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낭만교수 박쌤 Apr 27. 2021

부사관의 시작

부사관의 역사

부사관의 역사를 찾아보면 과거 고대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B.C. 3세기 그리스에서 제논(Zenon, B.C. 340~250)이라는 사람이 주장한 스토아학파가 등장하였다. 스토아학파는 강인한 체력 및 자기 절재 능력을 중시한 학파로 자연에 순응하는 생활을 으뜸으로 여기는 학파였다. 이러한 사상적 배경이 로마군의 ‘프린키팔라스’의 정신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로마군의 ‘프린키팔라스(Principalis)’ 직책은 로마장병 10명을 지휘하는 직책이다. 이 직책의 세부역할은 로마군의 지휘관급인 캡틴(Captain; 100 ~ 600명을 지휘)을 보좌하여 행정업무 및 군수업무를 담당하고 예하 장병들의 군기와 교육훈련 등의 임무를 맡았다. 지금으로 비교하면 당시 프린키팔라스는 오늘날의 부사관 또는 준사관보다 더 많은 역할과 권한을 가진 계층이었다. 

         

이후 로마가 몰락하고 중세봉건시대에 나타난 기사계급을 도와주던 계층이 있었는데 이를 ‘Sergeant’로 부르며 이 직위를 부사관의 모체라고 볼 수 있다. 


근대에 들어서는 15세기 이탈리아 군의 기본부대 단위인 스콰트라(Squadra; 25명)를 지휘하는 계층인 코포럴(Corporal)이 등장하면서 본격적인 부사관 계급이 등장하게 된다. 이후 세계적으로 상병을 뜻하는 코포럴 계급부터 부사관으로 인정하고 있다. 

    

현재의 부사관제도를 완성 시킨 것은 19세기 초 나폴레옹의 군대에서 시작하였다. 특히 나폴레옹 시대 이후로 무기체계와 전술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전장과 전술이 변화되었고, 이는 부사관계층이 소규모 전투나 병사들의 교육/훈련, 첨단장비 운용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부사관제도는 고려시대를 시작으로 보고 있다. 고려시대에 작성된 ‘고려사’에 고려 7대왕 목종이 ‘군교(軍校)’라는 직책을 사용한 것이 나온다. 이 직책은 고려시대 군대의 25명을 지휘한 직책으로 나오는데 이를 현대의 부사관과 같은 역할과 임무를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육군과 수군을 구분하게 되고 부사관의 역할을 담당하던 신분이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장기복무와 단기복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