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주말에 할 게 없어서 이런저런 인스타그램 릴스나 유튜브를 보다가, 우연히 영화 <올드보이>와 관련된 영상을 우연히 많이 보았는데, 짧게나마 적을 부분이 있어 글을 올린다.
1. "지선씨네마인드"를 보고 나서
박지선 교수가 '올드보이'를 보고 나서 ''올드보이' 제목에 부합한 인물은 '이우진(유지태 배우 역)'인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이 말에 <올드보이>를 곰곰이 생각해 보았을 때, 이 영화는 우진의 복수심으로 인해 시작되었고, 우진의 자살로 이야기가 끝난다.
<올드보이>에서 작중 노출 비중을 따졌을 때, 오대수가 매우 높게 나오지만, 오대수 또한 이우진의 이야기를 위한 등장인물에 불과했다.
결국, 올드보이는 '오대수'의 처절한 20년간의 처절한 이야기 나 복수극이 아닌 이우진의 복수극이다.
아마 우진이 자살했던 이유는 본인의 인생 최종 목표를 달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어렸을 때의 복수심과 구 복수만 생각하고 달려온 우진, 목표를 달성한 우진에게 남은 것은 새로운 삶이 아닌 복수가 완료된 것뿐이었다. 복수가 끝난 그에게는 남아있는 게 없었다. 그러니 우진은 자살했다.
ー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연관 지어 해석하는 분들이 많았고, 필자도 그러한 해석에 동의하지만, 좀 더 다르게 해석해보고 싶었다.
박지선 교수의 말처럼, 어른이 될 때까지는 그 시절에 살았었던 우진은 복수가 끝난 뒤 새로운 인생을 맞이한다. 하지만 그는 그 삶을 스스로 거부한다. ー학생시절의 우진의 대타자1)는 본인의 누나였을 것이고, 청년(?)시절 우진의 대타자는 복수가 완료되기 직전까지의 '오길수'였을 것이다.
2. '<올드보이> 블루레이'의 신형철 교수에 한 마디
신형철 교수는 '<올드보이> 블루레이'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2)
"정직한 예술가라면 피해 갈 수 없는 질문이 있다. 그것은 인간의 삶이 송두리째 파괴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야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말해야 한다."
위에서 말했다시피, <올드보이>는 철저하게 이우진의 이야기이다. '오대수'의 삶도 송두리째 파괴되었지만, 우진의 삶도 송두리째 파괴되었다.
극 중 우진의 삶만 보았을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야 되는 이유를 찾지 못했다. 물론 필자보다 문학적인 면모가 비교도 안될 정도로 좋은 신형철 교수에게 있어서 이러한 말을 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되지만, 필자는 잘 모르겠다.ー오대수를 끼워 넣는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오대수의 이야기로 살아가야 된다는 이유를 말한다면,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이 부실하다는 느낌이 있다. 어찌 보면 대수 또한 자신을 20년째 가둔 사람을 찾기 위한 복수심으로 살아왔기 때문이다.ー
개인적으로 예술가가 죽으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ー흥행성, 윤리적 문제와 별개로ー 모든 작품이 좋은 교훈이 있어야 되는 건 아니니까. 우리는 죽어가고 있는 존재지만, 삶의 이유를 알려주고 행복하게 사는 일, 나약한 인간의 존재를 버텨주게 하는 일이 문학의 의미이자 더 넓은 의미에서는 예술의 의미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삶이 송두리째 흔들리고 파괴 됐을 때, 우리는 어디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적어도 "이우진"의 삶을 보여주고 "이우진"의 마지막을 보여준 <올드보이>에서는 위 질문에 대한 답이 충분해 보이지 않는 것 같다.
인용부호
1) 대타자란, 주체를 보증해 주는 존재를 의미한다.
- <로자의 한국문학 수업> 中
2) 지금은 사라졌지만, 인스타 릴스에서 보았고, 그 기억을 토대로 적었기 때문에, 완전하게 신형철 선생이 했는 말이라고 볼 수는 없다. 허나 그가 말했던 부분을 나름대로 이해해서 다시 적어보았다. - 틀렸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용된 사진 출처 - 영화 <올드보이> 作中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