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푸샵 May 06. 2018

성공은 '자기 다움을 이루는 것'

[맘대로 리뷰] <성공을 부르는 입곱가지 영적 법칙>

2016년 말부터 미니멀 라이프의 일환으로 책 정리를 해오고 있다. 총 2천3백7권 중 303권의 책을 떠나보냈다. 그중 하나가 디펙 초프라가 쓴 <성공을 부르는 일곱가지 영적 법칙, 2010>이다. 아쉽게도 이 책의 사진은 남겨 놓지 못했다. 건강과 관련된 책을 많이 읽는 내가 디펙 초프라를 알게 된 것은 <사람은 왜 늙는가>란 책을 통해서였다.

디팩 초프라(दीपक चोपड़ा, Deepak Chopra, 1946년 10월 22일 ~ )는 심신상관의학과 인간의 잠재력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의학자(내분비학)이자 영적 지도자. 인도 뉴델리에서 태어나 하버드 의대에서 공부했다. 고대 인도의 전통 치유 과학인 아유르베다와 현대 의학을 접목하여 ‘심신상관의학(mind-body medicine)’이라는 분야를 창안하며 대체의학의 선두 주자가 되었다. 

동양철학과 서양의학을 한데 아우른 독창적인 건강론과 행복론을 전 세계 수많은 독자들에게 전해왔으며, 현재 자신이 세운 ‘초프라 행복 센터(Chopra Center for Well-Being)’를 중심으로 마음 수련법을 전파하고 있다. 그의 많은 책들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이자 건강과 영성을 위한 최고의 교과서가 되었다. 그 영향으로 <뉴스위크>지가 선정한 20세기를 움직인 100인 중 한 명에 선정되기도 했다. 국내에는 <사람은 늙지 않는다>라는 책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는 <사람은 늙지 않는다>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 <마음의 기적> <죽음 이후의 삶> <풍요로운 삶을 위한 일곱 가지 지혜>, <영혼을 깨우는 100일간의 여행>, <중독보다 강한>, <건강의 창조>, <조건 없는 삶>, <신과의 영원한 대화>, <사람의 아들 붓다> 등이 있다.
– 참고: <알라딘>, <위키 백과>
성공을 부르는 일곱가지 영적 법칙 – 디펙 초프라(2010년)

<성공을 부르는 일곱가지 영적 법칙>을 읽고 짧게나마 정리해 두었던 때가 2014년 1월 14일. 살아가면서 누구나 하고 있는 일, 시작하게 될 일에 대해 성공을 기원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성공 관련 책을 한 권쯤은 사서 읽는다. 성공과 관련한 자기계발서가 많지만 디펙 초프라의 <성공을 부르는 일곱 가지 영적 법칙>은 다른 자기계발서에 비해 도서 분류가 “명상/선”이다. 어쩌면 성공은 마음에서부터 오는 것이 맞는지도 모른다. 성공을 부르는 7가지 영적 법칙은 다음과 같다.


1. 순수 잠재력의 법칙 
2. 베풂의 법칙 
3. 까르마(인과)의 법칙 
4. 최소 노력의 법칙 
5. 의도와 소망의 법칙 
6. 초연의 법칙 
7. 다르마(삶의 목적)의 법칙


1. 순수 잠재력의 법칙은 순수 의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의식 즉, 잠재된 능력을 어떻게 깨울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누구나 잠재력이 내재되어 있지만 그것을 깨우는 사람은 많지 않다. 침묵과 명상, 자연과의 교감, 분별하지 않기 등을 통해서 순수 의식을 들여다보고 그를 통해 잠재된 능력이 무엇인지 들여다볼 수 있다.


2. 베풂의 법칙은 주고받음을 의미한다. 우주는 역동적인 주고받음으로 끊임없이 흐르고 순환함을 의미한다. 인체 역시 우주를 닮아 있다. 들어오고 나가고, 순환하고, 주고받고를 끊임없이 반복하는 존재이다. 받기만 하고 주는 것에 인색해서는 안 된다. 주되 그 이후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받게 되어 있으며, 받았다면 감사한 마음을 가지면 된다.


3. 까르마(Karma)의 법칙은 선택의 법칙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결과도 달라질 것이다. 선택을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경험을 바탕으로 하되, 그 선택을 했을 때 과연 내가 그리고 주위 사람들이 행복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행복한 선택을 했다면 결과 또한 행복할 것이다.


4. 최소 노력의 법칙은 최소 행위와 무저항을 의미한다. 인도 철학의 베다에서는 이 법칙이 ‘노력 아끼기’의 원칙으로 ‘적게 행하고 많이 이루기’의 원칙으로 알려져 있다. 어쩌면 파레토 법칙인 80/20 법칙과도 닮아 있는지도 모르겠다. 자연이 돌아가는 모습을 찬찬히 관찰해 보면 그 안에는 가장 적은 힘, 즉 최소의 노력이 들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의도와 소망의 법칙은 소망하되 목적 혹은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소망하는 의도가 무엇이며, 그 소망에 어떤 의미가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의도는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 소망을 의미하며, 의도는 미래를 위한 것이지만 관심은 현재에 두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현재를 자각하지 않는다면 목표는 모두 허황된 것이므로, 어떤 행위를 하고 있든지, 언제나 지금 이 순간을 자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망을 이루기 위한 5단계
① 생각의 틈 사이로 들어갈 것(고요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
② 의도들과 소망들을 풀어놓을 것
③ 자기 참조의 상태에 머무를 것(자신의 소망을 혼자 간직하는 것임)
④ 결과에 집착하지 말 것
⑤ 세부 사항들은 우주가 알아서 처리하도록 맡길 것 / 어떤 행위를 하고 있든지 언제나 지금 이 순간을 자각할 것
원서와 번역서의 표지 디자인에 차이가 있다. 원서 디자인이 조금 더 영적인 면에 가까운 듯하다.

6. 초연의 법칙은 결과에 대한 집착의 포기를 의미한다. 그러나 의도와 소망은 간직해야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즉, 결과에 집착한 목표가 아니라 과정을 중요시하는 목표를 설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과녁에 정중앙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면 화살은 정중앙에 맞을 확률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7. 다르마(Dharma)의 법칙은 삶의 법칙이다. 참나를 발견하고, 재능을 발견하고 그것을 통해 봉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가진 재능은

‘무엇을 얻을 것인가’가 아니라 ‘무엇을 줄 것인가’


를 물을 때 발견하게 된다. 성공이라는 것이 화두인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성공의 본질은 결국

자기다움을 이루는 것


이지 않을까? 그러기 위해서 자신을 제대로 들여다보고 삶과 마주해야 한다. <성공을 부르는 일곱가지 영적 법칙>이 다른 성공 관련 자기계발서와 다른 이유는 바로 자신을 들여다보라는 디펙 초프라의 가르침에 있기 때문이다. 일곱가지 법칙을 잘 실천할 수 있다면 당신이 원하는 삶의 방향으로 좀 더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원문: 성공은 돈과 부가 아닌 ‘자기 다움을 이루는 것’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참고: 푸샵 블로그
참고: <성공을 부르는 일곱 가지 영적 법칙> 디펙 초프라 지음 | 김병채 옮김 | 슈리크리슈나다스아쉬람(2010)


By 푸샵 이종구: <남자들의 몸 만들기, 2004> 저자
[개인/임상/재활 운동사, NSCA-CPT, 스포츠영양코치, 생활스포츠지도사

http://푸샵.com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매거진의 이전글 로맨스를 꿈꾸듯 달콤해지고 싶은 <달콤한 인생> OST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