대에게 짜증이 맞는지 확인하지 않았다.


나는 나의 어떤 부분에 확신을 가질 것인가. 옳고 그름을 생각하고, 옳고 그름의 기준을 명확히 정리하는 것부터 해야지.


자기 확신과 아집은 멀지 않은 듯하다. 나란히 적어본 두 단어. 미세한 생각과 행동의 차이로 어떤 단어와 어울리는 사람이 될지 궁금해진다. 


 
 



작가의 이전글 거울 속 변해가는 얼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