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열심히, 계속, 잘 준비해야 할 뿐...
#1
한국에서는 한 회사만 8년 정도를 다녔었고 미국으로 유학을 왔으니- 한국에서의 이직 경험이 없어서 이곳과 한국을 비교하기는 어렵겠지만, 이곳에서 3년간 일한 회사를 떠나 새로운 곳으로 다시 옮기는 과정은 무척 쉽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어떤 회사는 초반의 전화 인터뷰에서 고배를 마신적도 있지만, 또 어떤 회사는 최종 합격을 했는데도 오퍼를 받지 못해서 떨어진 적도 있었다. 다행히 이 모든 시행착오의 경험들이 차곡차곡 쌓여서 나중에는 원하던 복수의 회사로부터 오퍼를 받을 수 있을 정도로 나름 능숙한 인터뷰어가 되긴 했다. 사실 '능숙해졌다'라기보다는 인터뷰 프로세스에 '지겨워져서 긴장감에 둔감해지고 차분해졌다'라고 표현하는 게 맞겠다. 하지만 지금 다시 이직 시장으로 뛰어들라고 하면? 여전히 긴장할 것 같다.
#2
내가 하는 일이 디자인 쪽이고, 흔히 실리콘밸리라고 하는 San Francisco Bay Area지역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굉장히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곳에서 구직/이직 시의 프로세스가 완벽하다고도 생각하지는 않는다. 다만 앞선 기술과 서비스로 미래를 선도하려는 많은 기업들이 있는 까닭에, 구직/이직 프로세스 또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오면서 다듬어졌다고 생각한다. 현재로써는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형태에 가깝지 않을까.
#3
이 글에는 이미 다른 많은 글들(내가 예전에 썼던 글 포함)에서 볼 수 있는 인터뷰 프로세스나 인터뷰 시의 팁 같은 내용을 담진 않는다. 그보다는 일반적인 관점에서 이직을 하기 위해 준비했던 것들, 인터뷰에 익숙해지기까지 겪었던 어려움의 단계들을 나눠본다. 그래서 인터뷰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겪는 좋지 않은 결과를 모두 본인의 부족함이나 실수로 탓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많은 것들은 분명 노력이 해결해주지만, 분명 시간이 해결해주는 중요한 것들도 있기 때문이다.
#4
물론 열심히 노력한다는 전제에서 말이다.
가장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실력이다. 여기서 내가 '실력'이라고 안 하고 '실력의 문제'라고 한건, 실제 실력의 좋고 나쁨의 문제라기보다는, 채용하는 곳에서 원하는 실력의 범위와 종류, 능숙도와, 내가 가진 그것과의 매칭(matching) 문제이기 때문이다. 약간 미묘한 의미의 차이일 수도 있지만, 가령 어떤 부분에 있어서 실력이 아무리 좋아도 채용하는 회사에서 그 분야를 primary skill or required experience로 보지 않는다면 의미가 적다는 말이다.
내가 인터뷰를 보러 다니는 경우도 있지만, 내가 타인을 인터뷰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내가 면접관으로써 인터뷰에 들어가기 전에 레쥬메도 꼼꼼히 읽어보고, 지원자가 했던 프로젝트를 상세히 살펴보고 질문할 것들을 미리 생각해가면 좋겠지만, 나도 실무에서 바쁘게 일을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그렇게 미리부터 지원자의 스펙과 실력을 알아보고 인터뷰에 들어가는 일은 -미안하게도- 거의 없다. 보통의 경우 'x월 x일 x시에 xx회의실로 들어가세요'라는 인터뷰 통보 이메일을 받고, 그 시간에 늦지 않게 가기만 해도 다행인 경우가 많다. 물론 리쿠르터들은 나 같은 면접관들에게 이미 지원자의 레쥬메와 포트폴리오를 보내주지만, 불행히도 미리부터 검토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그렇다면 디자이너들이 몇 주 혹은 몇 개월을 투자해서 준비하는 포트폴리오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건가? 역설적이게도 면접관들이 포트폴리오를 눈여겨보지 않기 때문에 포트폴리오는 더욱 중요하다. "어떻게 만드느냐?"에 대해 항상 옳은 정답은 없지만, 나의 직간접적인 경험상 좋은 결과를 얻은 경우를 되짚어보면 몇 가지의 공통된 점을 볼 수 있다.
실제로 포트폴리오가 담고 있는 내용도 중요하지만, 그걸 처음부터 다 꼼꼼히 보는 면접관은 드물다. 본격적인 연애를 하기 전에 상대방에게 본인의 모든 것을 다 드러내 놓으면 십중팔구 부담스러워하듯이, 포트폴리오도 모든 내용을 다 드러내기보다는 본인의 작업 내용의 큰 줄기만 매력적인 하이라이트로 굵직하게 보여주는 것이 초반에는 효과적이다. 디테일을 어필할 시기는 초반 단계가 지나고 연애가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뒤에 또 온다.
본인의 실력을 드러내는 비주얼만 기계적으로 나열하는 것보다는, 본인만의 이야기나 생각을 담으면 효과적이다. 여기서 효과적이라는 말은 면접관에게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다는 말도 되고, 본인이 프레젠테이션 때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다는 말도 된다. 그 진정성 있는 이야기는 디자인을 가치 있게 해 준다. 그렇다고 억지로 말도 안 되는 독특한 이야기를 끌어다 붙이지는 말고, 평소에 본인이 생각하는 가치관, 추구하는 디자인 방향, 인생의 모토, 커리어의 방향성 등에 대해서 깊게 고민해보면 본인만의 이야기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포트폴리오를 위해서 이야기를 만들어내기보다는, 평소부터 진정성 있게 고민해보면 좋을 듯하다.
기본적으로 실력도 누구에게 지지 않을 정도로 쌓았고, 그것을 보여주는 포트폴리오도 어느 정도 완성되었다고 생각하는데 계속 좋지 않은 결과를 손에 쥐게 된다면, 1차적으로 언어의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UX 디자이너의 역할상, 다른 실무자 및 stakeholder들과의 회의가 자주 있는데, 언어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미련 없이 떨어지게 된다. 예전의 전통적인 디자이너는 언어가 좀 부족해도 디자인을 잘하면 인정해주기도 했는데 (이 경우에 많은 회의들은 시니어 선임들이나 매니저들이 커버하겠지만), 요즘은 팀의 막내 디자이너들도 많은 회의를 직접 뛰어다녀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야말로 기본적인 언어의 장벽은 넘어야 한다. 또한 당연한 이야기지만 여기서 말하는 언어의 '기본적 수준'이라는 기준은 직급이 높을수록 까다로워진다.
예전에 어떤 언어학자가 언어를 배우는 것에 대해서 한 이야기가, 내가 영어를 대하는 자세를 바꾸게 되었다. 그는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not about studying, it's about familiarizing.' (외국어를 배우는 것은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익숙해지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내가 영어를 공부하려고 책상에 앉아서 단어를 외우고 Article을 읽는 것보다, 출퇴근 시간에 관심 있는 분야의 영어로 된 Podcast를 들으면서 익숙하게 된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필자도 여전히 영어로 인해 부담감도 느끼고 스트레스도 있지만, 분명한 건 지난 1~2년 전보다는 성장했다는 것. 내년 이맘때에는 올해 지금보다 더 능숙해지는 것이 또한 목표다. 언어는 디자이너든 엔지니어든 선택이 아닌 필수의 문제이기 때문에.
또 다른 문제의 단계는 인터뷰 프로세스의 이해에 관한 것이다. 사실 이 부분은 가장 극복하기 쉬운 부분이기도 하지만, 나처럼 한국에서 일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은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다. 이제는 필자처럼 해외에서 일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본인의 취직 경험들을 나누는 글들이 많아지면서 인터뷰 준비에 관한 팁이나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은 이미 꽤 많이 있다. 생각해보면, 내가 썼던 그런 비슷한 류들의 글을 쓴 사람들은 채용 프로세스의 이해가 낯설었기 때문에 아직 겪어보지 못한 사람들과 나누고 싶었을 것이다. 최소한 프로세스를 이해하지 못해서 인터뷰를 제대로 준비 못하게 되는 경우는 막아야 하니까.
인터뷰 프로세스 이해만큼이나 극복하기 어려운 것은 문화에 대한 이해다.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기에 '문화'라고 하면 '한국은 집에 신발 벗고 들어가고, 미국은 신발 신고 들어간다' 정도의 보이는 차이로 생각하는데, 사실은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차이는 일상적으로 대화하는 대상, 주제, 방법, 타이밍 등등 일상생활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에 널려있다.
가령 이곳에서 많이 사용하는 Professional social service인 Linkedin을 예로 들어보자. 이제는 제법 한국에서도 많이들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이곳처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 것 같다. 여기서는 모르는 사람이더라도 비슷한 관심사가 있거나, 내가 배우고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과 1촌을 맺고 대화를 이어가기도 하고, 내가 이직하고 싶은 회사, 팀에 있는 사람들에게 연락을 해서 먼저 그 회사나 팀이 하는 일들을 알아볼 수도 있다. 반대로 회사의 리쿠르터나 매니저들도 필요한 사람들을 채용할 때, 다른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관심 가는 사람들이 있으면 먼저 연락을 주는 일이 일상적으로 흔하다.
한국 문화에서는 '이거 학연, 지연 아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곳에서는 '공채'라는 제도가 없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는 원하는 인재를 적극적으로 targeting 하면서 알아보는 것이고, 구직자 입장에서도 본인과 가장 잘 맞는 복수의 여러 회사들을 targeting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락을 받아준다고 해서 그 자리에 붙여주는 것이 아니라, 이제 레쥬메를 검토하는 단계가 시작될 뿐이다. 이런 것들이 나와 같은 한국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잘 못하는 부분이다. 모르는 사람에게 어떻게 연락을 취하고, 대화를 이어나가는지... 게다가 영어로 말이다. 남들은 다 자연스럽게 하는 이런 과정들을 내가 모르고 지나친다면 사실 꽤 많은 기회들을 날려버리는 셈이다.
필자가 Disclaimer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최종 on-site interview까지 합격하고 TC(Total Compensation) offer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복수로 진행되던 후보자와 계약이 먼저 체결되었다고 프로세스가 종료된 적도 있었고, 최종 on-site interview invitation을 받고 날짜를 조정하던 중에 해당 회사가 IPO(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공개. 기업 설립 후 처음으로 외부 투자자에게 주식을 공개하고 판매하기 시작하는 것) 진행을 하면서 모든 hiring process가 freezed 된 적도 있었다. 결국 위에서 언급했던 모든 것이 다 갖추어졌다고 해도, 타이밍과 운이 나쁘면 도로 아미타불이다.
그러니, 인터뷰 과정에 실패를 하더라도 너무 자책하진 말길.
se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