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타트업에 미쳐 Sep 02. 2020

당신은 린스타업을 제대로 이해하는가?

만들기-측정-학습의 효과

에릭 리스 Eric Ries

린스타트업은 IMVU의 창립자 중 한명인 에릭 리스(Eric Ries)에 의해 개발된 방법론이다. 그는 IMVU 설립 초기 자신들의 기대와는 다르게 실패의 어려움을 겪던 중 도요타 생산 시스템인 린기법에 영감을 받아 린스타트업을 개발하게 된다. 린 생산 방식에서는 가치 흐름 상에서 발생하는 낭비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는 린스타트업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리스는 어떤 수행이 가치를 창조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빨리 알아냄으로써 낭비를 제거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스타트업에 종사하는 사람 혹은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린스타트업(Lean Startup)이라는 말을 한 번 쯤 들어봤을 것이다. 영어로 Lean은 기울이다, 숙이다, ~에 기대다 등의 의미를 내포한다. 영영 사전으로 보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to bend or move from a straight position to a sloping position." 즉 곧게 있는 자세를 경사진 자세로 바꾸는 것을 Lean 이라고 한다. 그러면 스타트업에서 린(Lean)한 스타트업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만들기-측정-학습을 하는 것이다. 이것만 들어서는 이해하기 어려울지 모른다. 린 스타트업은 우선 시장에 대한 가정을 테스트하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프로토타입을 만들도록 권한다. 그리고 고객의 피드백을 받아 기존의 불편을 훨씬 더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진화시킬 것을 주장한다. 이것이 바로 린스타트업이다. 너무 당연한 말 같은가? 그러나 그 당연한 말을 하지 않는 창업가들이 무수히 많다.


스타트업이란 지속가능한 사업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왜 스타트업은 실패하는가?

스타트업의 성공은 좋은 유전자의 결과나 시기, 장소 때문이 아니다. 올바른 프로세스를 따름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스타트업이 실패하는데 수많가지의 이유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 두가지만 꼽자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문제는 철저한 시장 조사, 정교한 전략과 기획 등에 현혹되기 때문이다. 방법론을 스타트업에 적용했는데 모두 잘 되지 않았다. 스타트업은 모두 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 운영되기 때문이다. 과거의 경영 기법은 이러한 종류의 일에는 맞지 않다. 기획과 예측이 잘 맞아 들어가는 분야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덜한 환경이나 운영의 역사가 오래된 분야다. 스타트업은 어느 쪽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린 스타트업


두번째 문제는 전통적인 경영 기법이 스타트업에서 실패하는 것을 보면서, 많은 창업가와 투자가들이 '일단 해보자(Just do it)' 방식에 길들여진다는 것이다. 많은 창업가들이 혼돈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 혁신적이고 파괴적이고 혼돈스러운 스타트업이 경영 기법으로 관리될 수 있고, 정확히 말하자면 관리되어야 한다. 린스타트업은 만들기-측정-학습으로 표현되는 기법에 아주 유용학게 사용 될 수 있으며 스타트업을 더더욱 스타트업스럽게 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최대한 빨리 실험하라

스타트업의 비전이 스타트업 실험을 이끈다. 모든 스타트업 실험의 목표는 그 비전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사업을 구축하는 방법을 발견하는데 있다. 초기 실험에서 얻은수치가 가망이 없어 보이면 전략에 분명히 문제가 있는 것이다. 전략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포기해야 할 때라는 의미가 아니라 반대로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즉각적이고 정성적인 피듭백을 받아야 할 때임을 의미한다. 린 스타트업 모델에서 실험은 단지 이론적인 조사를 넘어서는 첫 번재 제품이기도 하다. 초기 단계라도 고객에게 시제품을 써보게 하는 것이, 팀이 가설의 잘못된 점을 밝히는데 도움이 된다. 고객들이 빠진 기능에 대해 불평할 수도 있지만 이는 팀이 바른 길로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성공은 기능을 전달하는 것이 아닌 성공은 고객의 문제를 푸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최소 요건 제품 (MVP, Minimum Viable Product)

회사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가장 위험한 가정" 이 분명해지면 첫 단계는 최소 요건 제품인 MVP(Minimum Viable Product)를 되도록 빨리 만들어야한다. MVP는 최소 노력과 개발 기간으로 만들기-측정-학습 순환을 완전히 돌 수 있게 하는 제품 버전이다. MVP에는 기능이 대부분 빠져 잇다. 나중에 필수라고 평가 받을 기능까지 말이다. MVP는 한번 만들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시 만들기-측정-학습 사이클을 반복한다. 사이클을 몇 회 반복한 후에는 지금까지 해오던 방향대로 계속 진행할지, 방향을 바꿀지를 결정해야 한다.


스타트업은 혁신 회계를 사용해 만들기-측정-학습 피드백 순환을 거치며 각 여정을 평가해 성장 엔진을 튜징하면서 제품/시장 적합성에 더 가까워졌는지 평가할 수 있다. 정말 중요한 것은 정제되지 않은 수치나 무의미한 지표가 아니라 진척의 방향과 정도다.


만들기-측정-학습

스타트업이 만드는 제품은 실제 실험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을 구축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그러한 실험의 결과다. 스타트업에 정보는 돈이나 상, 언론에 언급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다. 다음 구상에 영향을 미치고 그 구상을 새로 고치기 때문이다. 과학적 방법을 스타트업에 적용하려면 어떤 가설을 테스트해야 할지 확인해야 한다. 가설을 실험하고, 학습하는 것은 일회적인 프로젝트가 아니라 지속적인 과정이다.

만들기-측정-학습

만들기-측정-학습 순환 루프를 실행하면서 유효한 학습이 일어났다면 고객이 실제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내고, 고객 요구에 맞게 제품,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유효한 학습이란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게 된 것을 뜨하는 것으로, 주관적인 지각이 아닌 실제 데이터, 사업 모델의 주요 지표 향상으로 검증되어야 한다. 다르게 말하면, 유효한 학습을 했다면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지 알게 되고, 이는 자연스레 지표 개선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린스타트업에서 핵심적인 성과지표는 유효한 학습이 된다. 생산성이 높다는 거은 많은 제품,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제대로 된 학습을 했느냐가 기준이 되는 것이다.


린 스타트업의 방법론은 회사를 보다 자본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준다. 실험과 검증을 기반으로 개발 프로세스를 진행하면서 언제 방향을 전환해야 알게 해주어 시간과 돈을 덜 낭비하게 된다. 또한 실험과 학습을 촉구함으로써 조직원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훈련, 강화시켜 기업이 지속적으로 혁신할 수 있게 해준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