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마란스 May 06. 2024

식스시그마(6 sigma) 방식으로 제안서를 작성한다?

제안서 작성법

식스시그마(6 sigma) 란?

6 시그마(6σ)는 기업에서 전략적으로 완벽에 가까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정립된 품질 경영 기법 또는 철학으로서, 기업 또는 조직 내의 다양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현재 수준을 계량화하고 평가한 다음 개선하고 이를 유지 관리하는 경영 기법이다. 원래 모토로라에서 개발된 일련의 품질 개선 방법이었으며 품질 불량의 원인을 찾아 해결해 내고자 하는 체계적인 방법론이었다.


전략 방법론

6 시그마에는 두 가지 주요한 방법론이 있는데 DMAIC과 DMADV이다. 이 두 가지는 원래 W. 에드워드 데밍의 PDCA 계획-실행-점검-행동 사이클 이론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6] DMAIC은 주로 기존의 프로세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쓰이고, DMADV는 새로운 제품을 만들거나 예측 가능하고 결함이 없는 성능을 내는 디자인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쓰인다.


DMAIC  

정의(Define): 기업 전략과 소비자 요구 사항과 일치하는 디자인 활동의 목표를 정한다.

측정(Measure): 현재의 프로세스 능력, 제품의 수준, 위험 수준을 측정하고 품질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는 요소(CTQs, Criticals to qualities)를 밝혀낸다.

분석(Analyze): 디자인 대안, 상위 수준의 디자인을 만들기 그리고 최고의 디자인을 선택하기 위한 디자인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개선(Improve): 바람직한 프로세스가 구축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성 요소들을 개선한다.

관리(Control): 개선된 프로세스가 의도된 성과를 얻도록 투입 요소와 변동성을 관리한다.


DMADV  

정의(Define): 기업 전략과 소비자 요구 사항과 일치하는 디자인 활동의 목표를 정한다.

측정(Measure): 현재의 프로세스 능력, 제품의 수준, 위험 수준을 측정하고 품질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는 요소(CTQs, Criticals to qualities)를 밝혀낸다.

분석(Analyze): 디자인 대안, 상위 수준의 디자인을 만들기 그리고 최고의 디자인을 선택하기 위한 디자인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디자인(Design): 세부 사항, 디자인의 최적화, 디자인 검증을 위한 계획을 하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과정이 필요하다.

검증(Verify): 디자인, 시험 작동,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적용과 프로세스 담당자로의 이관 등에 관련된 단계이다.



식스시그마(6 sigma) 방식으로 제안서를 작성해보자

전략기획 또는 제안서 작성하는 분야와는 다른 개념이지만, 다른 시장에서의 검증된 전략방법이기 때문에 식스시그마로 제안서를 작성하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물론 그 내용이 맞는 상품 또는 고객에 맞춰서 작성하면 좋은것이다.


먼저 2개 카테고리/ 10개 챕터에 맞도록 내용을 구분해보자면


Define (정의):  

제안서의 목표와 요구 사항을 명확히 하고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와 기대를 식별하고

문제의 정의 및 프로젝트의 범위를 명확히 설정한다.

Measure (측정):  

현재 상황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기준점을 설정하고

데이터 수집 방법과 도구를 결정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이전 프로젝트의 성과 지표나 현재 시스템의 성능 데이터를 수집해서 넣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Analyze (분석):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의 원인을 식별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도출하고, 어떤 변화가 가장 효과적일지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통계적 분석 방법론 또는 문제해결 방법론 & 전략이 사용되면 좋다..

Improve (개선):  

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해결책을 적용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개선된 방법론이나 기술을 제안서에 명시적으로 기술한다.          개선안이 실제로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소규모 테스트나 파일럿 프로그램을 실행해볼 수 있다.      

Control (통제):  

개선된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통제 메커니즘을 마련하는데

성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조정한다.

제안서에는 품질 관리와 프로젝트의 지속적인 관리 방법에 대한 세부 사항을 포함해야 한다.


실제 제안서를 예를 들어 식스시그마(6 sigma) 방식으로 생각해보자.


Define (정의):

1.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2. 그것을 해결하는 방안을 정리하는것이 중요하다.


https://www.documento.co.kr/87/?bmode=view&idx=21447737&back_url=&t=board&page=1

(제안서 샘플 이미지 불러오기)



* 요구사항에 대해 타이틀과 함께 정리하였고, 그것을 해결하는 전략방향 4가지를 표현하고 있다.

* 그리고 그 뒤쪽으로는 4가지의 전략을 실행하는 방안을 기술하면 된다.


Measure (측정):


https://www.documento.co.kr/87/?bmode=view&idx=21447737&back_url=&t=board&page=1

(제안서 샘플 이미지 불러오기)


1. 현재 현황을 분석하는것이 중요하다.

즉, '이러한 문제점이 있으니' 이렇게 해결하려고 접근하는것이다.


Analyze (분석):


https://www.documento.co.kr/87/?bmode=view&idx=21447737&back_url=&t=board&page=1

(제안서 샘플 이미지 불러오기)


1. 현재의 현황을 분석하는데 딱 필요한것만 하는것이 아니고 담당자의 고민, 요청자의 고민을 담고 있어야한다.

2. 주변의 상황과 함께 더 넓은 형황으로 분석해서 접근하는것이 좋은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Improve (개선):


https://www.documento.co.kr/87/?bmode=view&idx=21447737&back_url=&t=board&page=1

(제안서 샘플 이미지 불러오기)


1.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확실한 방법을 제안해야 한다.

2. 전략 부분에서는 간단한 언급이 되어도, 뒤쪽의 제안서로는 세부적인 실행방안이 도출되고 제안되어야 한다.



제안서라는것은 어렵게만 생각할것이 아니기도 하다.

제안요청서 -> 이것은 문제집이라고 보면 된다. 주관적인 문제집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논리적 답안을 제시하면 되는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