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젊은날의 푸르름 Jun 21. 2024

이혼, 뼈 때리는 현실점검

뼈 때리는 현실점검, 살 떨리는 현실점검!

이혼은 '현실'이라는 말이 참으로 실감 나는 요즘이다.


'내가 과연 양육권을 갖고 올 수 있을까?'


그러기에는 너무나도 무력한 내가 있고, 그런 나를 오래도록 들여다보고 있노라니, 무력한 내가 참으로 싫어지더라. ‘내가 싫다’는 생각, 참 오래간만이다. '그동안 나는 과연 뭘 했단 말인가', 싶었던. 커리어 하나 제대로 쌓지 못하고, 딴 주머니 하나 야무지게 차지 못하고, 그 많은 시간을 날려버린 것처럼 보이는 나는, 'OO야, 너는 도대체 뭘 한 거니?’ 나 자신에게 묻게 된다.


나에게 이혼이란?

뼈 때리는 현실점검이다. 살 떨리는 현실점검이다.


밥벌이가 안 되는 일을 오래도록 하고 보니, 나 하나 먹고살만한 내 밥그릇 하나 없더라. 이게 지금의 현실이었다. 현실점검은 언제나 팩폭을 날리기 마련이지... 참으로 쓰디쓰고, 차디차다.


며칠 째 알바몬, 알바천국, 심지어 당근까지 기웃거려 봤다. 먹을 대로 먹은 중년의 나이에, 상할 대로 상한 건강과 이 저질체력에, 빈약한 커리어에, 돌쟁이 아기가 딸린 상황에 과연 할 만한 것이 무엇이 있을까? 이왕이면, 재택근무면 참 좋으련만. 코로나를 거쳐왔으면 응당 재택근무(알바)가 활성화 됐을 법도 한데, 몇 페이지를 둘러봐도, 스크롤을 아무리 내려봐도, 없다. 딱히 없다. ‘아니, 현실은 왜 이리 트렌드를 못 좇아오는 거지?!!!!’ 혼자 구시렁 구시렁대다, 알게 된 진실은, 내가 가진 것이 별 거 없어서라는 점이다. '가진 것이 없다'라… 흔하디 흔한 대학 졸업장, 대학원 졸업장, 뭐 하나 쓸 만하지 않다. 내가 가진 패가 별 볼 일 없으니, 내게 돌아올 판돈 따위는 없는 것이겠지.  


그러고 보면, 주부가 되어버린, 아기 엄마가 되어버린 내 친구들 중, 과연 몇 명이나 일선에서 뛰고 있나? 머릿속 회로를 아무리 돌려봐도 거의 없다, 가 결론이다. 내 가까운 대학 친구 중 한 명은, 아기 엄마로 주저앉은 지, ‘누구누구 엄마’로 불린 지 오래됐다. 솔직히 난 아까웠다. 어차피 임원이 되지 않는 이상 여자사람의 직장생활 그 끝이 무엇인지를 알기에 사표를 냈노라고, 안정적인 9급 공무원 준비나 하겠다고 나서는 그 친구를 보면서, 난 생각했더랬다. '너무 아깝다'라고. 그러다 아예 공무원도 때려치우고 아기 엄마로 털버덕 앉아버린 친구를 보면서, '사회가 인재 한 명을 잃었다'라고, 난 속으로만 생각했더랬다. 참으로 아까비…


젊은 시절, 우리는 무엇을 원했던 것일까? 우리는 무엇을 위해서 치열한 고민을 하고 숱한 방황을 하면서 길을 나섰던 것일까? 대학시절, 40줄에 이런 모습일 거라고 그 모습을 그리며, 마음에 품으면서, 상상하며, 험난한 그 길을 헤쳐왔던 것일까?


나도 나이가 들긴 들었나 보다. 젊은 시절, 어쩌고, 운운하는 것을 보니 말이다. 속절없이 나이 먹은 중년 아줌마가 그저 푸념하는 소리일 뿐.


다시 현실로 돌아와서.

이 상태로는 양육권? 어림도 없다.


이혼을 하려면, 반드시 따라와야 할 경제권. 이것을 잃은 지 오래인 나는, 써 내려가지 못한 이혼신고서를 남몰래 가슴팍에 묻어둔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가슴 한편에 사표를 품고 살아간다고 하지 않던가?

주부인 나도 가슴 한편에 이혼신고서 하나쯤은 품고 살아가야지. 그렇게라도 살아가야지.  

매거진의 이전글 이혼, 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