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큐레 Aug 07. 2020

큐닷 디자인 어워드 MP3 부분 feat. 아이리버

아이리버 H10 믿기지 않지만 이럴 때가 있었음
아아 이것은 mp3란다 음악을 듣는 도구지


   

  지금은 다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듣지만 라떼는 mp3라는 기계로 음악을 들었다. 플래쉬 메모리라는 발전된 저장매체로 512mb라는 고용량, 무려 100곡에 달하는 음악을 저장할 수 있었다. 플랫폼은 허접했지만, 지금처럼 저작권 개념이 정착된 시기가 아니었기 때문에 음원을 쓸어 담을 수 있어 희미하나마 음원에 소유욕을 투영할 수 있었다.

  저작권 개념이 정착하고, 혼돈의 시기를 거쳐 다운로드 없이 스트리밍으로 음악을 듣기 시작하면서 음악은 소유욕보다는 소비욕을 더 촉발하는 것 같다. 소유욕의 자극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희소성'이 한몫을 하는데, 무제한적으로 주어지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음악을 특별한 것이라기보다 '일상적인 어떤 것'이 되었다. 요즘은 음악 자체보다 아티스트의 매력이 더 부각되는 것 같기도 하고


  아이템이 아이콘이 되는 경우가 있다. 라떼보다 더 진한 라떼인 8-90년대에는 소니의 워크맨이 그 아이콘이었다. 이때는 확실히 '음악'이 갖는 대중문화로서의 위상이 높았다. 현재도 대중문화는 힘이 세지만, 어떤 한 매체가 독식해 들어가는 시장이 아닌 마이크로-인포멀한, 개개인화된 느낌이 강하다. 그 증거로 아무리 잘 만든 드라마도 예전처럼 시청률을 60% 이상 독식해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그 시간에 유튜브로 가짜 사나이를 한편 더 본다.)

  중학교/고등학교 다닐 때는 이걸 그렇게 갖고 싶었다. PC에 수백 곡씩 저장해놓으면 뭐 하냐고... 학교 갈 때도 듣고 공부(는 안 했지만) 하면서도 듣고 얼마나 좋은 것인데, 중고등학생의 경제력으로는 20만원이나 하는 MP3를 자력으로는 구매를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저장해놓고 보기만 하다가 어른이 된 지금, 장난감 안 사준 부모님 밑에서 키덜트가 나듯이 나도 이것들의 제품명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디자인이 참 예뻤다.) 생각난 길에 몇 개 꼽아서 올려보도록 한다.


  올림푸스의 엠로브, 카메라 회사답게 고급형의 후면은 디지털카메라와 유사하다. 이미지라 크기가 커 보이는데 상당히 콤팩트 한편, 보급형은 무슨 앰플처럼 생겨서 아기자기한 맛이 난다.

  국내에 판매했으나 잘 모른다. 당시엔 남과 다른 것을 추구하는 편이었기에 아이리버, 코원 등 국내 제품보다는 좀 희한한 제품들을 찾아봤던 것 같다.


  소니의 워크맨 시리즈, 과거의 영광을 잊지 못한 소니는 워크맨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계승해 mp3를 만들었다. 단 워크맨의 명성과 달리 화이트 노이즈(잡음)이 좀 있는 편이었다고

  성능이야 지금 보면 별 의미 없고 디자인은 정말 잘 뽑았다. 맨 위 스틱형 mp3는 지금 봐도 영롱해 보이고 나머지는 좀 촌스럽긴 하지만 나름의 기계미와 개성이 있다(콩팥처럼 생긴 것이 재밌다)




  아이리버 스핀, 2010년도 즈음이면 mp3도 슬슬 대화면을 채택하기 시작한다. 곧 스마트폰 하나로 영화, 음악, 그림, 웹서핑 등등 모든 것을 다 하게 되면서 mp3는 DAC도입 등 음질 면에서 차별화를 꿰해 보기도 했지만 결국은 작은 시장으로 전락했다. 역시 한번 편한 것을 접하면 그 아래로는 내려오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 싶다.

  디자인은 미니멀하고 스핀이라는 이름에 어울리게 다이얼이 하나 있다. 이 제품을 끝으로 mp3에 대한 흥미를 잃어 한번 올려본다.

여기까지 MP3 디자인 리뷰 끝낸다. 다음에는 슴베찌르개를 리뷰해보고 싶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