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rince ko Oct 15. 2015

이주노동자에게 가을은 이미 추운 계절

통하면 즐겁습니다 - [이주노동자 한국어교실①]

“옷. 나는. 어디에요?”

“내 옷 어디에 있어요? 라고 묻는 거죠?”

“네”


 

용인이주노동자쉼터 베란다에 걸려 있는 빨래들


베란다에 널어둔 자신의 빨래를 찾던 태국 출신 이주노동자 쏜차이가 난감하다는 표정으로 “옷. 나는. 어디에요?”라고 한 마디씩 끊는 말로 물었습니다. 그는 일요일엔 한국어교실 등으로 사람들 출입이 많아 이동식 빨래 건조대를 계단 위 창고로 옮긴 것을 모르고 있었나 봅니다. 보통은 이주노동자들 스스로 일요일 아침이면 베란다에 널린 빨래를 걷습니다. 그런데 쉼터에 들어온 지 얼마 안 되다 보니 빨래가 안 보여서 무척 황당했을 것입니다. 


용인이주노동자쉼터 한국어교실


쏜차이는 외국인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지 일 년이 조금 넘습니다. 근무처변경 문제로 용인이주노동자쉼터를 이용하고 있는 그는 태국에서 한국어를 배웠다고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쓰는 단어들도 제법 많이 알고, 자기가 하고자 하는 말을 표현하고자 할 때면 무척 진지하다는 인상을 주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앞뒤 사정을 모르는 사람은 그와 대화하려면 사전이 있다 해도 쉽지 않습니다. 한국어가 서툰 대부분의 외국인이 그렇겠지만, 어법이나 문법에 맞지 않는 문장 구사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런데 잘 들어보면 외국인이 하고자 하는 말의 의도를 알아채는데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사람은 자기가 말하고 싶은 말을 먼저 하는 법이니까요. 옷을 잃어버린 사람에게 가장 급한 것은 ‘옷’을 어떻게 찾느냐는 것입니다. 쏜차이는 어순이 틀리고, 주격 조사가 틀려도 ‘옷’이라고 하는 핵심만 놓치지 않는다면 알아들을 수 있는 문장을 구사한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그가 “내 옷 어디에 있어요? 제 옷 찾아주세요”라고 말하고 있다는 걸 바로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정도 되면 자칭 통역의 은사를 갖고 있다고 농담 삼아 말할 수 있겠지요.


그나저나 태국어는 목적어를 주어 앞에 쓸까요? 아닙니다. 아직 한국어가 서툰 그는 당장 갈아입을 ‘옷’이 급했던 것입니다. 아침에 일어나니 기온은 찬데, 입을 옷이 없었을 때 당황했을 그의 모습을 상상해 보십시오. 


태국은 고온다습한 열대성 기후로 연평균 기온은 28℃(최고 32.5℃, 최저 23.7℃)인 나라입니다. 아무리 볕 좋은 가을이라지만 열대성 기후 지역 출신 이주노동자들에겐 벌써 한기를 느끼는 계절입니다. 이 가을이 가기 전에 일자리를 찾지 못한다면 쏜차이는 더욱 추운 겨울을 맞아야 할지 모릅니다. 그가 하루빨리 일자리를 찾아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더워요'에 '뜨겁다, 맵다', '다~'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