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젊은 시절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anderer Apr 21. 2022

꽃가루 알레르기

영화 '레이디 버드'


 크리스틴, '레이디 버드'는 새크라멘토에 살고 있다. 지루한 고향을 벗어나 창의적인 도시로 대학을 가는 게 목표다. 고향에는 그녀가 싫어하는 것투성이다. 철로변에 있는 집과 수많은 규칙들. 그녀는 별다를 것 없는 인생을 만드는 건 이런 환경이라고 생각했다. 이곳을 벗어나기만 하면 괜찮을 인생이 될 것만 같다. 이름은 나름대로 괜찮을 인생의 첫걸음이다. 남들과 같지 않을 무언가. 모든 것이 정해져 있던 일상 속에 내가 정한 무언가였으니까. 이름 정도면 다른 특별한 무언가에 비해 저렴한 편이었다. 그건 공짜니까. 끊임없이 그 이름을 주장하려는 노력은 기울여야 했지만 그 정도면 충분했다. 엄마가 화날 때면 그 이름 말고 다른 이름으로 또박또박 부르는 건 변함없지만 상관없었다. 내가 지은 이름만은 나의 영토니까.


 레이디 버드는 자신이 정한 이름으로 불리길 원한다. 사회의 규칙에 맞춰 살기 바쁜 나이에는 본인이 원하는 이름 하나 정하는 것 정도가 그나마 자력으로 얻을 수 있는 특별함이다. 원하는 모든 걸 가질 수 없다는 건 자라는 내내 배워가지만 배운다고 납득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때때로 불합리한 일들은 논리와 관계없이 발생한다. 재난처럼 벌어지는 일은 그저 감당해야 한다. 몸에 익지 않은 불편한 감정들은 견디다 보면 조금씩 그 한계치가 늘어난다. 윤리적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아는 것과 별개로 사람을 대하는 방법은 직접 부딪혀 봐야 알 수 있다. 서로 상처를 주고받으면서 조금씩 깨우쳐간다.


 어른의 길목에 선 이들이 겪는 희로애락은 몇 마디 말로 서술하기엔 역부족이다. 끝없는 우울감과 고민은 존재를 뒤흔든다. 생각해보면 그때는 0 아니면 1밖에 없었다. 보통은 제 성질에 못 이겨 감정을 터뜨리고 결과물은 어디 한 군데 깁스를 하거나 사건의 주역이 되는 식이다. 충동은 감정을 가속하고 내리막의 끝에 나오는 말들은 곱지 않다.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보고 싶은 마음은 종종 주변에 상처를 남기기도 한다. 자신을 돋보이게 만드는 노력은 어렵지만, 주변을 낮춰보는 일은 훨씬 쉬우니까 쉬운 길을 택하게 된다. 나도 모를 내 마음을 남에게 전하는 건 번번이 엉뚱한 곳에 날아가 꽂힌다.


 한 풀 내 생각을 벗겨내면 타인의 의외성에 감화되는 순간이 온다. 진심으로 아끼고 속 깊은 조언을 해주는 이들의 모습을 보면 생각의 축이 움직인다. 영화에서 전하지 못한 진심을 뒤늦게 발견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 모습이 너무 애틋하다. 쓰려다 말고, 다시 쓰려다 접어버린 편지에 진심이 있다. 진심은 못다 끝낸 문장 안에 있었다. 레이디 버드는 편지를 읽고 크리스틴으로 전화를 건다.


 봄은 마냥 행복한 계절은 아니었다. 적어도 나에겐 노란 꽃가루가 일렁이는 세계가 한참은 고통스럽기도 했다. 봄에 태어났는데 꽃가루 알레르기를 겪는 아이러니라니 거 참. 봄을 생각하는 시기, 사춘기도 꽃가루 알레르기 같다. 마음에서 뭐든 밀어내는 계절, 한철 왔다 가고 고통스러운 증상도 나타난다. 따지고 보면 사춘기를 ‘질풍노도의 시기’로 묘사하기보다 ‘꽃가루 알레르기’로 부르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격정을 인내했던 시절은 생각보다 빠르게 나를 지나쳐갔다. 마냥 고통스럽기만 했던 건 아니다. 생각보다 사춘기의 끝은 가까웠다. 여드름만 남기고 떠나진 않았다. 관계와 존재에 대한 애틋한 마음은 어쩌면 저 시절의 흔적이 아닐까 싶다.


사진 출처 : 다음 영화 '레이디 버드'

매거진의 이전글 집에서 벗어나는 홈비디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