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그러네 Jun 21. 2023

수능, 대학, 교육.

교육이 위태롭다. 수능이 불안하다. 겨우 150일 남은 올해 수능을 앞두고 대통령 발언의 진의를 헤아리느라 모두들 혼돈스럽다. 너무 어려워서 내용을 조절해야 한다는 생각과 적당히 어려워야 변별력이 있다는 의견이 부딛힌다.


수험생들이 혼란에 빠졌다 하고 학부모들은 더할 나위없이 안타까울 뿐이다. 정책의 논의와 조율과정이 어디로 사라졌는지 아쉬움과 함께 하루 하루 다가오는 수능날짜는 버겁기만 하다.


백년대계 교육을 조삼모사 당국에 맡겨놓은 꼴이라 온 나라가 조마조마하다. 논란의 가닥이 여럿이지만, 필자는 ‘언어영역 비문학 문제나 과목융합형 문제를 배제하겠다’는 교육부의 지침에 주목한다.


비문학이나 융합형 문제는 오히려 권장되어야 한다. 교육은 미래 인성을 기르는 일이다. 수험생의 언어능력을 시험하면서 평가대상 영역을 ‘문학’으로 제한하겠다는 발상이 놀라울 뿐이다.


다음 세대가 대학에서 수학하면서 발휘해야 할 언어능력을 어떻게 문학 지문으로만 평가할 수 있을까. 비문학 소재를 다루어 난이도가 올라간다는 문제의식은 어디에서 왔을까.


초중고 국어 교과서에도 문학작품들만 실려있는 게 아니다. 문학작품 읽기와 쓰기가 물론 주요 관심사이지만, 언어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가닥의 소재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역사 이야기, 진로탐색 스토리, 매체습관 훈련 등 사회와 문화, 과학과 기술 관련 지문들이 여럿 보인다. 학생들의 언어소양을 문학 소재로만 평가하겠다는 발상은 현실과 거리가 멀다.


과목융합형 문제도 제외하겠다고 한다. 현대사회는 이미 융합형 통합형 인성을 기다린다. 교과과정 문과와 이과로 구분하여 학생들의 인성을 인위적 틀에 가두는 편협한 사고는 이제 그 수명을 다하였다.


국어, 영어, 사회, 과학.. 학습의 편이를 위하여 학교교육은 과목을 구분하지만, 오늘의 문제는 과목별로 발생하지 않는다. 도시에 도로를 개설할 때에 길 주변 마을공동체의 문화사회적 상황을 살펴야 하고,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할 적에 성별세대별 인식수준을 관찰해야 한다.


수능의 언어영역 문제로 과학적 글쓰기소양을 살펴야 하고 수리영역 문제에서 사회적 책읽기가 평가되어야 한다.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며 유연하고 포괄적인 사고능력을 발휘하는 통합형 미래인성을 길러야 한다.


수능은 12년간 초중고 교육을 통하여 길러진 수험생의 수학능력을 평가하여 앞으로 대학교육을 받아낼 소양을 살피는 제도이다. 수험생들 간 차이를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문항들 사이에서 적정한 난이도 배분은 불가피하다.


문제가 어려우면 어려운 대로 치밀한 분석력을 발휘하여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지 가늠할 필요도 있다. 어렵고 쉬운 문제가 고루 등장하여 수험생의 주의력과 분석력이 적절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프랑스의 학생평가시험 바칼라레아(Baccalauréat)에 올해 등장한 문제는 ‘평화를 원한다는 것은 정의를 원하는 것이기도 한가?’라고 물었다고 한다.


우리와 사뭇 다른 경우다. 하지만, 학생들의 통합적 융합적 사고능력을 기르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물어야 할까?

작가의 이전글 나쁜 놈이 따로 없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