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전안나 작가 May 22. 2024

평가서 잘 작성하는 법(1)

사회복지 글쓰기 35회

2023년 1월 한사협 소셜워커 수록글입니다.


[사회복지 읽기 쓰기 35회 칼럼]  


평가서란?

프로그램 평가서는 프로그램 계획서가 계획한바 따라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문서입니다. 기관 내부적에서 상황 정리를 목적으로 하는 문서로 계획서와 기안서로 승인을 받은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업무의 종료 시마다 작성합니다.


평가는 평가 목적에 따라 과정 평가와 목표 달성 평가로 구분하고, 평가 방법에 따라서는 질적 평가와 양적 평가로 나뉩니다. 평가 주최에 따라 내부 평가와 외부 평가로 구분되며, 평가 단위에 따라 적합성 평가와 메타 평가로 나뉘게 됩니다.     


1. 평가 목적에 따른 분류

: 과정(형성) 평가와 성과(목표달성) 평가

평가 목적에 따라 과정평가와 성과 평가로 나뉘는데, 과정 평가는 형성 평가라고 부르기도 하며, 프로그램 질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프로그램 준비부터 진행과정에서 대상자 모집, 홍보 활동,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진행률, 출석률, 투입 자원, 전문성, 참여자 반응 등이 적절하였는지를 평가합니다. 과정(형성) 평가를 하는 이유는 중간중간 과정을 점검하여 목표 달성을 하기 위함입니다.


성과평가는 목표 달성 평가라고 부르기도 하며 본 프로그램의 목표 달성이 되었는지를 평가합니다. 사전에 계획서에 작성한 평가 지표 설정, 지표 적절성, 측정 도구, 평가 조사 설계 유형에 따라 프로그램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합니다.   성과(목표달성)  평가를 하는 이유는 목표 달성이 되었는지 검토하여 이 프로그램을 지속할지, 중간할지를  정하기 위함입니다.  


2. 평가 방법에 따른 분류:  질적 평가와 양적 평가

자료 형태와 조사 방법에 따라 질적 평가와 양적 평가로 구분됩니다.


양적 평가는 계량화되고 수치화된 자료를 수집하여 연역적인 방법으로 분석되며 결과와 성과에 초점을 두고 평가합니다.


질적 평가는 계량화되지 않는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며 주로 과정에 초점을 맞춘 평가를 뜻합니다.    

  

3. 평가 주최에 따른 분류:  내부 평가와 외부 평가

평가 주최에 따라 내부 평가와 외부 평가로 구분됩니다.


내부 평가는 기관 내부에서 프로그램을 결정하고 시행한 담당자들이나 조직내부 구성원이 시행하는 평가로 자체 평가라고 불립니다. 대체로 월, 분기, 년, 상하반기 등의 빈도로 시행합니다.


외부 평가는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주최가 아닌 조직 외부의 전문가, 대학교수, 조사연구 기관, 공무원 등 시행의 주최가 외부 기관으로 시군구 평가나 보건복지부, 협회, 예산지원처 등에서 시행하는 평가 등을 말합니다. 사회복지기관은 기본적으로는 내부 평가를 시행하지만, 외부 지원금과 정부 보조금을 활용하기에 외부 평가도 같이 시행됩니다.      


4. 평가 단위에 따른 분류:  적합성 평가와 메타 평가

적합성 평가는 1개 사업 단위로 평가하는 것이고, 메타 평가는 여러 사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사회복지 실무자들은 사업단위 평가를 하기 때문에 ‘적합성 평가’를 주로 합니다.


다음 회기 칼럼에서

평가서 항목별로 잘 작성하는 노하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더 많은 업무용 글쓰기가 알고 싶다면

<쉽게 배워 바로 쓰는 사회복지 글쓰기. 전안나> 도서를 참고하세요.


온라인 강의로 듣고 싶다면

< 탐서클>    https://bit.ly/3ULzu0g 에서 누구나 들을 수 있습니다.


다음 칼럼에서 만나요!!


매거진의 이전글 글쓰기를 위한 생각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