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럴듯한 제이 Sep 25. 2020

05.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름 카메라 유저입니다

내가 날려먹은 수많은 필름들에 부침

처음부터 필름 카메라에 익숙했던 것은 아니다.

나름 디지털 시대에 태어나  똑똑한 전자 제품들에 둘러싸여 자라온 우리 세대에겐 필름 카메라는 아주 생소했고, 귀찮은 것을 싫어하는 나에게는 손이 정말 정말 많이 가는 아날로그 시대의 산물일 뿐이었다.

내가 고등학생이 되고나서부터 점점 일반인들에게도 작고 간편한 디지털카메라가 보급되었는데 당시만 해도 디카는 저렴한 가격이 아니어서 용돈으로 살 수 없는 가격대였다. 아빠 찬스로 처음 구입했던 니콘의 쿨픽스에는 GB가 아닌 MB-대략 1GB 메모리는 1000MB와 같다. 어마어마한 저장 매체의 발전이다.-가 들어갔었는데 지금 기준엔 웃음이 나올 정도로 귀여운 용량의 메모리 카드가 들어갔었다. 그 카메라는 공연장에 들고 갔다가 잃어버려서-아빠한테 정말 혼쭐이 났었다-이제 생김새도 가물가물 기억이 나지 않지만, 인물 모드로 설정해 찍으면 인물사진도 뽀샤시하게 꽤 잘 뽑아줬었다. 당시 휴대폰들은 카메라 화소가 세 자릿수 초반대로 조금만 확대하면 네모난 픽셀이 다 보일 정도로-실루엣과 색깔 구별 정도의 용도 사용하기에 적당했다-결과물이 처참했으므로, 학교 행사 때는 디카를 들고 가서 열심히 촬영하여 그 시절 유행했던 싸이월드 미니홈피에 업로드했었다. 알다시피 사용이 아주 간편하고 셔터만 누르면 자동으로 설정값이 맞추어져서 촬영되었고, 근 20년 만에 크게 발전한 카메라 기술은 이제 휴대폰으로도 좋은 사진과 동영상을 간편히 남길 수 있게 해 주어 좋은 세상에 살고 있음을 다시금 깨닫게 해 준다.

반면에 굳이 20년 이상 과거에 머물러 있던 필름 카메라의 먼지를 후후 불어 긴 잠에서 깨운 요즘 사람들이 가끔 이해가 되지 않는 사람들도 있겠지만-나의 아버지가 그중 하나이다-필름 카메라의 결과물을 한 번이라도 접한 사람들은 충분히 흥미를 느낄 만큼 필름 카메라가 매력 있다는 걸 부인할 수 없다. 지금도 나정도는 양반일 정도로 필름 카메라의 깊고 넓은 바다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이들은 차고 넘치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매력적인 만큼 구입부터 사용에 익숙해지기까지의 그 과정이 순탄치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나마 요즘은 수리나 구입을 도와주는 좋은 업체들과 판매자분들이 많아서 편리한 편이지만 그 과정이 아예 생략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필름 카메라 한 대를 고르고 골라서 원하는 카메라를 손에 넣은 이후에 익숙해지기까지의 과정은 온전히 사용자 본인의 몫이므로, 칠렐레 팔렐레 성질 급하고 자주 깜빡하는 나 같은 사람들은 원망할 곳이 없어 사용하면서 속 터질 것이리라 예상한다. 아니 확신한다. 내가 그랬으니까.

잔고장으로 3번의 교환이 있긴 했지만 그 정도의 수고로움 정도는 미놀타에 대한 애착을 불러일으키기 좋은 작은 에피소드 정도로 기억하면 될 정도이다. 그에 반해 손에 익숙해지기 까지의 과정들이 더 힘들었다. 일단 필름을 끼우는 과정부터가 생소하고 디지털의 산물들을 사용할 때는 아예 생략되어 있는 과정이기 때문에, 익숙해질 때까지 약간의 경험과 시간이 필요했다.


굳이 필름을 끼우는 과정을 예를 들자면, 와인드 크랭크를 들어 올려 필름실을 열어서 필름을 끼운 후 길게 늘어뜨려 홈 안쪽의 톱니바퀴에 맞물려준다. 톱니바퀴에 잘 맞물렸다면, 레버를 감아 셔터를 눌러 다시 필름이 감긴 것을 확인한다. 뚜껑을 닫아 두어 번 더 촬영을 하여 빛이 들어간 부분을 전부 넘겨준다. 그리고 필름의 ISO 감도에 맞추어서 ASA 감도를 맞추어준다.

* ISO 감도란 일반 촬영용 필름의 감도 표시법 종류 중 하나이다. iso 수치가 높을수록 필름이 빛을 많이 받아들여 밝은 사진을 찍을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사진을 잘 뽑아낼 수 있다. ASA는 미국 규격으로, 과도기에는 ASA와 iso 두 가지를 병행했다고 한다. 보통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필름은 200~400 iso인데 정해진 기준은 없다. 단지 iso가 낮을수록 필름 가격이 착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일 뿐이다. (필름에는 iso로, 카메라에는 ASA라고 표시되어 있어서 굳이 이렇게 두 가지 용어를 함께 사용하게 되었다.)  

여기까지만 해도 대충 약 10번의 과정들을 거쳐야 한다. 처음엔 소꿉놀이를 하는 것 같고, 새 필름을 사용해보고 싶은 마음에 서툴지만 열심히 반복했던 과정이었지만 몇 번의 날려먹음(?)으로 인해-순전히 조작이 서툰 본인의 과실로 탓할 이도 딱히 없는 입장이면서도-나의 발품과 손품이 무용해져 버리고 나니 필름을 끼울 때마다 손이 덜덜 떨렸다. 그 후로도 혹시나 또 그럴까 싶어 나중엔 두 컷 정도를 날려먹을 각오를 하고 강박적으로 필름실을 열어 감긴 필름을 확인하고서야 안심이 되었다. 물론 이제는 익숙해져서 날려먹는 일은 생기지 않지만 가끔 불안할 때가 없지는 않다.


그리고 필름을 무사히 끼웠다고 해서 그 후의 과정들은 능숙히 제대로 진행되었냐면 아니, 모든 일들이 으레 그러하겠지만 아니라고 단언한다. 그러고 보니 이런 나에게도 애증의 미놀타로 불렸던 적이 몇 개월 정도 있었다는 것을 잠시 잊고 있었다. 처음에 멋도 모르고 샀던 두 세배 가격의 빈티지 필름들을 어이없는 이유들로 제대로 사용하지 못했을 때는 사랑이 애증이 되었다가, 애증이 애정이 되었다가 울그락 불그락 감정 기복이 일어나기도 했다.-필린이들은 무조건 가장 저렴한 필름들로 연습을 충분히 한 후에 다른 필름들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순전히 꼼꼼하지 못한 데다 초보였던 본인의 문제였음에도 책임 전가를 카메라에 대고 했으니. 미놀타는 수동 카메라치고 초보자들이 입문하기에 괜찮은 모델인데 뭐가 그리 어려웠을까. 지금 생각해보면 성격이 급한 나의 성정도 한몫했구나 싶어 웃음이 난다.


컷 수를 잘못 세어서 의도하지 않은 다중노출 사진을 얻은 적도 있고, 필름을 잘못 끼워 촬영 도중 빠져버리는 바람에 몇 시간 발품 팔고 손품 팔며 정성 들여 촬영했던 사진들을 아예 날린 적도 몇 번이나 있다. 아예 필름이 감기지 않고 제자리에서 맴맴 돌거나, ISO를 깜박하고 재설정하지 않아서 노출값이 잘못 설정되어 너무 밝은 사진을 얻거나, 혹은 렌즈 캡을 그대로 닫고 촬영하거나, 켜 둔 채로 들고 다니다 실수로 셔터가 눌러져서 몇 컷 날린 적도 있고, 카메라를 OFF로 둔 채로 촬영하여 중요한 장면을 놓친 적도 비일비재했다. 건전지는 또 왜 그렇게 결정적인 순간에 방전되는지 모를 노릇이고 말이다.(촬영이 끝나면 귀찮더라도 OFF로 설정해두는 게 좋다. 수동으로 버튼을 조작하여야 하는데 겉으로 보기에는 ON/OFF 설정이 티가나지 않아서 ON으로 방치했다가 그대로 방전되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 필름 카메라는 하나부터 열까지 아이 다루듯 챙기고 돌보지 않으면 그만큼이 업보가 되어 돌아오는 자비 없는 존재이기도 하면서, 익숙하지 않은 이들은 고장이라고 착각하기도 쉬운 소소하면서 결정적인 일이 많이 일어나는 섬세한 존재였던 것이다.



카페 안 자연광과 조명이 좋은 곳에서 찍은 셀프 카메라



필름 카메라는 실내보다는 실외에서 촬영하는 것이 맞다. 적어도 실내에서 촬영하려면 자연광이나 알맞은 조명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촬영하여야 미놀타의 진면목이 발휘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한 롤을 채우고픈 욕망에 실내에서도 촬영을 아주 많이 했었다. 차라리 카페에서 촬영할 때는 어느 정도 분위기 있는 사진들이 많이 나왔다. 어둡게 찍히긴 하지만 여러 가지 조명들이 적절히 배치되어있고, 자연광이 들어오는 상태에서는 분위기 있는 사진을 얻기 수월하다.

대신 자연광이 없는 상태에서는 어둡기 때문에 초점이 나간 사진이 촬영되기 쉽고, 실제로 보고 있는 장면보다 많이 어둡게 찍힐 확률이 높다. 물론 노출을 조절하고 초점을 맞춘 후 숨을 멈추고 적절한 타이밍에 손가락 힘을 빼고 누르는 수고로움을 거치면 또 그만큼 보람을 느낄 수 있겠지만, 노출도 어느 정도 작동법을 알아야 조정할 수 있으니 초보들에게는 선택권이 없다.

어쨌든 집 안이 아니라 카페나 야외로 나가서 촬영을 하기를. 집 안에서 촬영하는 건 비추이다. 배경이나 분위기 또한 사진의 일부이기 때문에 형광등 아래의 피사체들을 찍기에는 개인적으로 필름의 컷이 아까웠다. 물론 결과물을 보고 난 후의 생각이다. 그리고 쨍한 조명으로 인해서 여러 가지 필름 고유의 색감과 매력이 반감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실내에서 많이 촬영했다. 물론 친구의 아기들은 몇 컷을 찍더라도 행복했다.


그리고 처음 설명했던 필름을 끼우는 일부터 정상적으로 촬영하기 전까지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수많은 과정이 있고, 그중에 하나라도 빠뜨려버리면 착오가 생기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지금 생각하면 잘 모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말도 안 되는 실수들도 많았다. 몇 달간 사용하지 않다가 카메라를 들었는데 컷 수도 애매하고, 왠지 필름이 들어있지 않은 것 같아서 필름실을 열었다가 약간의 낭패를 본 적도 있었다. 지금이라면 하지 않을 실수이지만 생각해보면 그런 실패와 성공의 과정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미놀타에게 더욱 애틋해지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필름 카메라는 종류가 많은 만큼 사용법이 조금씩 다른 경우가 있는데, 마치 사람을 알아갈 때처럼 하나씩 익히며 그 카메라에 익숙해지는 기간이 필요하다. 처음부터 곁을 다 주지 않기 때문에, 내 손에 익기까지의 그 과정과 결과물에 대한 기대들이 합쳐져 또 다른 시너지를 발휘한다.

미놀타 이후로 몇 대의 필름 카메라를 더 만나보았다. 생김새도, 손맛도, 모양도, 크기도, 색깔도, 질감도, 심지어 프레임의 크기나 뷰파인더의 방향도 달라 알아갈수록 재미있어 한동안 모델을 바꿔가면서 사용했던 시기도 있었다. 결국 나에게는 자동 필름 카메라보다는 초점과 시선을 맞추어 공들여 찍는 매력이 있는 수동 필름 카메라가 취향에 더 맞았기 때문에 마지막 승리자는 역시 미놀타였지만 말이다.


손 맛에 대해 잠시 언급했는데 반사판이 내려갔다 올라가고, 셔터가 닫혔다 열리는 그 순간의 소리나 느낌 또한 아날로그로의 회귀를 부축이는 결정적인 이유에 한 몫하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처음 셔터를 눌렀을 때 머리 끝이 쭈뼛서던 그 느낌을 잊지 못한다. 디지털카메라가 주지 못하는-실제로 내 손안에 쥐어져 있는 카메라의 묵직한 존재감과, 녹음된 소리가 아닌 아날로그적인 기계음, 뷰파인더 너머 피사체를 정면으로 대면하는-여러 감각을 자극하는 그 어떤 느낌적인 느낌들에 대한 원초적 반응이라고 할까. 물론 디지털카메라도 전문가용은 다르긴 하더라만은, 생김새와 그 사용법, 접근성, 촬영 과정에서 오는 필름 카메라만의 매력은 또 많이 다르기도 하니까. 필름 카메라 만으로 전문 촬영을 진행하는 업체도 있는 것을 보면, 어느 정도 공인된 마성의 매력이 아닌가 하고 괜히 뿌듯해진다.


여러 가지 시행착오 후에 내 시선과 내 손, 나아가 내 취향에 맞추어진 카메라라고 하면, 마치 절친을 한 명 사귄 듯한 착각에 빠지기 충분하지 않을까? 어떤 사람이든 단점만 있지 않고, 또 장점만 존재하는 게 아닌 것처럼. 그리고 친구의 단점만을 보고 그 친구를 외면하지 않는 애틋한 그 마음처럼.

당신이 그런 마음으로 필름 카메라를 대면한다면 아마 친한 친구를 볼 때와 꼭 닮은 마음으로 카메라를 바라보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미놀타를 사랑하는 것처럼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04. 첫 술에 배부를 수 없다지만 이건 너무하잖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