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류정엽 대만은 지금 Apr 15. 2021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단상

대만인들에게 이를 소개하다가...


대만에 살다 보면 대만 사람들에게 우리나라의 옛날이야기들을 소개할 기회가 이주 가끔 있다. 흥부전, 춘향전 등은 빼놓을 수 없는 소재다.


얼마 전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대만인들에게 매우 간단하게 소개를 한 적이 있다. 대만인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준비하다가 이 이야기에 대해 다각도로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 이야기는 매우 짧지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기에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들에게 있어 매우 유의미하다고 생각한다. 이 이야기는 전래동화로 내려오다가 최초로 출판된 것은 주요섭의 ‘해와 달’이었다고 한다. 1922년 잡지 ‘개벽’에 실렸다.


전래동화로 잘 알려진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나는 대만 사람들 앞에서 이렇게 시작한다.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상황에 따른 생각


상황 1

떡을 갖고 있던 오누이의 엄마는 호랑이와 대면한다. 호랑이는 떡을 달라고 한다. 엄마는 떡을 준다. 호랑이는 떡을 더 달라고 한다. 떡이 다 떨어진 엄마는 호랑이에게 잡아 먹힌다.

(엄마가 떡장수네, 잔칫집에서 돌아오는 길이네 등 다양한 버전이 존재한다)


생각

- 호랑이는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는다고 하고는 약속을 어긴 거짓말쟁이 또는 사기꾼이다.

- 서민이 가진 것을 갈취하는 탐관오리를 상징한다.

- 떡은 오누이를 막여 살리기 위한 매개다. 떡은 예부터 특별한 날에만 막을 수 있는 음식이었다.

- 엄마는 자식을 위해 고생과 희생을 마다하지 않는 위대한 존재다.


상황 2

엄마를 잡아먹은 호랑이는 아이들도 잡아먹으려고 이들이 있는 집으로 찾아가 엄마인 척하며 아이들에게 문을 열어달라고 부탁한다.


생각

- 잡아먹은 엄마의 아이들이 사는 곳을 이미 알고 있다.

- 호랑이는 엄마를 잡아먹기 전 어디에 사느냐고 묻지 않은 정황으로 미루어 보아 계획된 범행이었다.

- 호랑이는 코스프레도 할 줄 안다.


상황 3

아이들을 부르며 엄마라고 말한 목소리가 엄마가 아님을 알아차린 오빠는 여동생을 데리고 집 뒤로 행한다. 나무 위로 올라간다.


생각

- 오빠처럼 눈치가 빨라야 한다 빠른 결정도 중요하다.

- 호랑이는 완전 범죄에 실패했다. 욕심이

- 골든타임이 중요하다 이를 놓쳤더라면.. 호랑이에게 잡혔을 것이다.

- 오누이는 평소 위기 대응 연습이 잘 되어 있디. 비상사태에 대비한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상황 4 

호랑이는 어찌 나무 위로 올라갔느냐고 묻자 오빠는 참기름을 바르고 올라왔다고 답한다. 호랑이는 오빠가 알려준 방법을 사용해 나무 위로 올라가려고 시도하나 실패로 돌아간다. 보다 못한 여동생이 올라오는 방법을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생각

- 호랑이는 순진하다. 단순 무식하다.

- 오빠는 거짓말을 했다. 생존을 위해서.

- 오빠에게 당한 호랑이는 피해자 코스프레로 여동생의 동정심을 사는 데 성공했다.

- 여동생은 호랑이을 불쌍히 여겼다. 눈치가 없다.

- 호랑이는 오빠에게 속고 동생의 조언에 대해 의심하지 않았다.

- 오빠는 여동생에게 화를 내지 않았다. 여동생이 원래 그런 모양이다.


상황 5

호랑이는 여동생이 일러준 방법으로 나무를 오를 수 있게 됐다. 오누이와 거리가 점점 좁혀지자 오빠는 하늘에 도와달라고 간청한다. 동아줄이 내려오고 이들은 줄을 잡고 나무를 빠져나간다. 호랑이도 이를 보고 동아줄을 내려 달라고 하니 줄이 내려왔지만 줄을 잡은 호랑이는 이내 바닥으로 추락한다.


- 오빠의 간청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며 간절히 원하면 우주가 나서서 도와준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 노력이 선행될 때만.

- 호랑이는 학습 능력이 뛰어나다.

- 튼실하지  못한 밧줄을 믿은 호랑이는 부주의하다. 속았다.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야 한다. 꺼진 불도 다시 봐야 한다.


상황 6

하늘에 오른 오누이. 여동생은 해가, 오빠는 달이 되었다.


생각

-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가족임에도 만날 수 없는 사이가 되었다.

- 오누이가 하늘로 간 것은 아이들이 이 땅에서 살아갈 수 없다는 매우 비관적인 의미로 보인다.

- 하늘은 유토피아를 상징한다.

- 오누이가 해와 달이 된 것은 세상을 비춘다는 것으로 아이들이 이 땅의 미래라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우리나라 전래동화에 등장하는 여느 호랑이처럼 이 이야기 호랑이도 공포의 상징으로 쓰였다. 가난한 자의 수탈을 일삼는 존재의 호랑이와 마냥 당하기만 하는 힘없는 어머니와 아이들이다. 가진 자들에 의해 거짓말에 속고 있는 것을 다 빼앗기며 살아갔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대표하는 것은 아닐까? 오늘날의 현실과도 비교해봤다. 달라진 것이 무엇인가? 어쩌면 이는 변하지 않는 진리 불변의 법칙이 아닐까? 대만이 아니었으면, 대만인이 아니었으면 이런 생각은 해보지 못했을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들라크루아,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보다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