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아주 국이나 비름나물로 배를 채우는 사람 중에는
前集_011. 뚜렷해지거나 잃게 되는 것
명아주 국이나 비름나물로 배를 채우는 사람 중에는
얼음같이 맑고 옥처럼 깨끗한(빙청옥결) 사람이 많지만,
비단옷 입고 맛있는 음식 찾아 먹는 사람 중에는
남에게 굽신거리며 아첨하기를 기꺼이 하는 사람이 많다.
무릇 지조란 담박함으로써 뚜렷해지고
절개는 달고 살찐 부귀를 탐하면 잃고 마는 것이다.
藜口莧腸者, 多氷淸玉潔.
여구현장자, 다빙청옥결.
袞衣玉食者, 甘婢膝奴顔.
곤의옥식자, 감비슬노안.
蓋志以澹泊明,
개지이담박명,
而節從肥甘喪也.
이절종비감상야.
志澹泊明, 節肥甘喪.
지담박명, 절비감상.
011.泊明甘喪.
011.박명감상
[차인 생각]
담박 비감이다. 청렴하여 결백한 것이 뭐 그리 대단할까. 소용되지 않는 고리타분한 덕목이다. 그럼에도 마음속으로 자꾸 끌리는 것은 뭔가. 이미 세상에서 청렴결백이란 말이 슬그머니 꼬리를 감추었는데. 그러나 자신의 마음을 뚜렷하게 밝혀 주는 데는 담박함이 최선이다. 스스로의 성정을 맑고 넉넉하게 머물게 하는 게 담박이다. 맑을 담, 머무를 박, 마음이 맑게 머무는 것이다. 사람의 지조는 맑게 머물 때 뚜렷해진다. 먹는 음식이 아무리 거칠어도, 입는 옷이 아무리 하찮아도 지조란 그렇게 성장한다. 맑은 마음이 머물면 합법을 가장한 불의에도 명쾌하게 저항할 수 있다. 살지고 단 비감한 음식에 길들여지지 않는다. 이미 맛난 음식살이에 텀벙 빠져 헤어나지 못하면서도, 빠져 있는지조차 알지 못하는 저 비감한 식생활을 어디서부터 따져봐야 할지. 차인 되어 차생활을 일상에서 진득하게 지속하는 일은 어쩌면 마음을 맑게 머물게 하는 담박한 일상이다. 몸에 좋다고 산나물을 채취하러 봄부터 관광버스와 심산유곡이 앓는다. 재배되는 산나물도 많으니 절제가 필요하다. 채취도 나름대로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반드시 식물 전체를 채취하지 않고 부분 채취하여 남겨 두어야 한다. 잃게 되는 게 무엇 일지를 따진다. 살지고 달콤한 것들의 이면을 바라본다. 비슬 노안이라고 했다. 여자 종의 무릎과 남자 종의 얼굴이란 말이다. 무릎을 꿇고 고개를 숙이며 굽실굽실 비굴하게 남을 대하는 것이다. 여기에 단맛을 느껴 순종하는 이들을 무리에 둔다. 성취한 사람이 흔하게 놓치는 세상살이다. 그러니 입에는 명아주 국과 배에는 비름나물로 채우는 여구현장의 기백을 지닌다. 나물 먹고 물 마시는 근사한 일을 담박하게 담는다. 이만한 일에 이만큼 대우받고, 저만한 일에 저만큼 대우받으려 하지 않는다. 오히려 거친 대접에 심성을 담박하게 다듬을 수 있게 됨을 고마워한다. 그리하여 어깨를 차분히 가라앉히고 달고 기름진 언행 뺀 채, 명아주 국으로 비름나물로 일상을 모신다. 그렇게 사람을 만날 일이다. 오늘은 명아주 국과 비름나물의 마음으로 대화할 참이다.
2011년 3월 4일. 온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