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neal Song Aug 31. 2015

Oneal의 클래식 정복기 #2

허세, 아저씨는 허세남.

블러핑(bluffing)이란 포커 용어가 있다.

낮은 카드를 가지고 큰 돈을 걸어 상대를 제압하는 기술을 가리키는 말이다. 

고수일 수록 잘 쓰는 기술이다.

허세를 잘 부리는 것이 고수다. 하지만 남자는 나이가 들 수록 허세가 심해진다.

고수라서가 아니라 약한 하수라서 발버둥치게 되는 것, 약해지는 남자는 허세가 늘게 된다. 


내가 클래식을 듣기로 맘 먹은 것은 정확히 '허세'의 심리로 출발 한 것이다.


어느 작품에서 내가 썼던 대사 -돈 좀 벌면 집에 정원도 있고, 정원이 있으면 정원사도 있고, 정원사도 있으면 정원사 정부 정도는 있어야-처럼 말이다.


"40대 중후한 남자가 되려면 클래식 정도는 들어줘야 한다."

이것이 클래식 듣기에 도전하기 시작한 내 마음의 대사다.


허나, 난관은, 듣는 척 하기도 좀 버거운 음악이 클래식이라는 것이다. 


‘나 클래식 들어’라며 '척'하며  듣기에도 버거운 음악, 거꾸로 그렇게 듣는 '척'하며 들어도 만만치 않고 어려운 음악이 이 '클래식'이라는 동네다.


왜지?

왜 그럴까? 


노래는 별로 없고 기악 중심이라 그럴까? 기악이 아니라 성악이라도 가사를 알아 들을 수 없는 - 왜 성악은 다 라틴어나 이탈리아어로 부르는 걸까- 이유 때문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오페라, 그렇다, 멋지게 노래하는 오페라! 근데 가사는 왜 한국말로 안 하는 거야!)


한국어로 된 가곡(한국어로 된 성악은 가곡이라는 정의는 맞나, 아, 이 클래식에 무지한 나) 보다는 클래식이라면 한국 가곡 보다는 모차르트, 베토벤 정도는 시작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마음. 


그렇다! 허세다.


클래식이라는 것이 영 깔깔하고 뻑뻑한 현미 밥 맛이라 목 넘김이 쉽지가 않았다. 

몇 번이고 시작된 클래식 도전은 번번히 실패를 반복하고 있었다. 


나하고 클래식은 안 맞나? 자책이 밀려온다.


잔소리가 무서운 나이. 행동 하나에도 자꾸 주변을 무의식적으로 쳐다본다.

뭐 잘못 한 거 없나 싶어 눈치를 본다.

한때 세상 모든 불의와 싸울 것 같은 용기와 신념 따위는 죽 쒀서 개 주듯, 남 준지 오래다.


클래식을 듣겠다고 했을 때, 아무도 눈치를 주지 않지만 눈치를 본다.

이럴 때는 '아빠 힘내세요'라는 노래라도 듣고 싶지만 아빠도 아니고.


뭐 이미 사는 게 온통 실패의 덩어리인데, 이것 더 하나 실패한다고 해서 특별한 건 아니지, 하는 쓸쓸한 스스로의 위안이 더욱 눈물짓게 한다. 


이럴 때는 무슨 음악을 들어야 할까?

“때로는 너의 앞에 어려움과 아픔 있지만..”

이렇게 시작하는 축복송을 흥얼거린다만, 더는 교회에 다니지 않아서 위로는 되지 않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Oneal의 클래식 정복기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