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간 금리 비교 & 저축은행 6.5% 고금리 예금 정말 안전할까?
Summary
- 저축은행의 고금리 예금 경쟁과 부실 위험성
- 미국의 연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한국의 기준금리도 상승할 전망
- 급격한 금리 인상과 레고랜드발 PF대출 부실 우려는 과거 저축은행 사태와 데자뷰
- 예금이 무조건 투자원금을 보호하지 않기 때문에 저축은행의 안정성을 체크해야 할 필요성
요즘 경제뉴스는 온통 ‘금리’ 얘기로 떠들썩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지금 부동산시장이나 주식시장 등 모든 자산 시장이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6월 미국은 1994년 이후 28년 만에 0.75%포인트 금리 인상이라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고, 무려 3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이어갔습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3.25%이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 역시 이에 보조를 맞출 수밖에 없어 7월 13일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설립된 1950년 이래 ‘빅스텝(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밟은 것은 처음입니다. 지난 4월과 5월에 이어 7월 금통위까지 세 차례 연속 금리를 인상한 것 역시 한국은행 역사상 처음 있는 일입니다.
이렇게 금리가 빠르고 가파르게 인상되다 보니 사회 곳곳에서 다양한 잡음이 생겨납니다. 시장금리 상승은 주식시장과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를 차갑게 식게 만들었습니다. 대출금리가 많이 올라서 한껏 부채를 끌어 쓴 ‘영끌족’들의 이자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경제에 있어 금리는 환율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는 경기가 좋을 때 상승하고, 경기가 둔화되어 기업의 투자수요 등이 위축되면 하락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해도 금리가 상승합니다.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물가가 상승해서 화폐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돈을 빌려주는 입장에서는 더 높은 이자를 요구하게 됩니다. 지금 급격한 금리 인상의 주된 요인은 바로 엄청난 물가인상, 즉 인플레이션입니다.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습니다!’ 높은 고금리의 이자 뒤에는 또 어떤 투자원금 손실 우려가 있을지 모릅니다. 은행에 예금한다고 무조건 투자원금이 보호된다고 안전하다는 생각은 금물입니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기 때문에, 아무리 큰 슬픔과 고난이 닥쳐도 시간이 지나면 잊게 되기 마련입니다. 투자 세계에서도 그렇습니다. 주식으로 큰 손실을 본 사람들도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면 언제 그랬느냐 싶게 주식투자에 나서고, 저축은행의 고금리에 혹해서 큰돈을 맡겼다가 저축은행이 문을 닫게 되어 큰 손실을 보게 되기도 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는 '줌 투자노트'에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줌 투자노트'에서 '황금별의 부자노트'를 검색해주세요!!
https://invest.zum.com/investment/view/1064?cm=invest_investment_contents_top6&r=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