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삐뚜로 빼뚜로 Feb 12. 2022

상실함을 소유한 당신에게 온 편지

영화 <역으로 가는 길을 알려줘, 2019> 리뷰


있던 것이 없어져버린다는 것은 참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다. 돈, 명예, 건강 등 잃을 것은 많이 있다. 내 옆에 있는 사랑하는 존재도 잃을 시간이 이미 예약되어 있다. 다만, 그 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을 뿐.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시기에 북한군으로 의심을 받는 처남을 구하기 위해 일본에서 한국으로 밀항을 한다는 내용의 소설 <아버지와 외삼촌>은 재일교포 2세인 이주인 시즈카의 아버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한국 독자에게 많이 알려진 이 이야기의 작가가 영화 <역으로 가는 길을 알려줘>의 원작이 되는 동명의 단편 소설을 썼다. 1992년 소설 <받아들이는 달>로 107회 나오키상을 수상한 작가가 알려주는 '상실 증후군 치유법'은 무엇일까.


영화 <역으로 가는 길을 알려줘, 2019> 포스터


<클럽 샌드위치로 도시락을 싸서 지하철을 타고 가까운 바다로 소풍 가기>


사야카가 체험학습을 다녀오니 가장 친한 친구였던 강아지 루가 심장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사야카는 혼자 산책을 하고, 루가 없는 루의 집을 멍하니 바라보며, 큰 소리로 루를 불러도 소용이 없다는 것을 배우고 있다. 그러다가 비밀의 장소에서 만난 루스라는 강아지가 소개해 준 후세 할아버지를 알게 된다. 후세 할아버지는 동네의 음악 카페에서 일하고 있으며, 사야카처럼 사랑하는 존재를 잃었다. 같은 상처를 공유한 둘은 루스를 데리고 클럽 샌드위치로 도시락을 싸서 지하철을 타고 가까운 바다로 소풍을 가기로 한다.


대화가 잘 통하는 후세 할아버지와 사야카


<상실한 존재를 떠올리며 그를 다시 공중에 만들어내는 몸짓하기>


이들이 바닷가로 소풍을 온 이유는 그리워하는 존재를 만나기 위해서다. 상실한 존재와 함께 보냈던 시간을 떠올리며 그와 했던 일을 시늉하는 몸짓은 나를 과거의 시공간으로 데려다준다. 사야카가 루를 떠올리며 목줄을 잡고 산책하고, 후세 할아버지가 아들 고이치로를 떠올리며 캐치볼을 하는 것이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사야카는 이곳에서 루와 고이치로를 만나지만, 그들은 너무 빠르게 달려 사야카가 따라가기에 벅차다. 


루는 없지만,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갈길이 다르다면 떠나는 빨간 열차를 향해 웃으며 손 흔들기>


쓰레기 더미에 입구가 가려졌던 비밀의 장소는 루가 집념으로 찾아낸 곳이다. 여기서 사야카와 루는 즐거운 시간을 보냈고, 루가 떠난 후 사야카 혼자 그리움에 젖었으며, 루스를 만나 후세 할아버지의 음악 카페까지 가게 되었다. 루는 생전에 여기에서 사야카와 함께 기찻길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여기에는 빨간 열차가 도착하는데, 사야카는 그 열차를 타러 갈 수 없다. 후세 할아버지, 루, 고이치로가 탄 열차는 사야카에게 손을 흔들며 저 멀리 떠나버린다.


사야카는 루와 고이치로를 따라갈 수 없다.


상실은 소유가 전제된다. 가졌던 시간이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잃을 수 있는 것이다. 영화 <역으로 가는 길을 알려줘>는 현실과 환상의 공간을 넘나들며 우리의 머리와 마음속을 종횡무진한다. 잃었다는 것에 대한 슬픔보다 가졌다는 것에 대한 고마움을 상기한다면, 곧 잃을 것들의 목록이 떠올라 현재의 소중함에 몸 둘 바를 모르게 된다. 

애니메이션 영화 <너의 이름은, 2016>으로 한국 팬들에게도 익숙한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딸 닛츠 치세(2010년생)가 사야카 역할을 맡아 오이다 요시(1933년생)와 세대를 뛰어넘는 우정을 보여준다. 당신도 상실함을 소유했다면 이 편지를 잘 간직하길 바란다.


* 해당 리뷰는 씨네 랩(CINE LAB) 크리에이터 시사회 참석 후 작성하였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내 이야기는 내가 직접 만들어주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