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조사... 국민 대다수 플라스틱 생산 감축 필요하다고 답
우리나라 시민 10명중 8명이 플라스틱 생산을 감축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린피스가 5일 발표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 세계 시민 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시민 81.8%가 '플라스틱 오염을 해결하려면 플라스틱 생산 감축이 필요하다'에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 81.8% "플라스틱 오염 해결하려면 플라스틱 생산 감축 필요"
또 시민의 85%는 정부와 기업이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를 재사용 및 리필 가능한 포장재로 전환을 의무화해 국제플라스틱 협약에 명시해야 한다는데 동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전 세계 다양한 국가의 정책결정자들이 모여 플라스틱 오염에서 벗어나기 위해 플라스틱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생애 주기에 걸친 규칙을 만드는 회의다.
그린피스의 이번 조사는 오는 4월 23일 캐나다에서 열릴 예정인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위한 제4차 정부간 협상 위원회(INC4)를 앞두고 우리나라를 포함해 총 19개국 1만 90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 조사에서 국제 플라스틱 협약 우호국 연합 의장국 중 하나인 노르웨이(77.2%) 응답률보다 우리나라 응답률이 더 높은 게 눈에 띈다.
"한국 정부, 플라스틱 생산 제한에 소극적"
그린피스에 따르면 현재 플라스틱 감축방안을 두고 '생산 자체를 줄이자'는 주장과 '재활용을 포함해 폐기물 처리에 중점을 두자'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폐기물 처리에 중점을 두자는 측은 플라스틱 생산이 주 수익원인 석유 화학업계를 중심으로 로비를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린피스는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하기 위해 2040년까지 플라스틱 총 생산량을 75% 이상 감축하는 목표를 국제 플라스틱 협약에 포함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환경부)는 플라스틱 생산 제한에는 소극적인 입장이다. 신재생산 감축목표 설정에 신중 접근을 한다는 것이 환경부의 입장인데, 화학적 재활용과 열분해 등 폐기물 관리에 집중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는 상태다.
우리나라는 강력한 협약을 지지하는 우호국 연합(HAC) 소속으로 분류되고 올해 11월에는 마지막 협상 회의가 우리나라 부산에서 열리기도 한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의 주장과 달리 우리나라 정부는 특정 산업의 이익을 옹호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받는 실정이다.
한편, 2022년 11월 우루과이에서 첫 회의를 시작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지금까지 5차례의 정부간협상위원회를 거쳐 올해말 체결 예정이다. 아직까지는 협약 초안이 완성되지 못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