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NEW LIFE 뉴라이프 Jul 09. 2023

원격치유는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을까?

Remote Healing



이번에는 힐링 분야에서 잘 알려진 '원격치유'에 대해 과학적 검증을 해보고자 합니다. 처음 들어보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 간단히 설명하자면, '원격치유'란 '레이키(Reiki)'와 같은 '정신적/육체적 치유'를 수 킬로미터 떨어진 원격지에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시술 행위라고 합니다. 물론 '레이키나 힐링 자체를 믿지 않는다', '멀리 떨어진 상대에게 힐링을 보낸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일축하는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세상에는 이 '원격 치유'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진지하게 연구하는 과학자들도 세계 곳곳에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 실현 가능성에 대해 진지하게 과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이번 연구 논문을 소개하기 전에 '양자물리학(Quantum Physics)'에 대해 조금 설명하겠습니다. 양자 역학(원자보다 작은 소립자 등)의 세계에서는 우리의 일상적인 물리화학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기이한 현상들이 일어납니다. 대표적으로 유명한 것으로 '슈뢰딩거의 고양이(*1)'라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너무 유명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자 속 고양이는 50%는 살아 있고 50%는 죽어 있다'는 '이상한 상태'가 양자물리학에서는 존재합니다. "어떤 양자의 상태는 측정할 때까지 여러 상태를 유지한다/관찰하는 순간 그 결과가 결정된다/결과는 관찰이라는 행위에 의해 발생한다"는 현상이 양자의 세계에서는 당연하게 일어납니다. 먼저 '양자물리학에서는 우리의 상식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 *2)'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양자 얽힘"이란 원래는 전문가의 설명이 필요하겠지만,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면 '연관성을 가진 양자 쌍이나 그룹에서 한쪽 양자를 측정하면 다른 쪽 양자의 측정 결과도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쌍은 아무리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측정된 결과는 항상 동일하게 결정된다"는 성질입니다.


비유하자면, '어떤 쌍둥이 중 한 쌍둥이가 미국에서 '카레가 먹고 싶다'고 생각했을 때, 동시에 일본에 있던 다른 쌍둥이도 '카레가 먹고 싶다'고 생각했다', '인도에 있는 쌍둥이 중 한 쌍둥이가 부상으로 오른손에 멍이 들었을 때, 브라질에 있는 다른 쌍둥이의 오른손에도 멍이 들었다'와 같은 같은 싱크로 현상이 양자 간의 세계에서는 정확하게 일어나며, '양자 얽힘'의 관계로 여겨지고 있습니다(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설명되어 있는 블로그나 자료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3, *4). 양자의 세계에서는 '한 쪽의 성질이 결정되면, 아무리 멀리 떨어진 무관한 곳에 있더라도 양자 얽힘 관계에 있는 다른 쪽의 성질도 결정된다'는 법칙(*2)을 기억해두면 좋습니다.


위와 같은 '양자 역학의 비상식적인 성질'을 바탕으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제목은 '배양된 섬유아세포의 재증식에 있어 '양자 얽힘'의 효과(*5)'로 2021년 독일 연구진에 의해 발표된 논문입니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장치는 '90.10CUBE'라는 장치 주변에 토러스 필드(*6)를 발생시키는 양자 에너지 생성 장치로 멕시코의 어느 도시 연구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험 대상은 배양된 섬유아세포(섬유아세포)로, 이는 실험에 자주 사용되는 인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세포로, 상처가 아물 때 등에 분열・증식하여 조직을 복구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입니다. 이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활성화에 따라 상처의 치유가 빨라지거나 느려집니다. 이 실험 대상 세포는 독일의 연구 시설에 있습니다. 세포배양배지(용기)를 A, B, C 세 종류로 준비하여 A의 위치에 해당하는 사진(세포가 없는 용기만 있는 사진)과 B의 위치에 해당하는 사진(용기에 미리 섬유아세포가 채워져 있는 사진)을 멕시코로 보내어 양자장치 근처에 사진을 설치합니다. C의 용기는 대조군(비교 대조군)을 위해 사진도 찍지 않고 A/B와 같은 환경에서 세포를 배양할 뿐입니다(그림 2). A와 B는 준비하는 사진은 다르지만, 세포를 배양하는 조건은 완전히 동일합니다(C도 마찬가지입니다).



"세포의 증식과 재생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처음 용기에 세포를 뿌릴 때 중앙에 일정한 틈새를 만들어 놓습니다. 세포의 증식과 활성화가 활발할수록 틈새가 빨리 막히고, 활성화가 낮으면 틈새가 넓게 남게 되는데, A/B/C를 위의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고, 같은 위치에서 3회씩, 장소를 바꿔가며 총 24회 측정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습니다.


실험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멕시코의 양자 에너지 장치 부근에 실험 대상의 사진을 설치한다.

- 양자 에너지 장치라고 해서 구체적으로 전자파 등을 보내는 것은 아니다.

- 두 연구소는 약 8600km 떨어진 곳에 있다.

- 대상 세포에 대응하는 장소의 "사진"만이 정보로 주어지고 있다.

- "사진" 이외에는 장치와 배양세포의 연결고리는 아무것도 없다.

- 이 상태에서 "독일의 배양 세포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라는 연구입니다.


실험 대상인 A/B/C 세포의 결과는 그림과 같습니다. 먼저 C의 세포(비교 대조군)를 보면 중앙에 틈새가 아직 많이 남아 있어 세포의 증식이 그다지 활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A의 세포(장치에 같은 위치의 빈 용기 사진을 설치)를 보면 중앙의 틈새가 좁아져 좌우에서 세포가 증식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B의 세포(장치에 같은 위치의 세포가 가득 찬 용기 사진을 설치)를 보면, 전체가 세포로 뒤덮여 틈새가 거의 막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체라면 '상처가 빨리 낫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24회분의 세포 이동거리 측정 결과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역시 세포가 활발하게 활동할수록 분열/증식/이동거리의 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활성화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를 보면 우선 C의 대조군(회색 원)이 전체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높은 것은 A의 '빈 용기 사진을 설치한' 그룹(녹색 원)이고, 가장 활발하게 이동한 것은 B의 '세포가 가득 찬 사진을 설치한' 그룹(빨간색 원)이었습니다. 각 군별로 비교해보면, C군(회색 원)에 비해 A군(녹색 원)은 29.1%(±9.3%), B군(빨간색 원)은 37.8%(±8.9%)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높은 활성을 보였습니다(p≤0.01).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 A/B/C의 세 배양세포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 장치와 사진으로 연결된 그룹(A/B)이 분명히 세포가 활성화되어 있었다.

- 8600km 떨어진 곳에서 한 쪽에 일어난 영향이 다른 쪽에 변화를 일으켰다.

- "이상적인 상태의 사진"의 그룹(B)의 효과가 유의미했다.

- "사진“만으로 정확한 주소나 차원 좌표도 없이 상호작용이 출현했다.


위와 같은 결과로, 이번에는 놀라운 결과가 입증되었습니다. 물론, 이전부터 이런 시술을 해오신 분들에게는 이제와서 놀랄 일은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그런 '알 수 없는', '의심이 가는' 시술이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는 것은 놀랍고 새로운 사실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사진을 이용했는데, '사진'은 사실 그 당시의 정경을 이미지로 재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당시의 시간적 공간적 정보도 함께 담고 있다"는 것, 그리고 "찍은 사진과 찍힌 장소 사이에는 양자물리학적인 링크(양자 얽힘)가 발생한다"는 생각을 하면 이번 현상을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이 실험에 사용된 섬유아세포는 앞서 언급했듯이 상처 치유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상처가 빨리 낫는다', '손상된 장기를 회복시킨다' 등의 일이 실제로 입증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원격 치유의 경우, 대상자를 떠올림으로써 생각 속에 생긴 대상자와 현실 속의 대상자에게 양자 역학적 연결이 발생하여, 한 쪽에 레이키 등의 치유 에너지를 보내면 다른 쪽에도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은 이 실험 결과에서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치유 에너지를 보낼 때 흔히 '완치된 상태/좋은 상태/이상적인 상태를 상상하면 좋다'고 하는데, 이 실험으로 입증된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 세상에는 새로운 것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습니다. "원격 치유"라는 기묘하게 들리는 이야기도 사실은 고도의 양자물리학에 기반한 미래 기술을 원리로 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이 연구도 어쩌면 부작용이 전혀 없는 미래 의료의 선구자적인 연구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저자: Takuma Nomiya I 번역: Sim Min Aa



Profile



Takuma Nomiya 의사・의학박사

임상의사로서 20년 이상 다양한 질병과 환자를 접하며 신체적 문제와 동시에 정신적 문제도 다루고 있다. 기초연구와 임상연구로 다수의 영문 연구 논문을 집필. 그 성과는 해외에서도 인정받아 직접 학술 논문을 집필할 뿐만 아니라 해외 의학 학술지로부터 연구 논문의 피어리뷰 의뢰를 받기도 한다. 증거중심주의에 치우치지 않기 위해 미개척 연구 분야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의료의 미래를 계속 탐구하고 있다.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Takuma-Nomiya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DGtJE_kAAAAJ&hl=ko&oi=ao





인용문


출처: NewLife Magazine_명상, 뇌, 행복 호르몬… 의학 시선의 진짜 이야기

https://note.com/newlifemagazine/n/n349ffafbd715?magazine_key=mb580e4b26aa4


*1. 슈뢰딩거 고양이: Wikipedia https://ja.wikipedia.org/wiki/シュレーディンガーの猫 

*2. 양자 얽힘: Wikipedia https://ja.wikipedia.org/wiki/量子もつれ

*3. 양자 얽힘이란 무엇인가  https://yuko.tv/quantum-entanglement/ 

*4. Akihisa Tomita. Generation of Entangled Photon Pairs. 光学 2004, 33-5, p264-270 

*5. Peter C Dartsch, Effect of 90.10. Quantum Entanglement on Regeneration of Cultured Connective Tissue Fibroblasts. Biomedical Journal of Scientific & Technical Research. September, 2021, Volume 38, 5, pp 30841-30844. DOI: 10.26717/BJSTR.2021.38.006227 

*6. 토러스: Wikipedia https://ja.wikipedia.org/wiki/トーラス





※인용문헌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논문의 저자 또는 발행인에게 귀속됩니다.

※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에게 귀속됩니다. 본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무단으로 전재 및 2차 이용을 금지합니다.

※저자는 집필 내용에 있어 이해상충 관계에 있는 기업 등은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전문/후문 일부는 번역가에 의해 재편집되었습니다.



'새로운 시대'의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 'NEW LIFE'는 '이상적인 새로운 세상'을 진심으로 추구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온라인 미디어입니다.

은하 수준의 파격적인 새로운 정보로 누구나 본질로 살 수 있는 시대를 지향합니다.


NEWLIFE KOREA https://brunch.co.kr/@newlifekorea

NEWLIFE JAPAN https://note.com/newlifemagazine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