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조직을 입체적으로 이해해보자
법률적인 토대가 현장을 앞서가지 못하는 사이, 시대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공익활동이 생겨났습니다. 정치, 환경, 인권, 노동, 복지, 문화 등의 전통적인 아젠다는 물론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돌봄, 시민자산화, 성평
등운동, 지역화폐운동, 사회혁신, 나눔과 기부, 푸드뱅크, 학습공동체, 자활, 풀뿌리공동체, 마을운동, 자원봉사, 주민자치, 참여예산, 평생교육, 민주시민교육, 분쟁갈등조정, 청소년운동 등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주제와 활동방식이 세분화되었습니다. 이를 ‘비영리’라는 제한된 개념으로 가두어 놓기엔 방대하고 광범위합니다.
이렇게 역동적인 현장을 더 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그러기 위해선 일정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현장친화적인 지형으로 바라보기 위해 ‘정부에 관여적인가’, ‘정부에 독립적인가’의 기준과 ‘변화를 추구하는가’, ‘보완을 추구하는가’의 기준을 설정하여 4분면으로 그려봅니다. 분류된 4분면은 각각 대변형, 해결형, 자조형, 지원형으로 명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대변형은 이른바 ‘시민사회단체’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영역입니다. 이들은 누군가를 대변(champion)하고 옹호(advocate)하므로 뜻에 동조하는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회원제(membership) 형태로 발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구조적 변화를 위해 정부에 관여하므로 긴장과 갈등을 빚기도 합니다. 한편 해결형은 정부 정책에 관여하나 대안적 솔루션을 중시하는 집단입니다. 보완적 위치를 취함으로써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이들의 ‘솔루션’은 과학기술이나 적정기술과 잇닿아 있으므로 투자유치를 위해 노력하기도 합니다.
자조형은 ‘당사자운동’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습니다. 이 영역의 조직들은 공통의 문제의식을 가진 주체들이 모여 스스로를 돕는 독립적 운영을 하게 되니 회원제(membership) 기반의 강한 공동체성을 가집니다. 자조형은 지역단위로 활성화되기 좋습니다. 지역이라는 공통요인이 강한 공감대로 작용하는 까닭입니다. 끝으로 지원형은 타인의 의제를 돕기 위해 자원을 제공하는 조직들입니다. 옹호와 대변이 아닌 금전적 지원이나 서비스의 형태를 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어떤 면에선 전통적인 비영리조직의 원형을 떠올리는 집단입니다. 타인을 돕는 선한 행위가 이들의 정체성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실천인 셈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건강한 비영리경영> 책을 통해 확인하세요.
이재현, 건강한 비영리경영, 2024.7. 한국문화사
(이 책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사에 있습니다)
*홈페이지 방문하여 <건강한 비영리경영>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저자 이재현 컨설턴트에 대해 더 알아보세요.
www.nposchool.com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3966902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30098606
#공익경영 #비영리조직 경영론 #피터드러커 #비영리단체의 경영 #비영리 경영 학교 #비영리경영인 #NGO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