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양준철 Nov 30. 2015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홍수 속에서 균형 잡기

무엇을 자산으로 남길 것인가

'청년창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시장에 풀려있는 자금이 엄청 많다고 한다. 예산을 소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한국이 가장 선호하는 것은 '경진대회를 통한 시상금' 또는 '지원금 명목 하에 현금지원' 인가 싶을 정도로 시장에 경진대회도 많고 자금지원 프로그램도 참 많은 것 같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경진대회나 창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석하는 예비창업자들 중에 '대회나 지원을 통해서 사업모델을  검증하고 조금 더 사업을  현실화시키고  싶다'라는 생각 보다는 '취업 전에 스펙으로서  활용해야겠다'라고 생각하는 인원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다. 


( 실제로 대전에 있는 모 예비창업자의 경우에는 5년째 지역과 아이템을 변경해가며 지원 프로그램이나 경진대회에 응모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심사위원이 매번 다르다 보니까 어떤 창업자가 대회/지원 프로그램 헌팅을 하는지 모르고 아이템만 보고 심사를 하게 되기 때문인 것 같다. ) 


요즘은 창업지원 프로그램과 경진대회가 많아서인지 심사위원으로 참여해서 보면 참여했던 심사위원들이 애초에 기대 수준을 낮추고 참석을 하게 되고, 그래서 예비창업자들의 발표에 대해서 까칠한 심사를 통해서 피드백을 강하게 주기 보다는 그냥 좋은 게 좋은 거다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은데 예비창업자들 입장에서는 '까칠한 피드백' 보다는 '긍정적인 피드백'이 아무래도 달콤하기에 '까칠한 피드백'은 잊거나 놓칠 수 있다는 것도 함정인 것 같다. 


청년창업 활성화 바람이 불기 한참 전인 2012년 이전에도 이런 행동을 보이는 창업자들은 있었다. 하지만 예비창업자들이 기억해야 할 것은 이런 행동을 보였던 창업자들이 지금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어리거나 젊은 나이에 '경험'을 쌓는 것은 좋지만 기억해야 할 것은  '경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경험'을 통해서 '자산화' 시킬 것이 무엇인가가 계획된 채로 경험을 시작하는 사람만이 '경험의 자산화'를 성공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오늘은  한 번뿐이고 어제를 되돌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 오늘 하는  하나하나의 경험 모두를 자산화 하는 것이 결국에는 미래에 자산이 많은 사람이 될 수 있는 기반이 되지 않을까? 


경진대회 든 창업지원이든  '득'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독'이 되지 않게 균형을 잘 잡아야 한다. 


내가 균형 못 잡아서 넘어진다 한들 아무도 대신 책임지지 않으니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