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inoDAY Aug 02. 2019

꽃으로 다시 피어날 거예요

<김복동> 리뷰

*브런치 무비패스 시사회로 관람한 영화입니다


1. 해변가에는 파도가 친다. 파도는 사람들과 바람에 의해 더럽혀진 해변을 깨끗이 씻겨준다. 그러나 그도 잠시뿐, 해변은 금세 다시 엉망이 되고... 다시 깨끗해지기를 반복한다. 


김복동 할머니는 이러한 해변을 보고 싶어했다. 단지 바닷가에서 태어나 살았기 때문일까. 다시는 떠올리기 싫지만, 결코 반복되어서는 안 되는 과거이기에 진실을 이야기해야만 했던 당신의 삶을 비추어 보신 것은 아닐까.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태어난 한 소녀에서 위안부 성노예 피해자가 된 후 인권운동가의 삶을 살다 가신 김복동 할머니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김복동>에 유독 바다와 파도가 많이 나오는 이유일지도 모르겠다. 



2. <김복동>처럼 위안부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나 영화는 많았다. <귀향>, <아이 캔 스피크>, <허스토리>, <눈길> 등. 위 작품들이 개봉할 때마다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관심, 위안부 문제에 대한 관심들이 많아졌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위 영화들은 우리의 위안부 담론을 확대, 재생산할 뿐 새로운 담론을 제공하지는 못했다. 위안부 여성들의 피해를 재현하고 그들의 아픔과 절규를 보여주며 관객들을 울고 들끓게 할 뿐이었다.


하지만 <김복동>은 다르다. 영화는 위안부 성노예 피해자라는 굴레를 벗어나 세계 각지의 여성들과 연대하고 미래 세대의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인권 운동가, 김복동을 조명한다. 김복동 할머니는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할 것뿐만 아니라 일본 내 중고등학교에서 위안부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요구하고, 일본에서 박해받는 재일조선학교에 장학금을 기부하며, 세계 각지의 청년들을 만나 강연을 하며 당신의 경험을 알려준다. 



그리고 이러한 당신의 노력에 세상이 조금씩 화답하기 시작한다. 대학생들은 한일 위안부 합의와 화해 치유 재단 설립에 반대하며 시위를 벌이다 체포되기도 했다. 미국에는 소녀상이 설립됐고 각국의 언론들은 김복동 할머니와의 인터뷰를 보도한다. 일본 대사관 앞 수요집회는 올해 8월 14일부로 1400회를 맞이한다. 김복동 할머니가 그저 피해자라서가 아니다. 일제의 권력이 몸을 짓밟은 기억과 심지어 그 기억마저도 앗아가려는 일본 정부의 권력에 맞서 행동할 줄 아는 인권운동가로서의 용기, 그리고 그녀에게 화답한 이들의 연대가 만들어낸 일이다. 


이 모든 내용은 <미쓰백> 속 한지민의 목소리와 만나 영화 속에서 자신만의 의미들을 찾는다. 그리고 이렇게 <김복동>은 현실에서 과거를 바라보는 영화가 아니라, 과거를 통해 현실을 보고 미래를 바꾸자는 이야기를 하는 영화가 된다. 



3. 또 <김복동>은 감정적인 작품도 아니다. 오히려 절제할 줄 아는 편집과 기술이 돋보인다. 오프닝만 봐도 그렇다. 영화는 검은 화면을 배경으로 한 김복동 할머니의 증언과 함께 시작한다. 위안부로 끌려갈 당시, 위안소에서의 학대와 고통에 대해서. 그러다가 열심히 손을 씻는 할머니의 모습이 잠시 등장했다가 사라졌다를 몇 차례 반복한다. 숏과 숏의 반복. 그게 다다. 아무런 설명도, 통곡도, 절규도 없다.


하지만 전혀 관계없는 두 개의 숏이 부딪히는 순간, 그 긴 세월을 아무도 알 수 없는 고통과 외로움 속에서 보내셨을 할머니의 인생이 스크린에 나타난다. 평생에 걸친 그 악몽을 세면대에 떠내려 보내고 싶으신 할머니의 심정도 들려온다.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의 말처럼, 숏의 충돌이 의미를 창조해낸 것이다. <김복동>의 검은 화면. 그 절제미가 우리를 더 아프게 한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 중간중간 차마 숨기지 못한 감정이 툭 튀어나오는 순간들이 있다.


증인이 있는데 왜 증거가 없냐는 항변. 

위안부에 관한 일체의 교육을 하지 않는 일본의 현실을 보면서 잊혀서는 안 된다는 당부. 

피해자 의견 없는 위안부 합의에 대한 분노와 정부에 대한 배신감. 

함께 끝까지 싸워 달라는 부탁.  

아베가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한숨과 담배.

용서할 준비가 되었으니 일본 정부는 그저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라는 기자회견.


이 순간들이 모여 뜨거운 햇빛이 쏟아지든 눈보라가 치든 일본 대사관을 지켜보는 평화추 소녀상이 된다. 그리고 마침내 소녀상이 왜 필요했는지를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소녀상을 바라보는 할머니들의 애틋함과 회한의 눈빛을 지켜보며. 



5. 그래도 <김복동>은 끝까지 감정을 쉽게 드러내지 않는다. 위안부 할머니들의 고통, 괴로움, 희생을 알아달라거나 함께 해달라고 애써 간청하지도 않는다. 그저 보여줄 뿐이고, 영화의 내용을 받아들이는 것은 관객들의 몫으로 남겨둔다. 대신 작은 질문을 하나 던진다. 


"같이 싸워줄 거죠?"


내 눈가에 글썽이는 눈물은 내 이성에 앞서 던진 질문에 대답했다. 소녀상 옆에서 싸우겠다고. 그간 외면하고 지내던 내 자신이 부끄러워 스크린을 쳐다보기도 힘들다고. 할 수 있는 것이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하는 것이더라도 그 참회록을 쓰며 결코 당신들을 잊지 않겠다고. 또 지금까지의 아픔이 있었던 만큼, 마지막 꽃 한 송이는 보셔야 하지 않겠냐고 생각하며.



6. 영화관을 나와 집에 오는 길에, 잠을 자면서 <김복동>의 ost인 윤미래의 <꽃>을 들었다. 

그리고 일어나 뉴스를 봤다.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했다. 착잡하다. 답답하고 화도 난다.

 

과거를 인정하지 못하고, 과거를 가리려 하는 이들. 

과거를 부정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미래를 재단질 하기 위해 현재를 위협하는 이들.

그들의 속이 너무나도 잘 보여서, 꽃이 되려는 아픔을 피할 수도 없어서, 옳은 것과 옳지 않은 것이 서로 바뀔 수는 없는 노릇이라서 이 영화를 본 기억은 시간이 흘러도 쉽사리 바래지는 않을 것 같다. 위안부 피해자들이 꽃이 되는 그날에서야 노오란 빛으로 바래지 않을까. 


<김복동>은 8월 8일에 개봉하는, 그리고 부디 많은 분들이 봤으면 하는 다큐멘터리다. 



E(Exceeds Expectations, 기대 이상)

과거의 역사를 지운 이들이 미래를 보지 못하는 현실이라 더욱 한스러운 영화



매거진의 이전글 수직과 수평의 액션으로 유쾌하게 직조해낸 청년담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