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마 장윤석 Jun 26. 2024

인연과 죽음

2024.6.25 열한 번째

이 사진을 누가 찍어준 지 아세요? 선님에게 메세지가 한 통 왔다. 그제야 내가 왜 유희 님의 장례식에 발길을 옮겼는지 알 수 있었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데, 이런 인연이 있었구나. 잊고있었지만서도. 다시 한 번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이 좁은 판과 배치의 생태계에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인연을 맺고, 또 맺어가고 있는 걸까. 그리고 돌아보게 되는 것은, 나는, 우리는 그 인연들을 소중히 여기고 대접하고 있을까. 낯이 익어 발걸음을 옮겼던 이 장례식에서 나는 지난 날의 한 인연을 나도 모르게 다시 만나고 있었다.


오늘은 죽음이 밀려오는 날인 게지. 4년 전 오늘 녹색평론 발행인 김종철 선생님이 돌아가셨던 게 떠올랐다. 비가 오는 날, 싱숭생숭한 기분을 안고 돌아왔다. 그 마음이 남아 선생님이 만드신 연구소에서 몇 년을 일했다. 기일마다 삼각산 금선사에 동료들과 함께 찾아뵈었던 날의 기억이 선선하게 남아있다. 뜻을 이어가고자 한다는 그 때의 다짐이, 아직 내게 잘 남아있을까.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참 아이러니한 것 같아. 죽음을 내 삶으로 끌고들어온다고 하는 게 그리 쉬운 일은 아닌 것 같아. 죽은 사람도 산 사람을 더욱더 살려야 해. 내가 안 살면 그 누구도 못 살려.” 호님의 인터뷰에서 가장 남았던 말, 우리가 인연과 죽음을 마주해 할 수 있는건 사는 일 뿐이다. 신 샘의 책을 읽어가다 머물고 있는 장을 옮긴다.


“은사님의 장례식쟝으로 향했습니다. 늘 그랬던 모습 그대로 활짝 웃고 계신 그분의 영정사진을 보고, 저는 아내와 가족을 먼저 떠올렸습니다. 이 한 번뿐인 삶을 얼마나 충실하게 살고 있는지 돌아보게 되었지요. 특히 가장 가깝게 사랑의 감정을 나누는 가족들을 너무 뻔하게 생각하지는 않았는지, 비루하게만 대하지는 않았는지, 일상에 파묻혀 서로의 존재를 망각하지는 않았는지 돌아보았습니다. 끝이 있다는 것이 더 절실한 사랑을 만드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은사님의 장례식은 그것을 깨닫게 해준 시간이었습니다. 그분은 허무를 남긴 것이 아니라 삶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숙제를 남겼습니다.“ 신승철, <사랑할수록 지혜로워진다>, 128p, 2019 중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