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겜피레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진성훈 May 08. 2021

이제 가장 대중적인 콘텐츠는 게임이에요

데이터가 말해주네요


0. 이제 가장 대중적인 콘텐츠는 게임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10년간은 그럴 것이다. 데이터가 말해준다.⁣

1. 조금 친숙한 숫자부터. 하이브(전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시가총액은 9조 원이다. 반면 철저히 내수 시장 기반 게임인 리니지의 제작사 엔씨소프트의 시가총액은 20조 원이다. 게임성에서 그다지 호평을 받지 못하는 넷마블도 12조 원이다. 물론 이 기업들을 단순 비교하는 건 정교하지 못하다.⁣

2. 글로벌하게, 산업 규모를 비교하면 어떨까. 코로나가 휩쓸기 전 2019년 영화 시장 규모는 120조 원이었다. 게임 시장 규모는 170조 원이었고. 더 중요한 건 성장세다. 영화 시장의 성장세는 2%로 한창 성숙해있다. 반면 게임은 매년 10%씩 성장한다. 2026년엔 350조 원으로 성장할 거라는 전망이 있을 정도다.⁣

3. 최근 IT 기업의 개발자 연봉 인상 러시를 시작한 곳도  게임개발사다. ‘111퍼센트’라는 이름의 이 회사는 올해 초 직원 평균 연봉을 50% 인상시켰다. 지금의 게임개발사는 IT 공룡과 어깨를 견줄 만큼 돈이 많고, 인건비와 제작비 역시 영화에 준하거나 그보다 더 많이 필요로 한다. 올해 카카오게임즈를 비롯한 게임개발사의 상장이 이어지는 현상은 이들의 현금 창출 능력과 게임 산업의 규모를 함께 말해준다.⁣

4. 아무리 규모가 커도 소비층 대부분이 남자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물론 그렇게 보일 수 있지만, 실제 성비는 54(남):46(여)으로 동률에 가깝다(Statista, 2019). 주변에서 쉽게 쿠키런 플레이어를 찾을 수 있는 이유다. 이른바 남성향 게임에도 숨은 여성 플레이어가 적지 않다. 다만 게임 제작자가 대부분 남성이고, 유명한 게임이 대체로 남성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이다.⁣

5. 그래도 여전히 10대, 철없는 어른, 덕후만 즐기는 거 아니냐는 의문이 들 수도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20년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서 한국인 10명 중 7명이 지난 1년간 게임을 한번 이상 플레이했다는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또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협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게이머의 평균 연령은 35세이며 평균 12년간 게임을 즐겼다. 지난 3월 공개된 <디아블로 2: 레저렉션> 게임 트레일러 유튜브 영상에는 40대 유튜버의 댓글이 줄줄이 달렸다.⁣

6. 이쯤되면 외면하기 힘들다.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7. 대학시절, 존경해 마지않던 웹툰 작가 이종범 님은 이렇게 말했다. 만화는 정말 강력한 매체지만 언제부턴가 게임만큼 강력한 게 없어보인다고. 당시엔 “고작 게임을 콘텐츠의 왕좌에 올리다니 그런 불경한 발언을!”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때부터 게임 주변을 어슬렁거렸다. 그리고 지금 구글과 애플이 앞다투어 게임 시장에 눈독들이는 변화를 바라본다.⁣

8. 콘텐츠 업계에서 게임보다 더 혁신적이고 거대한 매체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그래서 계속 공부해보려 한다. 지금, 게이미피케이션 뉴스레터를 시작하는 이유다.⁣

9. 10대 이후로 게임을 즐기지 않았다면, 잘 모르지만 이 매체의 속성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뉴스레터 구독을 신청해주세요



참고자료⁣
제인 맥고니걸, <누구나 게임을 한다>⁣
유튜브 채널 Game Maker’s Toolkit <Design Icons: PAC-MAN> ⁣
넷플릭스 <하이 스코어>⁣
조선비즈, 한국인 10명 중 7명은 '게이머'... 코로나로 이용시간·지출 늘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는 가장 대중적인 매체가 아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