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디자인진행요령(프로세스별)_08
디자인 콘셉트라는 것은 디자인 프로젝트의 기준이 되며 동시에 창의적 목표가 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제3장 디자인시스템 04_디자인콘셉트란)
그러나 실제로 디자인 콘셉트를 잡기란 쉽지 않습니다. 도대체 디자인 콘셉트란 어떻게 생긴 것일까요?
예를 들어, 풍뎅이를 닮은 자동차라는 콘셉트는 어떨까요?
미취학 어린이를 위한 지능발달을 위한 장난감은 어떨까요? 이것들은 콘셉트가 될까요? 안될까요?
결론은 완전한 디자인 콘셉트라고 할 수 없습니다.
전자는 스타일링 콘셉트(풍뎅이를 닮은 자동차)고 후자는 기능 콘셉트(지능발달 장난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콘셉트는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몇 개의 하위 콘셉트로 나뉩니다.
즉, 스타일링 콘셉트, 기능 콘셉트, UX(사용성) 콘셉트 등으로 나뉘는 것입니다.
각 콘셉트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보기로 합니다.
디자인 콘셉트는 ‘~ 대상(사물, 제품, 도구)이 ~~ 하여야 한다.’에 해당합니다. 그 예를 들어봅니다.
예 1. (너무 실용적이며 기능적이면 차갑고 경직되므로)
인간이 사용하는 사물이 보다 낭만적이어야 한다.
예 2. (화석에너지가 고갈되고 환경이 훼손되므로)
인간이 사용하는 사물이 지속 가능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예 3. (우리 회사의 상품들은 다른 회사와 구별되지 못하므로)
우리 회사의 상품들이 회사의 정체성(튼튼하여야 한다)을 나타내야 한다.
예 4. (개인용 정보기기가 첨단 정보기기일 필요는 없다)
개인용 정보기기는 개인의 취향의 표현 수단이어야 한다.
스타일링 콘셉트는 대상이 주는 혹은 갖게 할 이미지입니다.
흔히 우리가 디자인 콘셉트라고 하는 경우의 많은 경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차갑고 이성적인, 담백하며 순수한, 역동적이고 힘찬, 엄격하고 세련된, 딱정벌레 같은, 백조 같은 등과 같이 시각적 이미지를 조형의 콘셉트로 잡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스타일링 콘셉트는 다시 더 하위의 형태, 색채, 재료의 조형요소와 그 조형요소들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의 구성 콘셉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접을 수 있는 (의자), 냄비 속의 수프에 가라앉지 않는(국자), 적정기술을 활용한, 지능을 발달시켜주는, 난반사가 없는, 재사용 가능한 등과 같이 어떤 대상이 가지고 있는 역할, 기능 등에 대한 목표입니다.
최근 정보기기가 많이 등장하면서 사용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아졌으며, 이를 UX(user experience) 혹은 UI(user interaction)이라 부르며 조작성을 개선하거나 사용하는 과정이나 느낌이 특정 회사 제품의 느낌이 나도록 하고자 하는 노력도 하고 있습니다.
친절한 사람이 안내하는 것 같은 사용성, 무뚝뚝하나 필요할 때 찾으면 언제든지 다가와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 같은 사용성, 말 많고 재미있는 사람과 농담을 주고받는 것 같은 사용 성, 별 설명이 없어도 보기만 해도 할 수 있을 것 같은 사용성 등과 같이 어떤 사용의 방법과 사용에 의한 이미지나 경험을 가지게 할 것인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디자인 콘셉트의 구조는 상위의 총체적 디자인 콘셉트와 그 하위의 세부 콘셉트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는 콘셉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의 경우에는 이 모든 세부 콘셉트가 필요 없거나 명확하게 구분이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 콘셉트와 스타일링 콘셉트의 명확한 구분이 안서는 경우가 있는데, 기존 대상(사물, 제품, 도구)과 기능이나 사용성이 크게 구별이 없거나 조명이나 가구와 같이 특별한 기능이나 사용성이 없는 경우는 디자인 콘셉트와 스타일링 콘셉트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기업에서 제품 등을 개발할 경우는 최상위에 어떤 상품(제품)을 만들겠다는 제품/상품 콘셉트가 있고, 이 제품/상품을 어떻게 유통시키고 팔 것인가(마케팅/영업 콘셉트), 어떻게 만들 것 인가(개발 콘셉트), 어떻게 생산시킬 것인가(생산 콘셉트) 등과 디자인 콘셉트가 동시에 고려됩니다. 따라서 디자인을 진행할 경우에 이러한 주변의 콘셉트와 디자인 콘셉트가 상이하지 않게 서로 잘 협의 및 조정하며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