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유형검사 유행이 반가운 이유
MBTI가 큰 유행을 끌면서 ‘과몰입’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너는 이 유형이니까 이런 상황에서 이렇게 행동하겠네?”라든지, “○○유형 여자와 사귀고 싶으면 이런 말을 던져라” 같이 단정 짓는 표현도 많아졌다. 사람의 성격을 16가지로 나눌 수 없고, 검사 결과도 맹신할 수는 없다. 하지만 MBTI의 유행은 긍정적인 요소가 더 많다고 생각한다.
젊은 세대는 대부분 MBTI를 ‘나’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삼는다. 개인에게 집중해주지 않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MBTI는 ‘나를 드러내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자기소개를 하라고 하면 쭈뼛거리는 경우가 많다. ‘나’ 자신인 어떤 사람인지 간결하게 표현하기가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그럴 때 MBTI 검사 결과를 가지고 이야기를 시작하거나, 다른 사람의 결과를 물어보며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다.
나의 MBTI 유형이 무엇인지 밝히면서 대화를 시작하지 않더라도, 검사 질문을 보면서 내가 어떤 성향인지, 무엇을 좋아하는지 곰곰이 생각해보는 것만으로 의미가 있다. 결과보다 중요한 것이 MBTI의 질문들을 곱씹는 일이다. 내가 가장 편안한 상태가 무엇인지 스스로 되새기는 것이다. “나도 나를 모르겠다”는 사람들이 많다. 검사를 할 때마다 결과가 달라지는 경우도 흔하다. 상관없다. MBTI는 자기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엿볼 수도 있다. 서로의 결과를 예상하면서 ‘MBTI 팩폭’ 같은 인터넷 밈을 찾아보는 일은 유쾌하다. 타인의 시선이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내가 편안한 상태’와 ‘내가 타인에게 보이는 모습’ 사이의 괴리를 찾아내 이 간극을 줄이라는 뜻이다. 언제나 내 본모습만을 보여줄 수는 없겠지만, 두꺼운 가면을 내려놓을 필요도 있다. 남에게 보이는 모습보다 내가 생각하는 나의 모습이 더 중요하다. 부자연스러운 상태로 계속 살아갈 수는 없다.
‘나 자신을 잘 아는 것’은 ‘메타 인지’와도 연결된다. 메타 인지는 내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 스스로 잘 안다는 뜻이다. 메타 인지가 중요한 이유는 ‘자존감’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내가 무엇을 잘하고 못 하는지,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나는 누구이고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스스로 잘 아는 사람은 자존감이 높을 수밖에 없다. 성격 테스트를 시작으로 자기 자신과 대화해 나간다면 ‘나’에 대해 좀 더 잘 알게 되면서 자존감도 높아진다. ‘나’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남’의 이야기에도 귀 기울일 수 있다. 보통 자기애가 강한 사람은 이기적일 것이란 편견이 있지만, 오히려 그 반대다. 메타 인지가 잘 돼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타인에게도 너그러운 경우를 자주 목격한다.
‘성격’은 무수히 많은 행동들이 만들어낸 일관된 경향성을 말한다. 모든 사람의 성격이 다 다른 것도 사실이지만, 아주 깊게 들어가지 않는다면 MBTI 테스트처럼 성격 유형을 분류하는 것도 불가능하진 않다. 많은 사람들이 ‘관태기’를 느낀다고 한다. 관태기는 관계와 권태기의 합성어로, 관계 맺는 것에 권태를 느끼는 시기를 뜻한다.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인간관계도 한 박자 쉬어가는 만큼, MBTI 질문들을 통해 나 자신과 대화하는 시간을 가져 보는 건 어떨까.
여러분의 MBTI 성격 유형은 무엇인가요? 댓글로 여러분의 이야기를 남겨주세요.
구독과 좋아요도 큰 힘이 됩니다.
일러스트도 계속 업로드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