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숲지기 Feb 23. 2022

저 산은 내게 울지마라 하네 -한계령



                                                                    네이버 발췌


 https://youtu.be/RLevdLXYWwo


한계령에서 


            정덕수




온종일 서북주릉(西北紬綾)을 헤매며 걸어왔다.

안개구름에 길을 잃고

안개구름에 흠씬 젖어

오늘, 하루가 아니라

내 일생 고스란히

천지창조 전의 혼돈

혼돈 중에 헤매일지

삼만 육천 오백 날을 딛고

완숙한 늙음을 맞이하였을 때

절망과 체념 사이에 희망이 존재한다면

담배 연기 빛 푸른 별은 돋을까


저 산은,

추억이 아파 우는 내게

울지 마라

울지 마라 하고

발아래

상처 아린 옛이야기로

눈물 젖은 계곡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 산은,

구름인 양 떠도는 내게

잊으라

잊어버리라 하고

홀로 늙으시는 아버지

지친 한숨 빗물 되어

빈 가슴을 쓸어내리네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온종일 헤매던 중에 가시덤불에 찢겼나 보다

팔목과 다리에서는 피가 흘러

빗물 젖은 옷자락에

피나무 잎새 번진 불길처럼

깊이를 알 수 없는 애증(愛憎)의 꽃으로 핀다

찬 빗속

꽁초처럼 비틀어진 풀포기 사이 하얀 구절초

열한 살 작은 아이가

무서움에 도망치듯 총총이 걸어가던

굽이 많은 길

아스라한 추억 부수며

관광버스가 지나친다.


저 산은

젖은 담배 태우는 내게

내려가라

이제는 내려가라 하고

서북주릉 휘몰아온 바람

함성되어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 힐링의 숲지기


양희은이 부른 한계령은 정덕수 시인의 「한계령에서」라는 시에서 바탕이 되었습니다.

정 시인은 어린 시절 불우하게 자랐습니다. 어머니 없이 아버지와 동생들과 함께 설악산을 오르내리며 나무와 산 약초를 채취하여 생활하였습니다. 정시인은 설악산을 오르내리며 어머니를 많이도 그리워하며 살았습니다. 정 시인 18살, 서울에 살 때 고향을 들렀다가 설악산에 올라 이 시를 썼습니다

이 시가 작곡가 하덕규 씨에 의해 한계령이라는 노래로 탈바꿈되어 양희은이라는 대 가수에 의해 세상에 나오게 됩니다. 한계령에서 시를 가만히 배독하고 눈감고 그려보면 한계령은 정덕수 시인에게는 어머니이고 아버지입니다. 미움과 그리움이 교차하는 애증의 대상입니다.

두 번 다시 가지 않으려고 다짐했지만, 삶이 힘들 때면 몸은 이미 한계령에 와서 위로받고 빗금 처진 상처를 어루만지고 있지 않았을까요. 한계령은 말없이 시인을 안아주었을 겁니다. 자연은 그렇습니다. 무위자연입니다.



한계령


              노래 양희은

저 산은 내게 우지 마라 우지마라 하고

발아래 젖은 계곡 첩첩산중

저 산은 내게 잊으라 잊어버리라 하고

내 가슴을 쓸어내리네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작가의 이전글 법정스님 - 소유란 무엇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