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회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일경 Dec 30. 2021

2020년을 마무리하며

올해는 없었던 걸로 치자! 라고 하기엔 2020년은 참 기억에 남는 해다. 그것은 지난날과는 다르게 평화를 누리지 못한 환경의 탓이 크겠지만, 나에겐 스스로 부여한 도전을 이행하고 이를 통해 한 발자국 나아갔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상반기엔 학교에 내려가서 공연을 준비했고, 감사하게도 나름(?) 멋지게 올리게 되었다. 나만의 비공식 졸업공연인 셈이었다.-학교에서의 마지막 공연이었기 때문에-사실 졸업을 하는 이 시기에 많은 고민이 있었다. 연극을 하면서 먹고 사는 건 고사하고, 내가 정말 평생 연극을 하며 살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이 떠나질 않았던 것이다. 왜 연극인가, 왜. 라는 질문이 풀리지 않는다면 다른 길을 얼른 찾아봐야 한다는 압박감 역시 나를 옥죄었다. 그러나 이 공연을 하게 되면서 머리론 알고 있었지만, 가슴으로 깨닫게 된 것이 내 고민을 해결해주었다. 그것은 유대였다. 희로애락과 신뢰를 공유하는 관계. 그런 유대는 마치 잘 만들어진 수제 시계 속 수많은 톱니바퀴의 모양새와 같았다. 아름답고, 또 아름답다. 내가 단체 예술을 택한 이유가 여기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면서 동시에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것도 인지하게 되었다. 나는 사람이니까, 사람답게 살기 위해서, 예술하고, 연극하자. 참 좋은 타이밍에 마주한 삶의 기회였던 것이다.     


하반기엔 또 다른 나의 모습인 글 쓰는 김일경에게 집중하였다. 사실 나는 이미 군대를 전역한 18년도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기가 적힌 다이어리를 누가 볼까 싶어 자물쇠로 잠그는 사춘기 아이들처럼 나는 내 글을 참 부끄러워했다.-부끄러운 것은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그럼에도 글들을 SNS에 공유하기 시작하면서 난 나의 치부(?)를 공개하기 시작했다. 관심을 받고 싶어서도 아니었고, 부끄러움을 즐기는(?) 것도 아니었다. 그냥, 뭔가 올해부터는 숨기지 말아보자! 라는 마음이 가장 컸던 것 같다. 결과적으론 부끄러움을 극복하게 되면서 글쓰기 작업에 더욱 탄력을 받게 되었다. 약 50편의 소설, 에세이를 썼고 세 편의 희곡과 한 편의 시나리오, 희곡 각색, 소설 의역 등등 나름 열심히 쓴 것 같다. 재밌었고, 행복했다. 나는 사실 소심하고 보수적인 성격인지라 무언가를 도전하기에 앞서 얻는 것보다 잃게 될 것에 대한 계산을 먼저 했다. 그래놓고 아, 그냥 한번 해볼 걸 하면서 아쉬운 소리나 하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이번에 나름(?) 만족할만한 도전을 마치면서 앞으로 그런 선택의 갈림길에 섰을 때 이를 통해 내가 행복하고, 만족하게 될 것들에 대한 것부터 생각하게 되었다. 혹시 여기까지 읽은 당신이 위 글과 비슷한 갈림길에 놓인 사람이라면, 작게나마 내 이야기를 참고하시길! 감히 이렇게 말해도 되나 싶긴 하지만.     


도전에 대한 것 외에도 올해는 참 유별났다. 나포함 많은 사람들이 당연한 것의 소중함을 머리가 아닌 온 몸으로 깨달았을 것이다. 하다못해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연말 분위기마저 느끼지 못하고 있으니, 말 다한 것 아닐까 싶다. 절망이 가득한 요즘 분위기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 작은 것에 감사하는 자세를 취해야겠다. 아무튼, 모든 사람이 내년엔 아프지 않고, 다시 소중한 것들을 누리게 되길! 진심으로 바라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