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그러네 Aug 02. 2023

문과와 이과 구분을 철폐하라.

문과와 이과는 누가 갈라놓았을까.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은 실제로 존재하는가. 초중고 공교육 과정을 지나면서 우리는 문과와 이과 가운데 선택을 한다. 그 기준은 무엇이엇을까. 대체로 수학을 좋아하는지가 자기 판별의 기준이었다. 


수학적 사고능력이 소위 이과적 인간이 되기 위한 절대적 기준이 되는 지도 사실은 그리 분명하지 않다. 수학적이며 논리적인 표현 능력은 인문사회, 정치경제 영역에서도 대단히 필요한 소양임이 밝혀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예로 들어보자. 이과적 성향이 다분한 직종으로 여겨지지만, 수학적 기능만으로는 절대로 부족하다. 실제 현장에서는 고도의 상상력과 스토리텔링 소양이 필요하고, 분석적 사고능력은 물론 구성원 간 인화적 소통능력을 함께 갖추어야 한다. 사람의 소양과 품격을 문과와 이과로 단순하게 둘로 나누어 전혀 다른 성향의 사람으로 이해하는 일에서 이제는 탈피해야 한다. 


오늘날 문제들이 유형별로 생기지 않는다. 기업경영은 문과인가 이과인가. 가정살림은 문과인가 이과인가. 상황은 언제나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균형잡힌 통합적 사고가 언제나 필요하다. 사람을 읽어야 하고 상황을 분석해야 한다. 느낌을 짚어야 하고 손익에도 밝아야 한다. 배경지식도 필요하고 미래예측도 있어야 한다. 우리는 어떤가. 사람들 사이에 칸을 치고 벽을 만들어 서로 오가는 일마저 막는다. 


문과와 이과는 함께 나눌 이야기 소재마저 궁핍해 져서, 사회는 또 다른 양극화를 겪는다. 넘나들기 어려운 섬들이 생긴다. 문과적 소양과 이과적 능력을 따로따로 구분해서 배우고 가르치는 일은 이제 접어야 한다. 공교육을 받는 우리 학생들이 폭넓고 균형잡힌 인성을 형성하도록 도와야 한다. 문학과 역사, 수학과 과학을 넘나들며 유연하게 배워야 한다.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유네스코(UNESCO)는 21세기에 가르쳐야 할 네 가지 필수영역들로 분석적 사고 (Critical Thinking), 창의(Creativity), 협력(Collaboration), 소통(Communication)을 들었다. 문과나 이과의 구분은 어디에도 없다. 개별 과목의 이름도 적지 않았다. 


전통에 따라 구분된 과목의 이해를 넘어 통합적으로 균형잡힌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게 아닐까. 대학에서도 지나친 세부 전공영역의 구분을 경계해야 한다. 전문지식 심화의 필요를 인정하더라도 인성의 널푼수를 지향해야 한다.


다음세대가 창의와 혁신으로 가득한 내일을 만나려면 다르게 가르치고 새롭게 배워야 한다. 문과와 이과 구분에 길들여진 습관을 벗어야 한다. 과학자가 문학에 능하고 역사가가 과학에 밝은 날들이 와야 한다. 새로운 상품개발에 인문학적 경험과 불편함이 스며들고 철학자의 논변에 과학의 발자취가 녹아들 때 비로소 학문 간 균형과 인성 간 조화도 가능해 진다. 


인성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폭도 넓어지지 않을까. 인간과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따뜻해 지고 함께 살아야 하는 사회에는 배려와 상생의 기운이 돌지 않을까. 포용과 협력이 시대의 기운이라면, 문과와 이과의 구분부터 사라져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교실은 누가 책임지는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