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정원 Oct 01. 2024

전기를 담는 그릇 - 전지의 발명의 역사

화학 반응을 이용해서 전기를 원할 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번개나 정전기로 전기의 존재는 알고 있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전기를 담을 방법이 없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게 해 준 사람이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알레산드로 볼타였다. 그는 구리와 아연 원판을 교대로 쌓고 묽은 황산에 적신 천 조각을 끼워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세계 최초의 화학전지인 볼타 전지를 발명했다. 서로 다른 금속판과 전해질 용액의 반응을 이용해서 지속적으로 흐르는 전류를 만들어 낸 것이다. 이러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서 전압의 단위로 그의 이름을 따서 '볼트'를 사용한다.


인류 최초의 전지 - 볼타 전지와 그 원리


볼타 전지는 반응이 일어나면 황산 용액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해 전압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1836년, 영국의 화학자 존 프레데릭 다니엘은 황산아연(ZnSO4) 수용액에 아연 전극을, 황산구리(CuSO4) 수용액에 구리 전극을 각각 넣고 양이온과 음이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길인 염다리로 연결한 전지를 개발했다.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전자기학 연구에 기여한 다니엘 전지


염다리에는 질산칼륨이 들어 있어 음극에서 양이온 증가 시 염다리의 질산 이온이 이동하고, 양극극에서 음이온 증가 시 염다리의 칼륨 이온이 이동해 이온의 균형을 맞추어 안정적인 전기 생산이 가능해졌다. 전자기 유도를 발견한 패러데이 등 많은 과학자들이 다니엘 전지를 이용하게 되면서 전자기학 연구가 더욱 가속되었다.


가스통이 만든 최초의 충전지 - 지금도 같은 원리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한번 쓰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한계를 벗어나서 계속 충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충전지는 1859년 프랑스의 가스통 플랑테가 발명했다. 이산화납(+)과 순수한 납(-)을 묽은 황산 전해질에 담가 만든 납축전지는 지금도 동일한 원리로 자동차 배터리 등에 사용된다. 이후 전극에 사용하는 재질로 니켈, 카드뮴, 리튬등 다양한 소재가 개발되면서 스마트폰처럼 작은 전자기기부터 전기차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