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텔라 황 Aug 25. 2023

용감한 포기가 절실할 때도 있다

한겨레21 연재 중,한겨레 신문; 끈기보다 끊기'


전원 신청이 왔다. 미국은 응급이 아니면 보험에 따라갈 수 있는 병원이 정해져 있다. 이 병원의 전원 요청은 가뭄에 콩 나듯 드물었다. 이런 경우 둘 중에 하나다. 아기가 매우 심각한 상태라 4차 병원이 필요한 경우, 아니면 아기 상태가 불안정해서 보험이 연계된 3차 병원까지 전원이 힘든 경우. 아기가 많이 아프다는 것은 명백했다. 구급차를 타고 최대한 빨리 병원에 도착했다. 두 달 이상 빨리 나온 쌍둥이 아기 중 한 명이었다. 무슨 이유인지 생체 징후가 심상치 않았다. 침대 옆에 주렁주렁 달린 줄로 끊임없이 치료액이 들어가고 있었다. 무엇보다 폐혈관의 압력이 높아 산소 공급과 가스 교환이 거의 되지 않았다. 게다가 쌍둥이 중 한 명만 극도로 아픈 경우였다. 엄마는 제왕절개로 퇴원할 수가 없었다. 아기 상태가 너무 좋지 않아서 전원이 망설여졌다.

누군가 내게 최악의 죽음을 꼽으라면, 구급차 안에서 혼자 맞는 죽음이라고 말할 것이다. 아기 아빠는 우리와 함께 갈 수도 있다. 하지만 엄마는 제왕절개를 한 터라 그럴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 신생아중환자실에 올라와 직접 아기를 보지도 못했다. 아빠에게 아기 상태를 설명하고 앞으로의 치료 방향과 좋지 않은 예후를 전했다. 한참을 무표정으로 듣던 아빠는 간절한 목소리로 내게 물었다.

“이 아기가 선생님 아기라면 어쩌시겠어요?”

자주 듣는 질문이다. 어떤 선택이든 쉽지 않다. 만약 다른 의사였다면 어떤 대답을 했을까. 주저함을 잠시 내려두고 포기하고 싶지 않은 마음을 전했다.

“아마 전원을 할 것 같아요. 살 수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아기가 구급차에서 죽을 수도, 갑자기 상태가 악화돼서 전원한 병원에서 죽을 수도 있어요. 부모님께서 아기의 마지막을 지켜주지 못할 수도 있어요.”

내 말이 끝나자마자 그는 결의의 찬 표정으로 외치듯이 말했다.

“갑시다! 한 번 시도나 해봅시다!”

그가 나를 뚫어지게 바라보며 말했을 때 내가 원한 답이 아니었음을 단박에 알아챘다. 솔직히 난 알았다. 시도야 해볼 수 있지만 이 미숙아는 십중팔구, 아니 99% 이상의 확률로 사망한다는 것을. 그리고 1%의 확률로 살더라도 워낙 위중해 많은 합병증이 따른다는 것을. 간단한 덧셈은커녕 두 다리로 걷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포기를 모르는 나 때문에, 그 1%의 확률을 믿은 나 때문에 아빠는 전원을 결정했다. 고백하건대, 다시 돌아간다면 반대의 대답을 해주리라.

전원을 온 아기는 좀 좋아지는 듯했다. 잠시나마 4차 병원에서 일한다는 것이 자랑스러웠다. 또 내가 확률을 무시하고 데리고 온 아기가 나의 치료로 좋아진 것이 뿌듯해지기까지 했다. 하지만 예측한 대로 산소포화도는 다시 최저점을 향해 내려갔다. 혈압은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뚝뚝 떨어졌다. 하다못해 몸 전체에서 출혈과 혈액 응고가 동시에 일어나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졌다. 작은 머리 안에서는 심각한 출혈이 발생했다. 이미 시뻘건 피가 한쪽 머리 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최선을 다했지만 아기가 날아오르기도 전에 날개가 꺾여 버렸다. 난데없이 일어난 일이라 잠시 엄마와 아기의 동생을 보러 간 아빠는 이 당혹스러운 죽음을 지키지 못했다. 내가 가장 증오하는 죽음이 내 앞에 놓여 있었다. 사랑하는 가족 곁이 아닌, 동정과 연민만이 가득한 의료진에 둘러싸여 아기가 죽었다.

전원을 하지 말았어야 할 아기를 손수 데려왔다. 최악의 죽음도 가져왔다. 황망하게 떠난 아기 앞에 선 아빠의 얼굴은 일그러져 있었다. 나를 원망하는 눈빛은 넘치는 눈물에 가려 보이지 않았다. 이 상황 자체를 받아들이기도 어려운데 아기 엄마에겐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망연자실한 얼굴이었다. 그 얼굴을 나도 하고 있었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부모는 이 순간을 상기시켜 주는 얼굴을 매일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허망하게 보낸 아기의 얼굴이 똑같이 생긴 동생 얼굴 위로 겹쳐 보일 것이다. 내가 놓친 작은 생명이 동생 얼굴 위로 아른아른 피어오를 것이다. 잊고 있었다. 부모에게 최악의 죽음은 쌍둥이 중 한 명의 죽음이라는 것을. 지옥의 순간을 내가, 두 손으로 빚어 부모에게 선사한 꼴이 되어버렸다. 그 전원 신청을 거부했어야 했다. 아기 아빠가 나를 뚫어지게 쳐다봤어도 눈을 꼭 감았어야 했다. 나라면 어떻게 하겠느냐고 물어도, 입을 꾹 다물었어야 했다. 아기는 그 병원에 남아 가족과 함께 했어야 했다. 엄마와 아빠의 따듯한 품에서 마지막 숨을 뱉었어야 했다. 확률의 주사위를 무시한 채 포기하지 않은 것이 두고두고 후회되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 닐 로스 교수는 ‘하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는 ‘한 일에 대한 후회’보다 오랫동안 더 자주 한다고 말했다. 그에 따른 상실도 ‘하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가 더 크다고 했다. 만약 전원을 하지 않았으면 내 아픔과 후회가 더 오래갔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가족의 마지막을 지켜줄 수 있었다면 아예 후회조차 하지 않았을지도. 전원으로 아빠의 상실 그리고 슬픔이 조금이나마 줄었을지도 모르겠다. 비록 결과가 최악이라도 ‘그만한 가치가 있었다’고 초라한 정당화라도 가능하니까. 어떤 종류의 후회는 저지르고 나서 다시 담을 수 없기에 더 아리다. 그 선택이 틀렸다는 것을 아는 순간, 할 수 있는 바가 나를 향한 증오밖에 없어 서러움만 남으니까. 융단 폭격 수준의 미움과 슬픔을 견뎌냈는데, 용서를 구할 상대조차 없어 더 아픈 밤이었다. 닐 로스 교수는 다른 부정적인 감정과는 달리 후회는 이로움을 달고 나온다고 덧붙였다. 후회를 통해 제어 있는 활동을 끌어내 나은 삶도 가져다준다고. 어느 책 제목처럼 ‘끈기 보다 끊기’ 객기 대신 용감한 포기가 절실할 때도 있다.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4255.html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105960.html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28/0002653961?ntype=RANKING&sid=001


매거진의 이전글 올리비아는 세상에 없지만 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