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수연 Dec 01. 2017

길거리 사진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떠나되 남겨지는 사람



2017년 08월 19일. 함께 여행했던 수경 언니와 하나언니가 한국으로 떠나는 날. 함께 한국으로 돌아가야 될 것 같은데 우리에겐 한국행 비행기가 아니라 모스크바로 떠나는 시베리아 횡단 열차 표 2장만 있을 뿐. 내가 한 마디 하면 세 마디로 돌아오던 대답이 다시 하나가 됐다는 사실에 외로워졌고, 떠나고 나서야 느낄 수 있는 사람의 향기가 그리움처럼 오래도록 코끝을 찡하게 했다. 숙소에 들러 짐을 정리하고 다른 숙소로 옮겼다. 핸드폰에 남겨진 잔여 배터리 7%쯤 된다고 말할 수 있겠다. 딱 지금 우리 상태가. 선명했던 화면이 흐릿해지기 시작했다. 충전이 필요하다.







충전 중



해양공원에서 아르바트 거리로 걷고 있는데 저 멀리 풍선이 바람결 따라 춤추고 있었고 주위에는 많은 사람들로 가득 차 있었다. 분명 충전할 수 있는 콘센트가 있을 거라 생각했다. 아르바트 중앙 거리에서 포토그래퍼들의 사진을 줄에 걸어두고 마음에 드는 사진이 있으면 가져가거나 교환하는 사진전이 열리고 있었다. 두 말할 것 없이 혜원이와 나는 구글 지도를 열어 가장 가까운 사진관을 찾았다. 영어권이 아닌 러시아에서 언어의 벽이 높음을 매일 깨닫게 되는데 오늘도 마찬가지다. 도와주세요 구글씨.

- 원하는 사진을 여기 메일로 보내줘. 사진 하나에 한 장씩? 사이즈는? 오케이, 20분 기다려.

컴퓨터 화면에 구글 번역기를 열어 영어에서 러시아어로 몇 번의 키보드를 주고받으며 마침내 우리는 인화를 할 수 있었다. 인화된 사진 뒷면에는 사진에 대한 짧은 글을 남겼고 곧장 아르바트 거리로 나갔다. 혜원이가 빨리 걷는 이유는 딱 두 가지다. 처음 가는 길을 찾을 때와 재미있는 무언가를 발견했을 때. 혜원이 걸음이 빨라졌고 뒤 따라 걷는 내 심장은 그 걸음에 맞춰 빠르게 뛰고 있었다.




입구에서 사진을 걸 수 있는 집게를 사진 장수에 맞춰 쥐어들고는 다른 이들의 길게 늘어진 추억 속에 우리를 걸었다. 빈자리를 찾으며 천천히 우리 추억으로 채워나갔고 걸어 놓기 바쁘게 사람들은 사진을 가져가기 시작했다. 저 멀리서 한 남학생이 내 사진 앞에 멈췄다. 그리고 내 사진이 그의 손에 닿았다. 떨리는 마음으로 그에게 다가가 사진 한 장을 요청했다. 내 사진을 들고 있는 그를 보면서 고맙고 뿌듯한 마음도 있었지만 사실 더 고맙고 뭉클했던 건 그가 입고 있던 티셔츠 오른쪽 팔에 박혀 있던 태극기였다.



8월의 어느 오후. 아르바트 거리 사진전. 그들이 전해주는 사진의 감정은 무심한 듯 툭 - 찍은 사진처럼 보였지만 절대 가볍지 않았고, 온전히 있는 그대로 사진 속의 생각과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면 영어가 내리지 않는 이 땅에서 서로 다른 언어에 얽매일 필요가 없었다. 그리고 늘 소금물로 갈증을 해소하듯 무료한 여행에서 오늘은 목마르지 않았다.





<사진전 사진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