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전종호 Dec 18. 2023

경계의 탐구

안과 밖을 구분하는 선을 경계라고 한다. 사회과학에서는 안을 체제라고 하고 밖을 환경이라고 하는데 체제와 환경을 구분하는 선이 경계(boundary)이다. 조직이론이 복잡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서 생물학에서 일반체제이론을 차용하면서 사회과학 안에 자리 잡은 개념이다. 그때부터 학교를 폐쇄체제가 아니라 개방체제로 이해하기 시작했다. 폐쇄와 개방의 핵심적인 차이는 경계의 확실성과 자원의 상호교류 여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체제는 하위체제를 가지고 있다. 교육체제를 예를 들면, 구성원의 입장에서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행정가, 교육청, 지역사회가 포함되고, 성격별로 보면 기간체제인 수업조직이 있고, 행정, 재정, 인사, 시설, 설비 등 지원체제가 있다.

      

학교를 개방체제로 인식한 이후에도 여전히 학교 안팎을 둘러싼 경계의 문제에 대한 인식이 말끔하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우선 학교 안 사정을 살펴보면 교사와 학생, 교사와 학부모, 교사와 교장(감)의 경계 문제가 있고, 학교 밖 사정으로는 학교와 교육청, 학교와 지역사회의 경계 문제가 있다. 올여름을 뜨겁게 달군 교사들의 장외 집회 문제도 가만히 생각해 보면 교사와 학생, 교사와 학부모의 경계 설정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고. 학부모들의 악성 민원에 적절하고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학교관리자에 대한 불평과 항의도 교사와 학교행정가들의 경계에 대한 역할 설정의 미흡에서 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군사부일체라는 학생과 교사 또는 학부모의 전통적인 경계는 민주주의가 발전하고 신자유주의 사조가 진전되면서 깨진 지 오래다. 교사와 학생 간의 권위적 관계가 민주적이고 교육적 관계로 전환, 정착되기도 전에 교육은 시장판이 되었다. 교육을 공공재로 인식하지 않고 소비재로 인식하는 수요자인 학부모들은 ‘손님은 왕’이라는 시장 원리에 의해서 교사들을 물건 파는 상인으로 취급하고, 공공 서비스를 친절하고 만족하게 처리하지 못하는 교사들에게 민원인으로 행사하기 시작했다. 수요자 학부모에 양육된 학생들도 학교를, 교실을 시장의 좌판쯤으로 인식하면서 학교와 교사들의 일사일언이 문제시되면서 교육청 전화는 민원으로 빗발치고 국민신문고는 뻔질나게 되었다. 학부모들에 의해서 무너진 경계는 누가 어떻게 다시 세워야 하는가, 아니면 경계를 아주 없애고 교사와 학부모들이 서로 마음 터놓고 교류할 수 있는 새로운 체제를 어떻게 만들어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고민할 시점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사와 학교행정가들의 경계 인식과 역할 재수립도 숙제다. 교장은 교사인가? 미국에서 교장은 교사가 아니다. 독일에서는 교장은 교사다. 수석 교사다. 미국은 교장양성 코스가 따로 있어 그 학교 교사가 아닌 사람을 교장으로 채용하고, 독일은 교사협의회가 학교 교사 중에서 교장을 선출하고 수석 교사의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나라는 교사 중에서 점수가 된 사람을 뽑아 교감 연수를 시키고 교감 중에서 교장을 임명한다. 그러므로 극소수인 개방형 공모 교장을 제외하고 교사 출신만 교장을 할 수 있으므로, 그리고 교장 임기가 끝나면 교사로 돌아오게 되어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는 교장은 교사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장과 교사의 경계의 벽은 어느 나라보다도 굳건하다. 교장은 교사와는 다른 역할을 하는 자리의 사람으로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승진 구조 속에 높은 사람이라는 인식에서 기인한 것일 텐데, 우리나라 사람들의 전통적이고 잠재적인 권력 욕구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된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경계도 강고하다. 학교는 교육부 땅이지만, 교문을 나서면 모든 땅은 지방자치단체와 행정안전부 땅이다. 학생은 같은 사람이지만 학교에 있을 때와 밖에 있을 때 관할하는 부서와 법령은 각각 따로이다. 이는 우리나라 교육자치제도가 전문직 자치를 택하고 있어서인데 다른 나라 하고는 매우 다른 형태이다. 그러다 보니 학교에 지원되는 예산이 교육청과 지자체에서 따로 편성되어서 효율적이지 못한 측면이 크다. 그렇다고 일반자치제도로 통합하자고 하면 교육계에서 맞아 죽을 소리다. 알고나 있어야 한다, 뭐, 그런 얘기이다. 이런 의미에서 몇 년 전부터 각 시도교육청에서 크게 벌인 마을교육공동체운동은 좀 뜬금없는 일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학교 안팎의 경계에 대한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는 체제이론을 넘어 교육생태계 담론이 힘을 받고 있는 시대에 경계에 대한 인식과 경계의 소통에 대한 재정립 없이 각종 정책과 운동이 무분별하게 벌어지고 있다는 생각에서 한 번 정리해 보자는 의도였다. 다음에는 경계의 입장에서 몇 가지 정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능력주의의 허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