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노아 Aug 23. 2019

하루와 동행  

하루를 때우기 & 나누기

하루를 사는 모든 사람의 일상은 대부분 비슷하다.

잠을 자고 일어나 각자 하루 일에 맞추어 준비를 한다. 분주한 하루가 시작된다. 우리는 하루가 매일 바쁘다고 한다. 그 바쁨의 이유는 무엇일까?  대부분 먹고사는 일 때문이다. 직업을 유지하는 일과 직업을 가지려고 준비하는 일 (학교를 다니는 일도) 그렇게 벌어온 것으로 먹을 것을 만들고 하고 싶은 것을 하고 먹고사는 일을 하다가 계속 생겨나는 캐시파일 같은 잡동사니 일들과, 한편 우리 일상에 무작위로 뛰어드는 불행이라는 녀석 뒤치다꺼리하는 일이다. 하루는 이처럼 우리와 바쁘고 힘겹게 동행한다.


반대로 하루를 때우며 살아가는 사람도 있다. 노인이나 재소자, 은퇴자, 실직자, 환자, 여유로운 가정주부 등이다. 감옥에 갇힌 사람은 하루가 무료하다.  세상처럼 분주하지도 않고 경쟁을 위해 싸울 일도 없다.  감옥의 주된 목적은 시간을 보내는 일이다.  이들에게 하루는 재미없다.  어제가 오늘이고 오늘이 내일이다.


감옥이 아니라도 하루가 무료한 사람은 많다. 하루는 더 이상 의미를 창조하지도 않고 목표도 없다.

죽음을 앞둔 환자는 또 살아남은 하루가 공포스럽게 지나간다. 하루가 끝나면 다시는 눈을 뜰 수 없을지 몰라 하루가 보내는 침묵의 협박은 잔인하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하루가 영원할 것 같아 하루에게 단 한 번 눈길조차 주지 않고 그렇고 그런 세상에 온 힘을 다  쏟으며 살아간다. 그 최선의 노력은 멋진 삶을 위하여! 가 아닌 멋진 직업을 위하여! 일 것이다.  


어떤 교수는 우리가 재수 없으면 200년을 살지 모르는 시대로 진입한다고 한다. 이 대목 "재수 없으면 200년"은  장수의 축복이 아니라 저주처럼 들릴까? 장수하며 살아 보니 재미없는 세상이 너무 길어서 그런 것이다.


실업자의 하루도 너무 길고 무료하다. 이 실업이 일시적이거나 자진해서 이루어진 것이면 쉬는 시간으로 삼으면 그만 일 테지만 앞으로 이 실업이 언제 끝날지 모른다면 그 무력감은 고통스러운 무료함으로 변한다.

할 일을 찾아야 한다.   무료함의 늪에서 보내는 시간만큼 빠져들어가기 때문이다.


그들은 이 무료함에서 벗어나는 묘수를 찾기 시작했다. 사람들과 어울려보고 취미생활을 확장시키고 건강관리도 좀 더 체계적으로 해보고 종교도 기웃거린다. 그러나 하루는 매일매일 힘없이 기가 죽어 그들 곁을 떠난다.

하루 역시 그들과의 동행이 싫증 나고 재미없어 보인다.


하루와 의미 없는 동행을 말없이 하다 보면  어느 날 하루가 보이지 않는 날이 오게 된다. 웃지도 못하고 울지도 못한 채 병실에 갇혀 죽을 때까지  냉담해진 하루와 헤어질 마지막 그날을 기다리게 된다.


"당신에게 평범한 하루는 누군가 간절히 바라는 하루"라는 말이 기억난다.




호스피스에서 마무리하는 사람들을  위해 봉사했다. 보통은 한 달 전후해서 세상을 떠나간다.  

간혹 6개월까지 생활을 하는 분들이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그리 긴 시간을 병상에서 보내지 못한다.

이분들의 특징은 자신의 치료가 포기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아무리 중한 병을 앓고 있더라도 사람들은 병을 이기기 위해 병원 생활을 하는데 비해 이분들은 죽을 것을 기다리며 병상에 머문다.  잔인한 하루와의 싸움이다.  호스피스에 들어가면 모두가 임종을 편히 맞는 것으로 오해하는데 모두가 제각기 다른 마지막 하루를 보낸다.  이들의 가장 보편적인 특징은 대부분 병세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자아가 신속히 무너지는 공통된 특징을 가진다.  하루는 50대 초반으로 보이는 췌장암 말기 환자와 대화를 하게 되었다.


" 진통제의 약발이 살아있는 오전 한두 시간을 제외하고는 살고 싶지 않아요" 


통증이 없는 단 몇 시간이 자신의 존재 이유라는 것이었다. 만약 통증 없고 염려 없는 하루가 주어진다면 그 시간은 그에게 영원히 기념할 하루로 기억될 것이다.   


하루와 나누기      

이제 하루 때우기는 그만 해야 한다.  

이 하루와 추억에 남 길 일을 나누며 가야 한다.

나에겐 무엇이 하루와 함께 잘 지낸 것일까?

멈추고 생각해 보았다.

...


방해받을 일과 업무와 관련된 일정이 없는 날, 책이 가득한 알라딘 서점에 들러 에스프레소 마시며 책을 읽고 글을 쓰는 순간들. 아내와 강아지와 함께 산책하는 시간. 

가족여행.

아이들과 함께 지내는 순간. 혼자서 클래식 음악을 귀에 담고 걷는 산책.  "그중에 최고는 인생의 배움이지" 

정리가 되었다. 생각을 마치고 나자 "메멘토 모리"가 떠오른다. 하루와 동행해야 할 열정들이 갑자기 샘물처럼 솟아오르기 시작했다.


뇌과학자 올리버 색스를 개인적으로 많이 좋아한다. 오래전 그가 타계하기 전부터 그를 주목하고 있었다.

마침 그가 죽고 나자 그가 하루와 어떻게 마지막을 나누었는지 그의 남겨진 스토리가 소개되기 시작했다.

여기 그의 남겨진 이야기를 담아 글을 마치려 한다.  

 


My Own Life

By Oliver Sacks                                    

  Feb. 19, 2015








A MONTH ago, I felt that I was in good health, even robust health. At 81, I still swim a mile a day. But my luck has run out — a few weeks ago I learned that I have multiple metastases in the liver. Nine years ago it was discovered that I had a rare tumor of the eye, an ocular melanoma. The radiation and lasering to remove the tumor ultimately left me blind in that eye. But though ocular melanomas metastasize in perhaps 50 percent of cases, given the particulars of my own case, the likelihood was much smaller. I am among the unlucky ones.


I feel grateful that I have been granted nine years of good health and productivity since the original diagnosis, but now I am face to face with dying. The cancer occupies a third of my liver, and though its advance may be slowed, this particular sort of cancer cannot be halted.


It is up to me now to choose how to live out the months that remain to me. I have to live in the richest, deepest, most productive way I can. In this I am encouraged by the words of one of my favorite philosophers, David Hume, who, upon learning that he was mortally ill at age 65, wrote a short autobiography in a single day in April of 1776. He titled it “My Own Life.”


“I now reckon upon a speedy dissolution,” he wrote. “I have suffered very little pain from my disorder; and what is more strange, have, notwithstanding the great decline of my person, never suffered a moment’s abatement of my spirits. I possess the same ardour as ever in study, and the same gaiety in company.”

I have been lucky enough to live past 80, and the 15 years allotted to me beyond Hume’s three score and five have been equally rich in work and love. In that time, I have published five books and completed an autobiography (rather longer than Hume’s few pages) to be published this spring; I have several other books nearly finished.


Hume continued, “I am ... a man of mild dispositions, of command of temper, of an open, social, and cheerful humour, capable of attachment, but little susceptible of enmity, and of great moderation in all my passions.”


Here I depart from Hume. While I have enjoyed loving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and have no real enmities, I cannot say (nor would anyone who knows me say) that I am a man of mild dispositions. On the contrary, I am a man of vehement disposition, with violent enthusiasms, and extreme immoderation in all my passions.


And yet, one line from Hume’s essay strikes me as especially true: “It is difficult,” he wrote, “to be more detached from life than I am at present.”


Over the last few days, I have been able to see my life as from a great altitude, as a sort of landscape, and with a deepening sense of the connection of all its parts. This does not mean I am finished with life.


On the contrary, I feel intensely alive, and I want and hope in the time that remains to deepen my friendships, to say farewell to those I love, to write more, to travel if I have the strength, to achieve new levels of understanding and insight.


This will involve audacity, clarity and plain speaking; trying to straighten my accounts with the world. But there will be time, too, for some fun (and even some silliness, as well).


I feel a sudden clear focus and perspective. There is no time for anything inessential. I must focus on myself, my work and my friends. I shall no longer look at “NewsHour” every night. I shall no longer pay any attention to politics or arguments about global warming.


This is not indifference but detachment — I still care deeply about the Middle East, about global warming, about growing inequality, but these are no longer my business; they belong to the future. I rejoice when I meet gifted young people — even the one who biopsied and diagnosed my metastases. I feel the future is in good hands.


I have been increasingly conscious, for the last 10 years or so, of deaths among my contemporaries. My generation is on the way out, and each death I have felt as an abruption, a tearing away of part of myself. There will be no one like us when we are gone, but then there is no one like anyone else, ever. When people die, they cannot be replaced. They leave holes that cannot be filled, for it is the fate — the genetic and neural fate — of every human being to be a unique individual, to find his own path, to live his own life, to die his own death.


I cannot pretend I am without fear. But my predominant feeling is one of gratitude. I have loved and been loved; I have been given much and I have given something in return; I have read and traveled and thought and written. I have had an intercourse with the world, the special intercourse of writers and readers.


Above all, I have been a sentient being, a thinking animal, on this beautiful planet, and that in itself has been an enormous privilege and adventure.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