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여진이 연극 <리차드 3세>에서 리차드 3세의 형수이자 피로 얼룩진 권력 쟁탈전의 경쟁자 엘리자베스 왕비로 무대에 오른다는 소식을 듣고 최적의 캐스팅이라 생각했다. 최근 상업 예술 속에서 우리가 만날 수 있는 여성은 순수한 첫사랑 혹은 술집 여자, 악녀 등의 그저 그런 인물이었는데, 엘리자베스 왕비는 리차드 3세와 대적하는 강한 여성이었으니까. 심지어 내게 김여진은 할 말은 다 해야 직성이 풀리는, 다소 센 이미지의 배우였다. 마치 불의를 보면 참지 않고, 침묵하기보다는 소수 의견에 목소리를 더하기를 택한 비주류, <위키드>의 초록 마녀 엘파바처럼 말이다. 그도 그럴 것이 김여진은 이화여대 재학 시절 학생운동을 하다 우연히 연극을 보고 무대로 뛰어들었다. 이후엔 임신한 몸으로 여성의 성(性)을 수면 위로 끌어올린 파격적인 연극 <버자이너 모놀로그>에 출연했고, 성범죄를 다루는 검사들의 이야기로 사회의 인식 변화를 위한 목소리를 냈으며(KBS2 드라마 <마녀의 법정>) SNS를 통해 활발하게 꾸준히 약자를 향한 자기 생각을 전했다. 물론 서슴없이 행동으로 옮기기도 했다. 그녀는 대학 청소 용역 직원의 처우에 대해 말하고, 성접대 가해자에게 일침을 날리거나 한진중공업 정리 해고에 반대하는 크레인 농성 현장을 찾아다녔다. 하필이면 김여진과의 만남은 허공에만 존재한다고 했던 지난 정권의 문화계 ‘블랙리스트’가 실재했고, 그녀가 그 리스트 안에 있었다는 사실로 세상이 시끌벅적했을 때였다. 강한 그녀의 이미지에 ‘쫄아버린’ 내가 오죽하면 김여진과 마주 앉은 자리에서 인사 이후 건넨 첫 말은 ‘까칠하실까 봐 걱정했어요’였을까. 그 순간 책이 빼곡하게 꽂힌 카페 안에 울려 퍼지는 웃음소리는 이상하게도 따뜻했다. “도대체 내가 어떤 이미지야?” 공연에 참여하게 된 계기를 묻는 질문부터 자연스럽게 그녀의 아이 이야기가 나왔다. 이제야 날것 그대로 그녀와의 이야기를 풀어놓자면, 김여진의 아이는 ‘엄마랑 떨어지는 화를 못 이겨’ 열이 38도까지 올랐고, ‘연극을 하는 사람들을 가만두지 않겠다’는 짐짓 진지한 배웅을 했다고 했다. 이것을 시작으로 공연이나 사회적인 문제보다 연애와 결혼 그리고 육아를 비롯한 여성의 삶에 대해 꽤 오랜 대화를 나누었다.
배우 김여진은 KBS2 드라마 <마녀의 법정>에서 여성아동범죄 전담부 부장검사 민지숙으로 열연했다. (사진제공=KBS)
무엇보다 우리가 가까워졌던 소재는, ‘여성이라 생긴 일’에 대한 공감이었다. 당시에 난 절친한 선배의 추천으로 다른 언론사에 이력서를 넣은 상태였고, 면접도 보지 못한 채 낙방했다. 후에야 건너 듣게 된 탈락 이유는 바로 ‘여자’이기 때문이었다. 이 이야기를 듣자마자 김여진은 “아휴, 속상했겠다”라면서 ‘여성’이기 때문에 주어지지 않았거나 밀려난 기회에 대한 아쉬움을 쏟아냈다. 그녀는 과거 ‘뉴스1’ 인터뷰에서 “남자에 비해서 여자 배우들은 기회가 많이 없다. 여자 캐릭터가 많이 나오면 재미가 없나 생각도 한다. 꼭 주인공을 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조연이어도 주체적으로 다양한 면이 있는 여성 캐릭터들이 별로 없다”며 고충을 털어놨다. 이게 끝이 아니었다. 직장 여성이 결혼하고 홀로 육아를 도맡는 현실에 대한 일침도 이어졌다. “어쩜 내게 결혼과 육아가 이렇게 힘들다는 걸 아무도 말해 주지 않았어! 정말로! 심지어는 우리 엄마도 말을 안 해줬다니까요. 얼마나 배신감이 느껴지던지.” 그녀는 2017년 ‘여성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하는 여성 중 페미니스트가 아닌 사람이 있나요? 사소한 차별을 느낀다는 것 자체가 내 안에 리트머스지가 있다는 거죠. 차별에 불편해하고, 화를 내고, 참기도 하는 모든 순간이 다 페미니즘이죠”라며 목소리를 냈다.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비주류라고 여겨지는 여성의 위치를 수없이 주류로 끌어올리는 김여진에게 동경 비슷한 감정을 느꼈다. 그리고 그런 그녀의 모습에서 뮤지컬 <레드북>의 씩씩하고 똑똑한 주인공 안나가 생각났다. “당연한 것들이 당연해질 때까지 세상을 시끄럽게 만들어요”라고 외치며 세상에 절대 굴하지 않았던 그녀 말이다.
종종 ‘여성’으로서, ‘여성이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 닥치면 김여진이 생각난다. 그녀는 ‘여성중앙’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어떤 어른이 되고 싶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일단 동등한 관계에서, 나도 편안하고 상대도 편안해져야 서로 웃기고 장난도 치지. 그렇게 할수록 관계는 더 좋아진다. 어릴 때는 사람 사이가 진지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사람 사이는 웃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멋진 선배와의 만남 덕분에, 내가 여성으로 씩씩하게 이 세상을 견딜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위로와 유대감을 느낀다.