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순만 May 07. 2021

상구(相口)01_입의 관상

입과 입의 관상에 관한 이야기


입은 관상의 삼정(三停) 즉 머무르는 곳 중에서 땅에 속한다. 남자는 눈, 여자는 입으로 하늘의 상징이 남자이고, 땅의 상징이 여자이다. 하늘이 양이고 땅이 음이니 곧 입술에 해당한다. (관상의 정석, p.141 참조).



1. 입술 '순(脣)'의 한자 어원 분석



입술은 입술 순(脣)으로 입술 순은 총 11획으로 별에서 용을 뜻하는 진(辰)과 고기 육(肉)을 합한 글이다. 진(辰)은 양(陽) 토(土)에 속하며 지지로는 '용(chinese dragon)'을 뜻하며, 별의 이름은 수성(mercury)이며, 북극성을 상징한다. 지지의 진(辰)은 을계무(乙癸戊)가 있는데 이는 땅이 습하고 젖어 있으므로 생명이 쏫아나는 징조이다. 진(辰)을 설문해자(說文解字, 염정삼 역 서울대 출판,2007)을 찾아 보면 '3월을 상징하면서 번개가 치며 땅이 진동하며 을(乙)과 화(和 혹은 七 '까끄라기' 모양)을 합한 글로 양기가 진동한다.


흙은 지지에서는 진술축미가 있는데 진은 봄의 흙, 미는 여름의 흙, 술은 가을의 흙, 축은 겨울의 흙인데 봄의 흙이 진이니 생명이 충만하여 어느 곳에서 씻을 던져도 자라는 것이 봄의 흙 곧 진(辰)인 셈이다. 달리 형상을 표현하자면 용이 고기를 물고 있는 격이며, 그 용이 거대한 땅이며 그 땅이 물을 가두고 곡식을 키우고 가축을 키우는 형상이라고 상상해 볼 수 있다.




2. 입술의 구성



입술이 순인데, 순은 상순과 하순이 있고 입꼬리 부분에서 상단은 구각, 하단은 해각이라 한다. 입에는 입술, 혀, 치아가 있다. 입술 양쪽에서 나는 소리를 양순음(bilabial consonant)이라 하고 양순음(ㅁ,ㅂ,ㅃ,ㅍ)에는 양순비음(m), 양순 파열음(p,b)이 있다. 입술은 소리만 낼 때 쓰는 것이 아니라 피부보다 부드럽고 수축성이 크므로 입맞춤할 때도 쓰인다.


입술에도 주름이 있는데, 이것을 손가락에서 인주를 찍어내는 것을 '지문'이라고 하듯이 '순문'이라고 하고, 입술에서 생기는 근육을 구륜근(orbicularis oris)로 사람마다 다르므로 지문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순 상순- 하순 구각(脣尾上)- 해각(脣尾下)











출처:[나우비 클리닉 윤장봉]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3. 입의 관상


입의 모양은 거의 입술의 모양이과 동일하다고 봐야 한다. 그럼에도 입은 전체적인 총괄이며, 입술은 그것의 일부이기도 하다. 입은 심장과 관련되며, 윗입술은 대장, 생식기, 비뇨기에 관련되며 아랫입술은 소회기 계통, 입술 안쪽은 간과 쓸개과 관계가 깊다. 예를 들자면 입술 안쪽이 헐었다면 간과 쓸개를 의심해 볼 수 있다.(전통관상백과, 오현리, 동학사 p.313 참조)


코의 길이와 입을 다물었을 때 길이가 같은 것이 표준 입술이며, 마의상법에 제시된 것처럼 사자구, 방구, 앙월구 등 16개로 나누어 그 예시를 들었다.















입은 비장의 관문이고,혀는 심상의 싹이며, 이는 뼈의 나머지로 입술이 바르면 비장이 바르고 입이 삐뚤어지면 비장도 치우쳐 있고, 입술이 작으면 비장도 작고, 입이 크면 비장도 크다. 입술이 두툼과 탄력이 있으면 비장의 발육또한 좋다고 한다.(오현리. p.317)



입을 다물고 있는 모양이 굽은 화살같은 것을 앙월만궁구(仰月彎弓口)라 하는데 의지가 확고하고, 성실하며, 생활이 규칙적이며, 몸과 마음을 조절할 줄 알며 이성에 대한 애정 또한 한결같다고 한다. 그림에 제시된 사자구(四字口)는 말주변이 좋아, 교육자, 외교관, 변호사, 언론에 종사하는 것이 좋다.




입의 관상에 관한 이야기를 다음으로 이어쓰기로 한다.




Reference

염정삼(2007) 說文解字注,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오현리(2004) 전통관상대백과, 동학사 p.313.

조성우(2011) 마의 상법, 명문당.





이 책은 총 페이지 242페이지 불량으로 비교적 관상에 관한 책 중에서도 얇은 편에 속한다. 총 6장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저자의 견해와 마의상법, 유장상법, 박기원의 석사논문, 김현남 <관상>, 신기원<내관상 내가 본다> 외 일본의 관상의 책을 참고하여 저술한 책이다.





Key Words: #입의 관상, #입술, #순문, #관상, #상구(相口)






작가의 이전글 무령왕릉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