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앤디 Dec 31. 2020

20년의 마지막 밤을 함께한 영화

영화 러브 어페어

 한 해 마무리하는 오늘, 나는 영화 한 편을 보았다.


Love Affair.

비행기에서 시작된 두 남녀의 운명적 사랑이야기를 다룬 이 영화.
90년대의 아날로그적 낭만이 가득 담긴, 이제는 고전이라고 불러도 손색없을 그런 영화였다.

나는 이 글을 쓰면서 운명적 사랑이 어떻다 이런 이야기는 하고 싶지 않다. 사랑이란 게 누구나 시작되는 순간에는 운명적이라 생각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저 현실이 되어버리는 걸 잘 알기에..

그렇기에 난 그저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두 가지만 이야기하고 싶다.
이 두 가지 만으로도 이 영화는 충분히 완벽했기 때문이다.



첫 번째는 영화 음악이다. 


엔리오 모리꼬네의 메인 테마곡인 Piano Solo.
사실 이 영화를 보기 전부터 이 음악은 이미 내 플레이리스트에 저장되어 있어 많이 들어왔기에 익히 알고 있던 곡이다.
영화 내용을 모른채 들어도 너무나 좋은 곡이었다. 그런데 여기에 스토리가 입혀지고, 감정이 더해지니 음악의 감동은 배가 되었다. 특히 곡 중간에 허밍으로 부르는 부분은 정말이지 예술이다.

영화가 재미있고 없고를 떠나서 이런 음악을 알고, 마음으로 듣고, 느낄 수 있다는 건 인생의 깊이를 더해주는 행복한 일이다.



https://youtu.be/AD_DJR1Vyx4




두 번째는 키스신이다. 


영화의 메인 포스터 장면이기도 한 키스신
중간에 나오는 약 3초도 안되게 짧게 나오는 키스신은 내가 그동안 봐왔던 수백 편의 영화 가운데 역대 최고의 키스신이었다.
분위기, 색감, 조명, 촬영 각도, 음악까지 모든 게 완벽한 씬이었다.
왜 이렇게 짧게 나오는지 아쉬울 따름이다.





이런저런 생각이 많아지고 감상에 젖어드는 2020년의 마지막 저녁이다.
오늘 이 영화를 보기로 선택한 건 올해 중 가장 잘한 일중에 하나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정점-종점 규칙이라는 것이 있다.
지난 일을 평가할 때 가장 좋았던 일과 가장 마지막 일이 그 경험 내용을 결정한다. 시간이 지나면 정점과 종점을 제외한 일은 거의 생각나지 않는다는 의미 단어이다.

올 한 해의 정점은 무엇이었는지 확실치 않지만, '러브 어페어' 덕분에 종점만큼은 확실히 기억할 수 있을 것 같다.



작가의 이전글 19년 전 나에게 미안해지는 지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