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이앤선생님 Jan 02. 2023

동화 작가, 이렇게 시작하세요.

세상에서 가장 쉽게 시작하는 동화 쓰기 

1) 동화 쓰는 방법은 어디서 배우나요?


  나는 논픽션 동화책 수 권 계약한 평범한 직장인이다. 

 코로나로 집에 틀어박혀있는 시기가 이어지던 중 신춘문예에 당선이 되면 등단의 길이 열리고, 상금 100만 원을 준다는 말에 혹해 동화를 쓰기 시작했다. 주말마다 심심하던 찰나에 잘됐다 싶었다. 

  총 6개월간 단편 동화 5편을 써서 신춘문예에 도전했다. 그러나 당선의 꿈은 멀리 날아가고, 집구석 앉아 당선되는 꿈만 꾸는 것에 그쳤다. 신춘문예에 한방에 성공하는 전설적인 작가들이 있다고 들었지만 나는 그 쪽에 속하지 못했다. 그저 평범한 작가 지망생일 뿐이었다. 


  나는 동화 쓰는 법을 어떻게 배울 수 있을지 고민했다. 그리고 서점에 가서 동화 작법서를 찾아 헤맸다. 그러나 나에게 딱 맞는 동화작법서를 찾지 못했다. 대부분 동화가 아닌 소설 작법서이거나, 동화 작법서라고는 하지만 작가지망생이 보기에 뜬구름 같은 얘기를 늘어놓은 책뿐이었다. 


   그 이후에 작가교실이나 다녀볼까 고민하기도 했다. 그러나 내가 사는 지역에는 작가교실이 거의 없다. 몇 개 운영되고 있긴 하지만 평일에 직장을 가야 하는 나에게는 그림에 떡에 불과했다. 

  그다음으로 눈을 돌린 건 온라인 작가교실이었다.  대부분 단기 속성 코스로 진행되는데, 수강하는 동안 작품을 써내서 합평을 받는 식으로 진행되는 것 같았다. 그러나 주기적으로 뚝딱뚝딱 글을 써낼 여유도, 실력도 없었던 나는 '그냥 나 혼자 써보지 뭐~'하면서 포기해 버렸다. 결국 또 방구석에 앉아 혼자 끄적끄적거리는 신세가 됐다. 


  그러던 중 문득 장편 동화를 써서 출판사에 직투 고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며칠에 걸쳐 시놉시스를 고민한 끝에 뭐에 홀린 듯 보름에 걸쳐 쭉쭉 써 내려갔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투고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출간계약을 맺게 되었고, 그 이후에 투고하는 작품들 모두 출간으로 이어졌다. 

  나는 드디어  드디어 깨닫게 되었다, 어떻게 하면 출간작가가 될 수 있을지.


이 매거진을 통해 나는 멘땅에 헤딩하면서 알게 된 '동화 쓰기의 모든 것'을 차근차근 풀어나가고자 한다. 아직 출간예정작만 있는 생초보 작가에 불과하지만, 재능이 넘치는 작가의 조언보다는 나처럼 평범한 사람의 성공기가 더 유용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힘들게 얻게 노하우를 알려주는 게 아깝지 않냐고? 응~ 아깝지 않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동화 시장이 더 잘되길 바라기 때문이다. 출산율이 감소함에 따라 동화책 시장은 더 작아지고 퇴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더 많은 이들이 동화에 관심을 갖고, 참신한 생각을 가진 작가들이 뛰어든다면 우리나라 동화책이 세계 곳곳으로 널리 알려질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우리나라 k-pop가수들이 해외로 나가 대성공을 거뒀듯이 말이다. 

  또한 자라나는 아이들이 책을 더욱 가까이하고 책 읽는 즐거움을 깨닫길 바란다. 영상만 볼 것이 아니라 활자로 된 책을 읽으며 무한한 상상력을 키웠으면 좋겠다. 

  자, 그럼 본격적으로 세상에서 제일 쉬운 동화 쓰기 강좌를 시작해 볼까.






 2) 동화 작가가 되고 싶은 당신, 어떤 책을 좋아하세요?


  동화를 쓸 때 가장 처음 해야 하는 것은 바로 '글 취향 찾기'이다. 세상에는 참 다양한 동화책이 있다. 그리고 각자 다른 향기를 지녔다. 어떤 책은 눈물 나는 감동이, 어떤 책은 빵빵 터지는 웃음이, 어떤 책은 마음을 쓰다듬어주는 잔잔함이 있다. 

  그러나 나는 그런 향기들을 다 묻어버리고 신춘문예에 당선되는 글과 그저 비슷하게 쓰려고만 노력했다. 그러다 보니 주인공도, 작품의 설정도 다 비슷비슷했다. 예를 들어 '이혼 가정에 홀로 남겨진 아이가 온갖 경제적, 정서적 어려움을 이겨내고 성장하는 동화/ 조부모와 함께 사는 아이가 조부모의 사랑을 깨닫고 이기적이었던 자신을 뉘우치는 동화/ 사춘기에 들어선 아이가 부모님과 싸웠다가 반성하는 동화/ 친구와 싸웠는데 알고 보니 그 친구는 나름이 상처가 있었고 우연한 계기로 그것을 알게 되면서 사과하며 화해하는 동화'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나는 그저 심사위원들이 좋아할 만한, 교훈적인 글감을 찾아 헤매며 억지 감동을 쥐어 짜내고 있었다. 내가 왜 신춘문예에 다 떨어졌는지 알만도 하다. 

  그 후, 나는 내 글의 매력을 찾기 위해 '내가 어떤 글을 좋아하는지' 탐색하기 시작했다. 개인적으로 내가 좋아하는 글은 1) 윔피키드, 깜냥, 엉뚱한 기자 김방귀와 같이 소소하게 웃음을 주는 글이거나  2) 오늘부터 베프! 베프!, 꽝 없는 뽑기 기계, 긴긴밤처럼 눈물이 줄줄 나는 글이다. 미안하지만 잔잔하게 마음을 쓰다듬어 주는 동화책이나 심장이 쿵쿵 뛰게 하는 스릴러는 내 취향이 전혀 아니다.

  글 취향을 찾아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어떤 게 재밌는 글인지 알아야, 재밌는 글을 쓸 수 있는 안목이 생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감성 힐링 글을 별로 안 좋아하는데, 그런 류의 글이 유행한다고 해서 억지로 따랐으면 내가 쓴 글이 재미있는지 재미없는지 조차 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내가 재미없는 글은 남들이 봐도 재미없다. 내가 낄낄대고 쓸 수 있어야, 혹은 눈물을 짜내며 쓸 수 있어야 남들이 봐도 웃음이 나고 눈물이 나는 법이다.


  어떤 글을 좋아하는지 충분히 탐색했다면 그중에서 내가 쓸 수 있는 글을 가려내야 한다. 나의 경우에는 1) 소소하게 웃음을 주는 글은 쓸 수 있지만 2) 눈물이 줄줄 나는 글은 쓸 수 없었다. 그게 나의 한계라는 걸 잘 알았다. 

  그 도대체 한계는 어떻게 아는 거냐고? 직접 원고지 30매 분량의 단편 동화를 써보면 단박에 알 수 있다. 어떤 콘셉트의 동화를 쓰면서 머리를 쥐어뜯고 있다면, 혹은 하품을 하고 있다면 그것은 나에게 맞는 콘셉트가 아닌 것이다.

  내게 잘 맞는 콘셉트의 글은 시놉시스를 짠 후 하루에 5 천자씩 스르륵 써 내릴 수 있다. 5 천자 X6일=3만 자이니 일주일 정도면 책 한 권 분량이 나온다. 일주일 만에 작품이 탄생하는 셈이다. 나는 이런 식으로 1년에 12권의 책을 썼다. 


  실제로 수많은 초보 작가 지망생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글이 뭔지도 모른 채 써 내려간다. 그러나 그 과정은 너무 고통스러워서 상금 100만 원을 바라보고 이어나가기엔 너무 가혹하고 비효율적이다. 차라리 그 시간에 편의점 알바를 하는 게 더 이득일 지경이다. 글쓰기는 그 자체로 즐거워야 한다. 

 



3) 다음 글은?

  앞서 말했듯 동화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신춘문예 덕분이었다. 하지만 나는 더 이상 신춘문예에 관심이 없다. 설령 상금을 더 많이 준다고 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그 이유는 내가 단편 동화보다는 장편 동화에 최적화되었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다음시간에는 단편형 작가와 장편형 작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 동화 작가를 희망하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