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형범 Nov 14. 2024

다큐멘터리 [태양 없이]

크리스 마커가 펼치는 기억과 현실의 만화경

영화의 세계에는 때때로 우리의 인식을 뒤흔들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작품들이 있습니다.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Sans Soleil)'는 바로 그런 작품 중 하나입니다. 1983년에 발표된 이 실험적 다큐멘터리는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크리스 마커는 20세기 후반 프랑스 영화계의 혁신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힙니다. 1921년 7월 29일 프랑스 뇌이-쉬르-센에서 태어나 2012년 같은 날 세상을 떠난 그는 영화감독이자 작가, 멀티미디어 아티스트로 활동하며 독특한 시각과 철학적 깊이로 주목받았습니다. 마커의 작품들은 전통적인 영화 형식의 경계를 넘나들며, 기억, 역사, 그리고 인간의 인식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보여줍니다.


'태양 없이'는 에세이 영화라는 독특한 장르로 분류됩니다. 영화는 가상의 카메라맨 산도르 크라스나가 보낸 편지를 여성 내레이터가 읽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일본, 기니비사우, 아이슬란드 등 세계 각지에서의 경험과 관찰을 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기억과 역사, 그리고 인식의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입니다.


영화의 오프닝과 엔딩 장면은 마커의 독특한 시각을 잘 보여줍니다. 아이슬란드의 초원에서 뛰노는 세 아이의 모습이 처음에는 행복하고 목가적으로 보이지만, 엔딩에서 같은 장면이 재현될 때는 그 집이 불타고 있으며 아이들이 공포에 질린 채 도망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 극적인 대비는 우리의 인식이 얼마나 주관적이고 가변적인지를 강력하게 보여줍니다.

아이들은 행복한 모습인가? 공포에 질린 모습인가?

또 다른 인상적인 장면은 일본 여객선 안에서 잠든 승객들을 보여주는 시퀀스입니다. 마커는 이 평화로운 모습을 통해 역설적으로 전쟁의 기억을 떠올립니다. 내레이터의 "나는 결국 인류의 궁극적인 기능을 이해하게 되었다. 잠을 자는 것"이라는 말은 인간의 취약성과 회복력, 그리고 극단적인 경험 이후의 일상으로의 복귀를 동시에 암시합니다.


이러한 장면들을 통해 마커는 우리의 기억과 인식, 그리고 역사에 대해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집니다. 우리가 보는 것은 과연 실제인가? 우리의 기억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역사는 어떻게 구성되고 해석되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영화 전체를 관통하며, 관객들로 하여금 자신의 경험과 세계관을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만듭니다.

여객선에서 누워 자는 일본인을 보며 전쟁의 기억을 떠올리는 것을 역사라고 할 수 있을까?

'태양 없이'는 단순히 보고 즐기는 영화가 아닙니다. 이 작품은 관객에게 적극적인 참여와 사고를 요구합니다. 마커의 복잡하고 중층적인 내러티브는 때로는 혼란스럽게 느껴질 수 있지만, 그 속에서 우리는 자신의 기억과 인식에 대해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는 개봉한 지 4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것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합니다. 영화를 보고 난 후, 우리는 자신의 기억과 경험, 그리고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됩니다.


이 특별한 영화 여행에 동참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가 여러분에게 어떤 영감과 통찰을 줄지, 그 여정이 기대됩니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기억의 미로를 탐험하고, 현실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